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y Improvement Nurses' Experiences of Working for Healthcare Quality in Public Hospitals

공공병원 의료 질 관리 전담자의 의료 질 향상 활동 경험연구

  • 황정해 (한양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박성희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 최윤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7.01.05
  • Accepted : 2017.09.21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Purpose :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QI (quality improvement) nurses related to the hospital QI activities in public general hospitals. Methods : Purposive sampling was conducted 10 QI nurses and who have QI work experience for more than 1 yea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wit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using Strauss and Corbin's methodology. Results : The core categories of experience with QI activities were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medical care and overall health service sector', 'the degree of activation of current QI activities', 'characteristics of public hospital QI activities', 'what is needed to activate future QI activities'. The key themes were derived as follows. 'Success of quality enhanc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hospitals', 'activation of public hospital QI activities through leadership and QI education', 'reorganizing the role of regional hospitals in public hospitals'. Conclusion : Physician participation is important in the success of QI activities in public hospital practice. To lead these physician participation, Sharing doctor's QI experience and providing the necessary knowledge in QI activities and helping their leadership in QI activities are needed. QI nurses at public hospitals should lead QI activities to improve national hospitals' care quality through cooperating with local hospitals.

본 연구는 공공병원 질 관리 전담자들의 병원 진료부문과 전반적 질 향상 활동의 경험 탐색을 통해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 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공공병원의 질 관리 전담자 10명을 대상으로 질 향상 활동 경험에 대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수행하였다. 질 향상 경험 면담을 통해 '진료 부문과 전반적 의료질 향상 활동에 대한 성공과 실패', '현재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 정도',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의 특성' 그리고 '향후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들'의 범주화를 통해, '공공병원 고유의 특성에 따른 질 향상 활동의 성공', '리더십과 역량강화를 통한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 '공공병원의 지역 중점 병원의 역할 재정립'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공공병원 진료 부문의 질 향상 활동은 의사의 참여가 중요하며 이러한 의사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의사의 질 향상 활동의 성공적 경험을 공유하고 질 향상 활동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여 질 향상 전문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지원들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병원의 질 관리 전담자는 국가 의료 질 향상을 위한 핵심위치에서 질 향상 활동의 견인역할을 하고 지역 의료기관간 협력적 소통을 통해 의료 질 향상 활동을 이끌어가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oiha.kr/member/kr/contents/sub02/sub02_01_01.do
  2. 황정해, 박성희, 최윤경, 이정희, 황지인, 김문숙, 이순교, 공공병원의 진료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질 향상 활동방안 개발, 서울: 국립중앙의료원(한양사이버대학교), 2013.
  3. 이상일, "환자안전법 시행의 의의와 과제," 보건복지포럼, pp.2-4, 2016.
  4. 김문숙, 김현아, 김윤숙, "QI전담자의 주요 업무 및 역할 규명,"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제21권, 제2호, pp.40-56, 2015. https://doi.org/10.14371/QIH.2015.21.2.40
  5. 양동현, 장영재, "공공병원의 생산성 변화와 결정요인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6호, pp.3273-3293, 2011.
  6. 김남순, 전진아, 김명희, 이희영, 박금령, 최지희, 손정인, 김광묘, 공공보건의료의 현황과 발전방안: 지방의료원과 국립대병원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7. A. Strauss and J. Corbin,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Newbury Parks, California, SAGE Pub., 1998.
  8. K. Kim, C. Park, J. Chang, N. Kim, J. Lee, B. Choi, B. Lee, K. Lee, S. Kim, and S. Yeom, "Association Between Prophylactic Antibiotic Use and Surgical Site Infection Based on Quality Assessment Data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3, No.3, pp.235-244, 2010. https://doi.org/10.3961/jpmph.2010.43.3.235
  9. 황은정, 심인옥, "지역주민이 인지하는 공공병원 의료의 질, 이미지, 역할수행, 만족도, 재이용 의향, 타인추천 의향 구조모형," 대한간호학회지, 제46권, 제1호, pp.118-127, 2016. https://doi.org/10.4040/jkan.2016.46.1.118
  10. 이보혜, 최만규, 문상식, 정민수, 김진희,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인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한국보건행정학회지, 제21권, 제2호, pp.309-328, 2011. https://doi.org/10.4332/KJHPA.2011.21.2.309
  11. A. Lustig, M. Ogden, R. Brenner, J. Penso, K. Westrich, and R. Dubois, "The Central Role of Physician Leadership for Driving Change in Value-Based Care Environments," J. Manag Care Spec Pharm, Vol.22, No.10, pp.1116-1122, 2016. https://doi.org/10.18553/jmcp.2016.22.10.1116
  12. R. Oostra, "Physician Leadership: A Central Strategy to Transforming Healthcare," Front Health Serv Manage, Vol.21, No.3, pp.15-26, 2016.
  13. 안지선, 홍아정, "공공기관의 조직문화 특성이 집단창의성에 주는 영향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pp.1-23, 2015.
  14. 전성훈, 구찬동, "지방공무원의 승진만족도가 조직 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제27권, 제4호, pp.113-144, 2013.
  15. 이혜승, 전영주,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병원운영과 의료서비스 향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1집, 제2호, pp.235-259, 2015.
  16. 이영환, 임정도, "의료기관 인증 후 환자안전 및 질 관리 변화와 경영활동 변화 간의 관계:정신병원과 요양병원 대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286-29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286
  17. 김상미, 이해종, 이동원, "공공의료원의 효율성과 수익성 평가 지표의 대체 가능성 검토," 한국병원경영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3-50, 2016.
  18. 박병상, 이용균, 김윤신, "병원의 수익성 관련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196-206,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6.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