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elial growth media

검색결과 355건 처리시간 0.028초

매미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sinclairii)의 균사 생장과 자실체 형성 조건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ditions for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f Paecilomyces sinclairii)

  • 심성미;이경림;임경환;이우윤;이민웅;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13
    • /
    • 2003
  • 매미누꽃동충하초(Paecilomyces sinclairii)를 전라남도 백양사의 인근 숲에서 채집하여 균주를 순수 분리하고 균사의 최적 배양조건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균사생장에 적합한 pH는 $5{\sim}9$의 범위였으며 pH 8에서 가장 왕성한 균사생장을 보였고, 온도는 $25{\circ}C$가 적합하였다. 균사생장에 가장 적합한 배지는 Hamada 배지였으며 탄소 영양원은 dextrin, 질소 영양원은 glutamine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균사의 생장은 C/N비가 20:1일 때, 옥수수추출물과 우유가 혼합한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자실체는 20%의 누에번데기가 첨가된 현미배지에서 500lux, $25{\circ}C$의 조건으로 배양할 때 가장 자실체 형성이 우수하였다.

곡물배지가 느타리버섯의 균사배양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id grain media on the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and its biofunctional activity)

  • 류현순;손미예;조용운;갈상완;이상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14
    • /
    • 2004
  •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전통 장류발효식품의 개발 및 버섯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상식하고있는 7종류의 곡물배지에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을 행하고 그 배양추출물의 생리활성 등을 검토하였다. 곡물을 냉수에 4시간 수침시킨 후 물 빼기를 한 다음 곡물 중량비에 대하여 수분을 25%(V/W) 전후로 첨가하고 증자시간을 30분 행하는 것이 느타리버섯 균사생육에 효과적이었다. 7종류의 곡물배지에 느타리버섯 균사를 고체 배양한 결과 조와 보리쌀 배지에서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고 그 다음은 대두박과 검정콩 배지로 나타났으며 밀, 옥수수 및 현미배지에서는 생육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균사추출물들이 폐암세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옥수수, 대두박, 현미, 보리쌀 및 검정콩 배지에서 비교적 높은 항암성을 나타내었고, 조와 밀의 배지에서는 낮은 항암성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활성은 대두박, 밀, 조, 보리쌀, 현미, 검정콩, 옥수수배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Pseudomonas aeruginosa 및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게 나타났다.

  • PDF

Co-treatment with Origanum Oil and Thyme Oil Vapours Synergistically Limits the Growth of Soil-borne Pathogens Causing Strawberry Diseases

  • Jong Hyup, Park;Min Geun, Song;Sang Woo, Lee;Sung Hwan, Choi;Jeum Kyu, H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673-678
    • /
    • 2022
  • Vapours from origanum oil (O) and thyme oil (T) were applied to the four soil-borne strawberry pathogens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Colletotrichum fructicola, Lasiodiplodia theobromae, and Phytophthora cactorum, causing Fusarium wilt, anthracnose, dieback, and Phytophthora rot, respectively. Increasing T vapour doses in the presence of O vapour strongly inhibited mycelial growths of the four pathogens and vice versa. When mycelia of F. oxysporum f. sp. fragariae and P. cactorum exposed to the combined O + T vapours were transferred to the fresh media, mycelial growth was restored, indicating fungistasis by vapours. However, the mycelial growth of C. fructicola and L. theobromae exposed to the combined O + T vapours have been slightly retarded in the fresh media. Prolonged exposure of strawberry pathogens to O + T vapours in soil environments may b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eco-friendly disease management.

잎새버섯 균주의 균사체 생육 최적조건 (Optimal Condition of Mycelial Growth of Grifola frondosa)

  • 지정현;김정한;원선이;서건식;주영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6-80
    • /
    • 2007
  • 잎새버섯의 우량계통을 선발하여 농가에 보급하기 위하여 수집균주들의 균사체 생육 최적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잎새버섯 수집균주의 생장에 적합한 배지는 PDA배지가 선발되었으며, 균사배양 적온은 $25^{\circ}C$로 나타났다. 잎새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수소이온 농도는 pH $4{\sim}5$로 약산성에서 균사생장이 우수하였다. 균사생장에 적합한 탄소원으로는 glucose와 fructose, 질소원으로는 peptone이 우수하였으며 C/N율은 $10{\sim}20$으로 질소 요구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rtificial cultivation of Medicinal Mushroom, Phellinus linteus using Mulberry logs

  • Hong, In-Pyo;Sung, Gyoo-Byung;Chung, In-Mo;Lee, Won-Chu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4-81
    • /
    • 2002
  • The optimal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ASI 26011 were 25-30$^{\circ}C$ and pH 6.0, respectively. The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was excellent on MCM medium. In case of carbon sources, the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was best on the culture media that were contained with sucrose, mannose and glucose. Potassium nitrate and sodium nitrate were good for the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as a nitrogen source. For comparison of the mycelial colonization of P. linteus on logs, several techniques of inoculation were tested; the sterilized short log inoculation, drilling inoculation and log-end sandwich inoculation. The mycelial colonization of P. linteus on logs was good in the treatment of sterilized short log inoculation, but poor in the traditional methods such as drilling inoculation and log-end sandwich. The initial mycelial growth and the full mycelial colonization of P. linteus were the best on 20 cm logs under the condition of 42% of moisture content in log. Also the initial mycelial growth of P. linteus was accelerated over 12 hours of sterilization. Burying method of logs after 5-6 months of incubation was the best for formation of basidiocarp of P. linteus. The formation of fruiting body of P. linteus was quite good in the cultivation house at the 31-35$^{\circ}C$ and over 96% of relative humidity.

Calcium Absorption by the Fruitbody of Saesongi (Pleurotus eryngii) Mushroom

  • Lee, Nan-Hee;Im, Moo-Hyeog;Choi, Ung-Ky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308-311
    • /
    • 2006
  • Saesongi (Pleurotus eryngii) was cultivated in both potato dextrose agar (PDA) and sawdust media supplemented with Ca salts. The addition of Ca phosphate and Ca carbonate to sawdust media did not affect the growth, whereas Ca sulfate addition suppressed the mycelial growth appreciably. The efficiencies of Ca accumulation in the fruiting were studied based on mycelial growth experiments on Ca-supplemented sawdust media. Supplementation with 0.1 to 5% Ca phosphate increased the Ca content in the fruiting body by 4.5-6.5 fold, to a level of $314.6{\pm}22.7$ to $449.7{\pm}29.3$.

번데기동충하초와 눈꽃동충하초의 배양특성 및 항균활성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ordyceps militaris and Paecilomyces tenuipes)

  • 이기만;홍인표;남성희;성규병;배윤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79-486
    • /
    • 2008
  • Cordyceps militaris(번데기동충하초)와 Paecilomyces tenuipes(눈꽃동충하초)의 배양특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균사 생장 최적 배지는 C. militaris는 MCM, P. tenuipes는 YMA이며 MMM 배지 상에서는 두 균주 모두 생장이 저조하였다. 균사 생육 최적 온도는 $25^{\circ}C$이였고 C. militaris는 5회 이상 계대 시 균사 생육이 저하되었다. 적정 영양원 선발에 있어 두 균주 모두 탄소원은 단당류의 fructose, 이당류의 maltose 그리고 다당류의 dextrin이 적합하였다. 질소원은 유기태에서 C. militaris는 calcium nitrate, P. tenuipes는 sodium nitrate가 적합하였으며 무기태에서는 ammonium tartrate가 적합하였다. 항균활성은 Gram(+)의 Bacillus cereus에 대하여 C. militaris에서만 나타났다.

Sclerotium cepivorum의 균사생장 및 균핵 생성에 대한 수분압의 영향 (Effect of Water Potential on Mycelial Growth and Production of Sclerotia of Sclerotium cepivorum)

  • 이용훈;이두구;이왕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0-204
    • /
    • 1997
  • 마늘 흑색 썩음균핵병인Sclerotium cepivorum에 대한 수분압과 온도의 영향을 얄아보기 위하여 PDA와 PDB에 NaCI, KCI, 설탕 및 polyethylene glyool 6,000으로 수분압을 조절한 수 15, 20, $25^{\circ}C$에서 균사생장 및 균핵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균사신장은 -1,970에서 -2,240 J/Kg까지는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았으나, =2,240 J/Kg 이하에서는 균사신장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450에서 -2,240 J/Kg까지의 수분압에서는 기본배지에서보다 건물중이 약간 증가하였다. 수분압 감소에 따른 건물중에의 영향은 균사신장에서 보다는 작았다. PEG를 이용해 수분압 조절했을 경우 균사신장과 건물중 모두 다른 용질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크게 감소했다. 균사신장은 -1,000 J/Kg에서, 건물중은 -2,240 J/Kg에서 약 50%가 각각 감소했다. 수분압 감소에 따른 균핵 형성에 대한 영향은 균사생장에서 보다 더욱 컸다. -450에서 -910 J/Kg 사이에서 균핵형성이 50% 이상 줄었으며, -2,240 J/Kg 이하에서는 균핵이 형성되지 못했다. 균사신장과 균핵형성은 기본배지에서는 $20^{\circ}C$dptj 양호하였으나, 수분압이 감소하면서 $25^{\circ}C$에서 더 좋은 경향을ㄹ 보였다. NaCl, KCI 설탕 및 PEG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균시생장과 균핵 형성은 비슷한 경향의 증감을 보였다.

  • PDF

Benomyl에 저항성인 사과 겹무늬썩음병균의 교차 및 이중저항성 (Cross- and Double-Resistance of Benomyl-Resistant Botryosphaeria dothidea)

  • 이창은;박석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0-276
    • /
    • 1994
  • Mycelial growth resistant isolates of Botryosphaeria dothidea to benomyl showed 99~79% spore germination on the PSA media supplemented with 200~2,100 $\mu\textrm{g}$/ml of carbendazim and thiophanate-methyl to manifest the high cross-resistance in spore germination. Mycelial growth, 23~9 mm in colony diameter, also manifested the high cross-resistance of mycelial growth together with similarity of spore forming cross-resistance. Benomyl resistant isolates BR1, BR2 and BR3, grew 23~10 mm in colony diameter at 330~3,000 $\mu\textrm{g}$/ml of captafol, captan and oxine-copper showing the high double resistance of mycelial growth and spore formation with minor difference. However, within concentration range of the 3 fungicides tested, germinations of all the tested isolates were completely suppressed to show no double-resistance in the fungal spore germination.

  • PDF

Psalliota Campestris의 균사생장(菌絲生長)에 미치는 무기염류(無機鹽類)의 영향(影響) (Effect of some reagents added in culture media upon the mycelial growth of the Psallitoa Campestris)

  • 유태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권
    • /
    • pp.57-59
    • /
    • 1965
  •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s on the effect of the reagents, $CuSO_4{\cdot}5H_2O$, $ZnSO_4{\cdot}7H_2O$ $MnSO_4{\cdot}4H_2O$, $HgCl_2$, upon the mycelial growth of psalliota campestris $HgCl_2$ showed the strongest effect on checking the mycelial growth $(,.008{\sim}0.01%)$ $CuSO_4{\cdot}5H_2O(0.030%)$, $ZnSO_4{\cdot}7H_2O(0.080%)$, came next and the $MnSO_4{\cdot}4H_2O(0.100%)$ was the weakest. Writer also found that showed the promoting effect of the mycelial growth in appropriate Concentration (at $0.015%\;CuSO_4{\cdot}5H_2O$, $0.030%ZnSO_4{\cdot}7H_2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