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sical Program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초

Orff 접근법에 의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Orff Approach to Music Education Programs on Young Children's Musical Expressiveness)

  • 권오선;이옥주
    • 아동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5-18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Orff Approach to music education programs on singing ability, the ability to play musical instruments, physical expression ability, musical improvisation ability as well as overall musical expressiveness in 5 year old children. The test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fifty-eight children. They were arbitrari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31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of 27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using the Orff music education program for a total of 16 sessions, while the control group conducted music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nnual music education plan of M kindergarte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Orff Approach to music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abilities in the sub-factors of the four kinds of musical expression ability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physical expression and musical improvisation) as well as overall musical expressive abil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rff Approach to music education programs can create positive effects in the developing musical expressiveness of young children.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ICT 기반 초등학교 가락짓기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CT-based Elementary Education for Musical Composition Using Multimedia)

  • 정화영;곽노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13-218
    • /
    • 2004
  •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ICT 기반 초등학교 가락짓기 교육의 유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컴퓨터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더불어 눈부신 발전을 보이고 있는 멀티미디어 기술은 음악 교과가 가진 특성과 맞물려 음악 교육의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학생의 음악적 기능과 지식의 발달을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이 교육과 학습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락짓기 교육에 ICT 기반 음악 교육을 도입할 경우 그 교육적 효과가 지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의 ICT기반 가락짓기 교육 방법은 전통적인 이론 학습과 악기를 활용한 가락짓기 수업의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초등학생에게 컴퓨터 프로그램 사용법을 지도한 후 음악 창작 수업에 이를 적용시킴으로써 전통적인 수업방식에 비해 단시간에 효과를 극대화하고 교과서에서 제시된 수준 이상의 가락짓기 능력을 신장시켰다.

  • PDF

정수비를 이용한 음 생성 관련 교수계획 (A Teaching Program in Making Eastern and Western Musical Scales using Integer Ratio)

  • 이규봉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339-349
    • /
    • 2012
  • 특정 정수비 1:2:3:4는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음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클리드 작도법을 이용한 음계보를 만들어 악기를 제작하고 소리를 들으면서 수학의 이론이 음악에 끼친 영향을 알게 한다. 대학의 교양수학이나 중등학교 대상의 교육에 사용할 수 있다.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또래 관계 기술 증진을 위한 창작 음악극 프로그램 효과 연구 (Study of Creative Musical Play Program for Increasing Peer Relational Skill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 허혜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7권1호
    • /
    • pp.37-5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또래 관계 기술 증진을 목표로 하는 창작 음악극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또래 관계 기술의 하위요인과 관련한 단계별 목표로 구성된 음악극 만들기 프로그램을 K 지역아동센터 소속 아동 6명에게 10주간 주 2회 총 20회기 제공하였다. 대상자의 또래 관계 기술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대상아동과 기관 담당교사에게 각각 또래 관계 기술 척도와 수정된 사회적 기술 척도(교사용)를 실시하였다. 또한 세션 회기별 아동의 음악적 언어적 반응에 대한 기록 자료를 바탕으로 또래 관계 기술의 하위요인에 따라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대상 아동들이 기록한 또래 관계 기술 척도 및 하위요인인 주도성과 공감/협동 요인의 평균 점수에서 상승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 < .05). 기관 아동복지교사에 의해 작성된 사회적 기술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 점수와 하위 요인인 협력, 자아통제와 자아주장 요인의 평균 점수 모두 상승되었다. 세션 관찰 분석 결과에서는, 초반에 나타나던 비주도성, 자기주장성 결여, 비공감, 비협동 등의 부정적 요인이 세션의 진행에 따라 점차 긍정적인 요인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작 음악극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또래 관계기술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도구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Hierarchical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악보 인식 (Musical Score Recognition Using Hierarchical ART2 Algorithm)

  • 김광백;우영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1997-2003
    • /
    • 2009
  • 음악 연구에 따른 컴퓨터의 역할이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효과적인 악보 인식과 효율적인 악보의 편집 및 수정 방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수동 입력 방식에서는 악보를 부정확하게 입력하여 수정하는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각 수정 프로그램에서 만든 악보는 특정 프로그램에서만 재수정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미 작성 되어있는 악보들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악보 인식 방법은 수평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악보 이미지의 오선을 제거한 후, 4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Grassfire 알고리즘을 적응하여 악보 구성 기호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악보 구성 기호들은 hierarchical ART2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된다. 제안된 악보 인식 방법 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00장의 악보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시된 hierarchical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악보 영상의 인식 방법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목소리 즉흥을 통한 음대생의 연주불안 감소 연구 (The Effect of Vocal Improvisation in Decreasing Musical Performance Anxie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sic)

  • 송지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2호
    • /
    • pp.43-70
    • /
    • 2009
  • 본 연구는 연주불안 감소를 위해 4명의 연주전공 음대생을 선별해 8회기에 걸친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을 개입한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사전 사후검사와 내용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첫째, 연구 참여 동기와 관련한 상태불안척도 점수는 평균 16.5점으로 유의하게(p < .068) 감소하였고, 둘째, 실제 연주불안 정도를 수치화하는 연주불안척도 점수는 평균 25.5점으로 유의하게(p < .068) 감소하였으며, 셋째, 연구대상자들이 직접 서술한 사후인터뷰질문지의 답과 회기별 언어적 서술을 통해서 연구대상자들이 느낀 음악적경험은 긍정적이었음이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이 연주불안을 경험하는 음대생들의 연주불안을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불안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이 음대생의 연주불안을 중재하는 방법으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와 관련해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음악대학 내 연주자들을 위한 불안 감소 프로그램의 하나로 도입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 PDF

다문화통합어린이집 내 이주배경아동-한국가정아동 간 또래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A Musical Play Program for Promoting Interaction Between Immigrant and Korean Preschoolers)

  • 김찬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4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통합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미취학 이주배경아동을 대상으로 이주배경 아동-한국가정아동 간 또래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다문화 수용성 기반 음악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2단계는 프로그램 개발, 3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4단계에서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수용, 개방된 상호작용 단계, 적극적인 관용적 태도를 중요한 중재 요인으로 도출하여 음악극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이를 다문화통합어린이집의 이주배경아동과 한국가정아동을 대상(평균 연령 6.9세)으로 30분씩 주 2회, 총 6회 시행하였다. 5단계에서는 실제 적용가능성 평가를 위해 유아교사 2인과 음악치료사 1인에게 검증을 받아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 간 또래상호작용과 다문화수용이 모두 증가하였고, 유아교사들은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주배경아동과 한국가정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하위영역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주배경아동과 한국가정아동은 관계성에서의 유의한 향상을 보인 반면, 전체 점수 차이는 한국가정아동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극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다문화통합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이주배경아동 및 한국가정아동의 다문화 수용성과 또래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데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뮤지컬 공연을 통한 원소스멀티유즈의 개발방안 제시 - 뮤지컬 '날아라슈퍼보드'를 중심으로 - (Presentation for OSMU development method through the musical - Focused on the 'flying superboard' -)

  • 임병석;안성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80-684
    • /
    • 2007
  • 예술로만 인식되었던 뮤지컬은 소득의 증가와 웰빙 소비 문화의 확산에 힘입어 이제 대중문화산업의 뉴 트렌드로 확실하게 자리 잡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원소스멀티유즈 측면에서 TV로 방영할 당시 애니메이션 사상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원작 콘텐츠인 <날아라슈퍼보드>가 뮤지컬로 어떻게 제작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며, 이것을 다시 어린이 공개방송으로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멀티 유즈 전략을 통해 만화, 애니메이션의 원작 콘텐츠를 활용하여 공연예술 콘텐츠를 기획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원소스멀티유즈의 개발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애니메이션의 뮤지컬화를 위해 그 제작의 전 과정에 있어서 원작의 캐릭터 특성과 이야기 구조 등을 뮤지컬 혹은 공연예술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 재편성하는 시나리오 각색 작업과 무대미술을 위한 디지털 영상의 기술적 활용 방안, 의상과 연출, 마케팅과 상품개발 방안에 이르기까지 실제 작품제작을 통해 원소스멀티유즈의 개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국 텔레비전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성쇠 -TBC-TV의 '쇼쇼쇼'를 중심으로- (The Rise and Fall of Television Musical Variety Show in Korea : Focusing on the 'Show Show Show' on TBC-TV)

  • 박용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1-63
    • /
    • 2014
  • 이 논문은 TBC-TV의 '쇼쇼쇼'를 중심으로 한국의 음악버라이어티쇼가 어떻게 성장하고, 쇠퇴했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KBS-TV로 통폐합되기 전까지 토요일 저녁 8시 경에 방송을 했던 '쇼쇼쇼'는 온 가족이 주말 저녁 한 때를 즐겁게 보낼 수 있도록 해주었다. '쇼쇼쇼'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을 다루었고, 음악외에 무용, 코미디는 물론 각종 마술이나 묘기들도 선보였다. '쇼쇼쇼'는 1970년대 말까지 모든 세대에게 인기를 누린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쇼쇼쇼'는 점차로 음악버라이어티쇼다운 특성을 잃으며 음악 위주의 프로그램이 되었다. 또한 갈수록 성인 취향의 음악이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쇼쇼쇼'는 통폐합의 영향으로 위축되기 시작하다가, 결국 시청행태 변화와 음악적 취향 분화의 영향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쇼쇼쇼'의 종영은 가족이 함께 보는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응용 입술 트릴 훈련이 뮤지컬 전공 학생의 음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Modified Voiced Lip Trill (MVoLT) training on vocal changes of musical theater students)

  • 이승진;최홍식;임재열;이광용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135-146
    • /
    • 2018
  • The Modified Voiced Lip Trill (MVoLT) training is a variant of voiced lip-till training characterized by increased loudness, lowered laryngeal position, and lip contact facilitated with finger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the MVoLT training program on vocal changes of musical singing theater students. A total of 32 musical theater students (17 males and 15 females, age ranging from 18 to 29)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about three months, each participant was tutored using a systematic program focussing on the MVoLT training, accompanied by certain facilitating strategies. Pre- & post-training multi-dimensional vocal characteristics were assesed and compared. Results showed that cepstral peak prominence during vowel phonation increased after training, while its standard deviation and Cepstral Spectral Index of Dysphonia decreased. When an aerodynamic assessment was performed, maximum phonation time, subglottal pressure, mean airflow rate increased, while electroglottographic measures did not change. In addition, decreased psychometric measures, higher maximum pitch, and increased vocal range were noted after training. In conclusion, the MVoLT was proven to have a potential as an effective and safe training method for musical theater sin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