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x PCR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3초

쇠고기중 Escherichia coli O157:H7 신속검출을 위한 multiplex - PCR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multiplex-PCR for the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from raw beef)

  • 정석찬;정병열;윤장원;조윤상;김종염;박용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3-181
    • /
    • 1998
  • Esherichia coli O157 : H7의 slt I, slt II, uid A 및 eaeA 4종 유전자를 동시에 검출하기 위한 multiplex PCR 기법을 확립하고 쇠고기중 직접 E coli O157 : H7 검출시험을 실시하였다. 4 set의 primers를 이용한 multiplex PCR 기법으로 31종의 장내세균에 대한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E coli O157 : H7 에서 1,087bp (eae A), 584bp (slt II), 348bp (slt I) 또는 252bp (uid A)크기의 DNA를 동시에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E coli O157 : H7 15주는 모두 uid A 및 eae A 유전자가 동시에 검출되었고, 다른 장내세균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slt I 또는 slt II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E coli 표준균주 24종을 이용하여 multiplex PCR 기법과 Vero cell cytotoxicity assay을 비교검사한 결과 베로톡신 산생능과 PCR법의 결과는 일치하였다. mutiplex PCR 기법의 쇠고기중 검출한계는 modified EC(mEC)에서 증균없이는 E coli O157 : H7균 $10^4cells/g$ 이상에서 검출이 가능하였으나 mEC에 1차 증균후 modified TSB 증균하였을 경우에는 10cells/g이하까지도 검출이 가능하였다. 개발된 multiplex PCR 기법을 쇠고기 40종에 직접 적용한 결과 E coli O157 : H7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slt I 및 slt II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E coli 4종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혈청형은 O6, O112, O115 및 O139 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multiplex PCR은 쇠고기중 E coli O157 : H7을 신속하고 특이적으로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식품검사에서 Lis-mix multiplex PCR 방법의 응용 및 Listeria ivanovii 특이적 검출 (Application of Multiplex PCR Using Lis-mix Primers in Food test and Specific Detection of Listeria ivanovii)

  • 한기호;이칠우;양옥순;이영순;임윤규;윤병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1-257
    • /
    • 2001
  • Listeria monocytogenes와 L. ivanovii는 인간과 동물에 대한 식품 유래성 병원성 세균이다. Listeria 속에는 이들 병원균 외에 비병원성세균인 L. innocua, L, welshimeri, L. seeligeri, L.grayi 등 이 포함되어 있기에, 식품검사에서 배양법을 사용하는 종래의 Listeria의 검출방법은 시간과 많은 실험을 필요로 한다. 이런 이유 등으로 Literia의 종동정과 검출을 위한 신속한 검출법으로 Lis-mix multiplex PCR검출법 (Bubert et al., 1999)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검사에 활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Lis-mix multiplex PCR 방법을 개발하고, 아울러 새로운 Siw-mixIII PCR 검출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식품에서 분리된 총 69개의 Listeria 균주를 성공적으로 종동정할 수 있었으며, Siw-mixIII multiplex PCR방법을 사용하여 L. ivanovii, L.welshimeri, L.seeligeri를 한번의 PCR로 검출 및 종동정을 할 수 있었다.

  • PDF

A Novel Multiplex-PCR Assay to Detect Three Non-Halal Meats Contained in Meatball using Mitochondrial 12S rRNA Gene

  • Cahyadi, Muhammad;Wibowo, Tommy;Pramono, Ahmad;Abdurrahman, Zakaria Huse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28-635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three non-halal meat products consisted of dog, pork, and rat species in meatball using novel multiplex-PCR with 12S rRNA gene as target sites. A total of 33 self-made meatballs were used, and they were grouped into eleven types of meatball based on meat species origin contained in the meatballs. Each type consisted of three meatballs. Extraction of genomic DNA from the meatballs was used as a DNA template for simplex-, duplex-, and multiplex-PCR processes. The result of simplex-PCR, duplex-PCR, and multiplex-PCR showed that the 12S rRNA primer gene successfully amplified DNA for each species bovine, dog, pig, and rat, which are respectively indicated by 155, 244, 357, and 491 bp of DNA bands. In addition, multiplex-PCR with 12S rRNA gene primers can be uniquely and accurately used for detection bovine, dog, pig, and rat species on beef meatball in one reaction.

Dual priming oligonucleotide system for the multiplex detection of tuberculosis in Hanwoo

  • Shin, Jong-Bong;Park, Nam-Yong;Kim, Yong-Hwan;Cho, Ho-Se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27-532
    • /
    • 2007
  • In present study, we described the reliability of the dual priming oligonucleotide (DPO)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or the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MTC) and non-Mycobacterium tuberculosis (NMT) in blood samples of the Korea native cattle, Hanwoo. Among 340 samples 22 (6.5%) were positive in using DPO multiplex PCR, 21 (6.2%) were positive in PCR. The relative agreement between 2 tests was 99.7%, and the agreement quotient (kappa), was 0.95 (excellent). In these results, we demonstrated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DPO multiplex PCR for the diagnosis of bovine tuberculosis in Hanwoo. Multiplex PCR, using DPO primers, can be useful for the simple diagnosis of bovine tuberculosis in bovine blood samples.

Xenomonitoring of Different Filarial Nematodes Using Single and Multiplex PCR in Mosquitoes from Assiut Governorate, Egypt

  • Dyab, Ahmed Kamal;Galal, Lamia Ahmed;Mahmoud, Abeer El-Sayed;Mokhtar, Yasser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77-83
    • /
    • 2015
  • Wuchereria bancrofti, Dirofilaria immitis, and Dirofilaria repens are filarial nematodes transmitted by mosquitoes belonging to Culex, Aedes, and Anopheles genera. Screening by vector dissection is a tiresome technique. We aimed to screen filarial parasites in their vectors by single and multiplex PCR and evaluate the usefulness of multiplex PCR as a rapid xenomonitoring and simultaneous differentiation tool, in area where 3 filarial parasites are coexisting. Female mosquitoes were collected from 7 localities in Assiut Governorate, were microscopically identified and divided into pools according to their species and collection site. Detection of W. bancrofti, D. immitis, and D. repens using single PCR was reached followed by multiplex PCR. Usefulness of multiplex PCR was evaluated by testing mosquito pools to know which genera and species are used by filarial parasites as a vector. An overall estimated rate of infection (ERI) in mosquitoes was 0.6%; the highest was Culex spp. (0.47%). W. bancrofti, D. immitis, and D. repens could be simultaneously and differentially detected in infected vectors by using multiplex PCR. Out of 100 mosquito pools, 8 were positive for W. bancrofti (ERI of 0.33%) and 3 pools each were positive for D. immitis and D. repens (ERI 0.12%). The technique showed 100% sensitivity and 98% specificity. El-Nikhila, El-Matiaa villages, and Sahel Seleem district in Assiut Governorate, Egypt are still endemic foci for filarial parasites. Multiplex PCR offers a reliable procedure for molecular xenomonitoring of filariasis within their respective vectors in endemic area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r evaluation of mosquito infection after lymphatic filariasis eradication programs.

Multiplex PCR을 이용한 장출혈성 대장균 O157:H7의 검출 (Detection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Strains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 엄용빈;김종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56
    • /
    • 1998
  • 최근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장출형성 대장균 O157:H7을 분리배양 및 동정 없이 바로 시료를 분석하여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 (multiplex PCR) 기법을 확립하고, 이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분리 균주 중에서 SLT-I.II, eaeA, 60-MDa plasmid gene을 가지고 있는 대장균을 유전자 수준에서 검출하고자 하였다. 장출혈성 대장균 O157:H7이 가진 SLT-I.II, 60-MDa plasmid 유전자들에 대한 특이 oligonucleotide primers (MK1'-MK2', NAE19-NAE20, MFSIF-MFSIR)를 함께 동시에 반응 완충액에 넣어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한 결과 317bp (eaeA), 228bp (SLT-I.II), 167bp (60-MDa plasmid)의 PCR 증폭 DNA생성물을 표준균주 (E. coli ATCC 35150)에서는 확인할 수 있었지만, 기타 다른 병원성 장내세균 13세균 13균주에서는 band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template DNA 추출 방법에 따른 PCR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각의 DNA 추출 방법 중 boiling lysis 방법이 신속하고 간편하여 장출혈성 대장균 O157:H7에 의한 식중독의 임상진단에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 (multiplex PCR) 적용하는 데에는 boiling lysis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 PDF

Multiplex PCR 분석을 통한 건강한 20대 여성의 질 내에 서식하는 Lactobacillus 속 유산균의 신속한 검출 (Rapid Detection of Lactobacillus Genus Inhabiting in Vagina of 20's Healthy Women Using Multiplex PCR)

  • 오초롱;조홍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9-313
    • /
    • 2012
  • 본 연구는 multiplex PCR 방법을 적용하여 질 내부에 서식하는 유산균을 동시에 그리고 신속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세균의 감염에 의한 질염 증상이 없는 건강한 20대 여성 166명으로부터 질 분비물을 채취하였다. 건강한 여성의 질 내부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Lactobacillus 속에 속하는 6종의 유산균을 종 특이 multiplex PCR primer를 제작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Multiplex primer I은 L. iners, L. crispatus, L. gasseri를 선택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특성화하였고 multiplex primer II는 L. acidophilus, L. jensenii, L. fermentum를 선택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특성화하였다. Multiplex PCR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L. crispatus (77%)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고 L. acidophilus (57%)과 L. jensenii (57%)는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L. iners (59%)는 L. acidophilus (57%)와 L. jensenii (57%) 보다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지만 항생제 치료 과정 후 또는 세균성 질염의 경우에도 발견되는 균종으로 건강한 여성에게서 주로 서식하는 종이라고 결론 내리기는 어렵다. 결론적으로, 특정 유산균의 특이적인 primer를 이용한 multiplex PCR 기술은 질의 건강상태의 변화 또는 질의 질병으로부터 회복 과정을 예측할 수 있는 도구로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Simultaneous Detection of Four Foodborne Viruses in Food Samples Using a One-Step Multiplex Reverse Transcription PCR

  • Lee, Shin-Young;Kim, Mi-Ju;Kim, Hyun-Joong;Jeong, KwangCheol Casey;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2호
    • /
    • pp.210-217
    • /
    • 2018
  • A one-step multiplex reverse transcription PCR (RT-PCR) method comprising six primer sets (for the detection of norovirus GI and GII, hepatitis A virus, rotavirus, and astrovirus) was developed to simultaneously detect four kinds of pathogenic viruses. The size of the PCR products for norovirus GI and GII, hepatitis A virus (VP3/VP1 and P2A regions), rotavirus, and astrovirus were 330, 164, 244, 198, 629, and 449 bp, respectively. The RT-PCR with the six primer sets showed specificity for the pathogenic viruses. The detection limit of the developed multiplex RT-PCR, as evaluated using serially diluted viral RNAs, was comparable to that of one-step single RT-PCR. Moreover, this multiplex RT-PCR was evaluated using food samples such as water, oysters, lettuce, and vegetable product. These food samples were artificially spiked with the four kinds of viruses in diverse combinations, and the spiked viruses in all food samples were detected successfully.

Multiplex PCR 기법을 이용한 보통사마귀 내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출 및 분류 (Detection and Typing of Human Papillomavirus in Cutaneous Common Warts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 최순용;임종호;김은정;김혜성;김범준;강훈;박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47-952
    • /
    • 2011
  • 현재까지 다수의 역학연구를 통해 피부에 발생한 보통사마귀에서 제 1, 2, 3, 4, 7, 10, 27, 57 및 65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중합효소연쇄반응(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하는 경우 절차가 복잡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저자들은 보통사마귀에서 가장 흔히 검출되는 6가지 유전자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를 한번에 확인 가능한 간편한 muliplex PCR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인유두종바이러스의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L1에서 E6, 그리고 E2에서 L2 사이의 유전자간영역(intergenic region)으로 부터 6쌍의 primer를 고안하였으며, L1 유전자서열 분석을 통해 multiplex PCR의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총 129개의 조직표본 중 109개에서 제 1, 2, 3, 4, 27, 57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를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의 primer를 이용한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출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5%와 99.5%였다. 이러한 primer 세트로 인유두종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은 20개의 조직표본의 경우, 또 다른 HPV primer를 사용한 추가적인 multiplex PCR을 시행하여 7개 표본에서 제 7형 및 65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고안된 multiplex PCR 기법을 통해 보통사마귀에서의 인유두종바이러스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Differentiation of three scuticociliatosis causing speci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multiplex PCR

  • Kim, Sung Mi;Lee, Eun Hye;Kim, Ki Hong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5-149
    • /
    • 2004
  • The definitive identification of ciliate species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relies on time-consuming and laborious staining techniqu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iscriminated 3 scuticociliatosis causing species - Pseudocohnilembus persalinus, Uronema marinum and Philasterides dicentrarchi - in cultured olive flounder by multiplex PCR. The multiplex PCR based on the species-specific amplification of small subunit ribosomal RNA (SS rRNA) gene sequence enabled us to distinguish the 3 scuticociliate species in a simple and rapid manner, even in the sample containing the three species simultaneously. These data suggest that the multiplex PCR strategy would make it possible to avoid the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procedures of morphological analysis for the definitive identification of scuticocil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