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Composition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2초

윤상의 곡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시대별 변화 (Analysis of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Different Periods on Yoon-Sang's Music)

  • 박지은;정재윤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3-7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측면 중 가장 근원적인 접근이라 할 수 있는 음악적 연구의 일환으로 작곡가 윤상의 음악을 분석하였다. 윤상은 8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대중음악사의 많은 부분을 거쳐 꾸준히 활동해오고 있는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대표곡 21곡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윤상의 곡은 으뜸음을 중심으로 모든 화성 관계가 진행되는 조성음악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났다. 윤상은 작·편곡기법으로 상행·하행하는 순차적 베이스 라인을 만들어 화성을 진행하였고, 그에 따라 코드의 연결을 위해 속 7화음과 감 7화음을 사용하였으며, 곡의 마무리는 도미넌트 종지를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해결감이 강한 조성 음악을 만들어냈다. 한편 그의 음악이 안정감을 추구하면서도 획일적이지 않게 들리는 것은 온음계적 화성과 멜로디를 바탕으로 반음계적 화성의 진행을 적절히 활용하였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시대별로 나타나는 형식적 변화로는 90년대의 곡에서는 비중이 있었던 프리 코러스와 간주의 마디 수가 시대가 갈수록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시대별 비교를 통해 새롭게 발견된 화성적 변화는 90년대와 2000년대의 18곡에는 전조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반면 2010년대의 3곡 중 2곡에서 파트 간 전조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이는 윤상의 음악에 전반적으로 나타났던 하나의 강한 조성을 가진 음악이라는 특징이 2010년대부터 2개 이상의 조성을 가지는 음악으로 변했다는 점에서 큰 변화라 말할 수 있다.

신경망 기반의 멜로디 작곡법 (The Melody Composition by using Neural Network)

  • 조재영;김윤호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77-8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대중음악 코드진행 과정에 있어서 패턴 분석을 이용하여 멜로디를 추가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먼저, 멜로디를 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비트패턴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멜로디 추가 방법은 역전파 신경망 학습을 통해 멜로디 작곡 패턴을 학습시키고 학습 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멜로디를 생성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신경망 학습을 이용한 컴퓨터의 작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영화에 나타나는 클래식음악의 중의(重義)적 특성 - 브람스의 교향곡 제1번 제1악장을 중심으로 - (The Ambiguous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Music in Films - Focused on The First Movement of Brahms' Symphony No.1 -)

  • 이상윤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19-331
    • /
    • 2020
  • 본 연구는 영화 "테트로"와 "파괴자들"에 영화음악으로 쓰인 브람스의 교향곡 제1번 제1악장의 절대음악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 두 영화에 쓰인 이 음악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서 클래식음악이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특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영화음악이 표제 음악이 아닌 새로운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브람스의 교향곡 제1번 제1악장은 소나타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낭만주의 시대의 반음계적 어법의 특성을 지닌다. "테트로"에서는 이 음악과 등장인물의 가치적 연관성에 관한 역설, 이 음악의 작곡과정과 등장인물 스토리에 나타난 역사성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반면 "파괴자들"에서는 이 음악의 반음계적 어법이 영화의 인물과 사건의 분위기의 감정적 의미를 표현하는 표제 음악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테트로"의 종반부에 이 음악이 쓰인 장면은 여기에 등장하는 두 인물 중 어느 인물의 관점으로 이 음악을 해석하는지에 따라서, 하나의 음악을 각기 다른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중의적 특성 나타낸다. 그리고 이 영화에서 브람스가 이 음악을 완성하기 위해 21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보낸 점과 영화의 주인공인 테트로가 연극 시나리오를 탈고하고 페스티벌에 출품하기까지 10여 년이라는 오랜 시간을 보낸 점이 역사성의 관점에서 서로 일치하는 상호작용의 의미를 보여준다. 이는 절대음악 또는 표제 음악의 관점이 아닌 새로운 관점으로 영화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이러한 음악적 설정은 이 음악을 영화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하게 하고 대체 불가능한 청각적 주제로 인식하게 하였다. 클래식음악이 영화와 같은 다른 예술과 만났을 때, 이러한 음악의 중의적 특성은 클래식음악을 새롭게 인식하는데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음악치료 인턴들의 치료적 노래만들기 경험에 대한 주제분석: 포커스 그룹을 중심으로 (Thematic Analysis of the Therapeutic Song Writing Experience of Music Therapy Interns: A Focus Group)

  • 박찬양;김진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1호
    • /
    • pp.1-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인턴들의 치료적 노래만들기 경험을 심층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 인턴 다섯 명을 대상으로 경험적 음악치료 집단의 일환으로 치료적 노래만들기 워크샵을 240분씩 총 2회 진행한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들의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자료를 Braun & Clarke(2006)의 방법으로 주제분석하여, 총 6개의 주제와 18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6개의 주제는 '치료적 노래만들기에 대한 선입견', '의미있는 작사 과정', '작곡에서의 도전적 경험', '치료적 노래만들기 기법의 구조성 경험', '음악을 통한 자기인식의 발전', '집단작업을 통한 관계적 경험'으로 나타났다. 음악치료 인턴들은 치료적 노래만들기의 단계적 구조를 통해 집단의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소통하면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나의 노래로 완성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들의 약점이라 느꼈던 작곡에 대한 부담감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욕구와 필요성을 인식하며 개인적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치료 인턴은 치료적 노래만들기 과정에 참여하면서 인턴훈련 과정에서 직면하는 도전을 규명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개인적 성장과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코드기반의 조화로운 작곡을 위한 트리구조 응용 (Tree Structure Utilization for the Harmonious composition by using cord basis)

  • 조재영;김윤호;강희조;이명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1545-1550
    • /
    • 2003
  • 본 논문은 악보를 구성하는 코드를 기반으로 작곡의 수월성을 위해 트리구조식의 조직적 배열 방법을 제안한다. 컴퓨터 작곡 시스템은 일반인들도 작곡을 보다 쉽게 수행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지만 전문적으로 학습이 없이는 현실적으로 힘든 부분들이 존재하는 바, 조화로운 코드의 자연스런 연결방법을 모르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일정한 트리배열에 의한 규칙을 미리 만들어 줌으로써 작곡에 관한 초심자들도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여 음악을 전문적으로 배워오지 않은 일반인들이 작곡을 함에 좀더 편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V음악쇼 LED모션그래픽 조형이미지 구성 연구 (A Study on LED Motion Graphic Formative Image on TV Music Show)

  • 오호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23-834
    • /
    • 2015
  • 본 연구는 TV음악쇼 프로그램에서 가수 등의 공연자를 중심으로 배경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LED백드롭(backdrop)의 모션그래픽 이미지 조형구성을 분석하였다. 모션그래픽 LED 화면은 평면조형으로 구성되는데, 백드롭의 배경으로써의 기능이 공감각과 시각요소의 감성전달이라는 목표가 있는 것이므로, 감성전달 요소가 되는 컬러와 모션 방향과 속도에 대한 감성적 개념을 분석하였다. 감성전달 요소 중 그래픽 조형에 대한 분석으로는, 이를 이루는 형의 종류와 응용요소를 구분하고 그러한 요소들이 음악 곡의 전개인 인트로, 벌스, 브릿지, 코러스 부분에서 어떠한 모션 패턴과 배치가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남성과 여성 공연자의 배경으로써 어떠한 디자인 특징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사례연구로, 모션그래픽 배경이미지 디자인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지상파TV 3사의 청소년 대상 음악 순위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곡 전개에 따라 주로 디자인 되는 조형의 종류와 모션 패턴 그리고 모션 배치 유형을 도출하였다.

국악공연의 관람 결정요인 척도 타당화 (A Validation Study on Scale of Determina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 전주희;장인희;최배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공연시장 내에서 일반적으로 낮은 대중 선호도를 보이는 국악공연의 소비자 확보와 증가를 통한 시장 활성화를 위해 국악공연의 관람 결정요인 척도를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 관련 종사자 및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한 뒤 국악공연 소비자 유형별 관람 결정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KJ법을 이용한 개방형 설문 결과를 8개 요인, 총 65문항으로 범주화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 35문항이 추출되었고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서 구조의 적절성을 확인한 뒤 국악공연 관람 결정요인 척도의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일반 한국성인의 국악공연 관람 결정에 있어 흥미유발요인, 명성 실력요인, 정서 정보적 요인, 창의성요인, 가격합리성요인, 사회관계요인 순으로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둘째, 국악공연 관람 결정요인의 일반적인 경향은 국악공연 관람 결정요인 중 가격합리성요인과 흥미유발요인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정서 정보적 요인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A Method for The Musical Expression of Cognitive Food Taste

  • Kim, So-Eun;Lim, Seock-Won;Chun, Jae-K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738-742
    • /
    • 2005
  • We developed a musical composition and performing method for the dynamic expression of food taste, to replace the static expression obtained from a numerical sensory score and linguistic method. The musical score was composed using cognitive food sensory data gathered while eating potato chips via a computer equipped with a sound card and a master keyboard, as well as Cakewalk 9.0, Goldwave 5.0, and Windows Media Player. The music score included four lines, one representing sensory data and three reflecting three layers of human consciousness. Different time units were applied by incorporating different repetition cycles for the relevant consciousness layers. The musical scores of individual subjects differed in terms of the score pattern and its sound. The music representing food taste was played by four instruments and showed different sound and acoustic frequency patterns for each individual subject during the consumption of potato chips. The musical expression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dividual taste characteristics in the cognition of food.

쿼드트리를 이용한 코드기반 작곡 (Cord-based Mucical Composition by using Quadtree)

  • 조재영;김성태;이명길;김윤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93-297
    • /
    • 2003
  • 미디라는 컴퓨터 작곡 시스템으로 일반인들도 작곡을 쉽게 할 수 있는 방향이 주어졌음에도 음악을 전문적으로 배워오지 않은 사람들은 음악 작곡을 하기 힘들다. 본 연구는 작곡을 위한 코드를 초심자들에게 친숙하도록 규칙적인 코드 배열을 만든 후 컴퓨터를 기반으로 작곡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음악을 전문적으로 배워오지 않은 일반인들이 간단하고 편안한 방법으로 작곡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PDF

Designing an Interdisciplinary Learning Environment for Conservatory Students: Using the Liberal Arts to Expand Education and Better Support Performance Interpretation

  • Auh, Yoonil;Shin, Yeon 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2호
    • /
    • pp.1-8
    • /
    • 2014
  • This paper discusses designing an interdisciplinary learning environment to promote learning of the liberal arts for advanced music students in order to expand the boundaries of their education experience beyond the technical mastery of their musical instruments. The paper discusses the utilization of salient feature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and the use of instructional theory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how individual pieces of music can be connected to knowledge of the context in which they were created to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in the world and musical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