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ltiple Stress

검색결과 2,416건 처리시간 0.03초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김수현;강현숙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3-131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levels of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cross-sec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22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under 15 years of age) with cerebral palsy at the Y medical center using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Scheffe test for post-hoc analysis or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parenting stress was 2.52 (SD=0.79; range: 1~4). The father's participation, mother's parenting hour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ing stress, significantly accounting for the 33.3% variance (F=16.118, p<.001). Conclusion: It is essential for health professionals to consider the aforementioned four factors when developing interventions to reduce parenting stress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Stress,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이성옥;이선미;김종림;이정숙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2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stress,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HPB)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337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an scores of male in HPB and self-esteem,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however the mean score of female in school life stres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The gender(p<.001), grade(p<.05), and health status(p<.001) affected the HPB significantly. The school life stres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HPB, but the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HPB.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wo factors, that were school life stress and self-esteem, affected the HPB significantly(p<.001) and made a 48% predi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life stress and self-esteem a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HPB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ive HPB program and systematic health education are needed to increase the HPB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

유아교육기관 만족도에 따른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경상남도 OO시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n the parent's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Childhood Education Center Satisfaction)

  • 전근혜;조성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99-30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만족도에 따른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OO시의 유아교육기관 학부모 7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20일부터 10월 10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만족도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자아존중감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높고,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양육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 개선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Stress in Adolescents)

  • 정미라;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99-407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05월 09일부터 05월 19일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는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1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년, 긍정심리자 본 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7.1%(F=7.68, P<.001)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완화시킬 수 있는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강화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Job Stress and Occupational Commitment of Security Workers)

  • 송은일;이종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54호
    • /
    • pp.181-202
    • /
    • 2018
  • 이 연구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시큐리티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유의표집방법으로 188명의 표본을 추출하고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직업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직업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직무스트레스 두 요인이 직업몰입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직무스트레스는 매개변수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각 조직에 필요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요인을 선택하고 새로운 방안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갖춘다면 시큐리티산업의 질적 성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 전 증상 영향 요인 2차자료 분석: 수면, 직무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Secondary Data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Premenstrual Symptoms of Shift Work Nurses: Focused on the Sleep and Occupational Stress)

  • 백지현;최스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631-64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remenstrual symptoms (PMS) of shift nurses and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PMS, sleep, and occupational stres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secondary data analysis that used data from the Shift Work Nurse's Health and Turnover study. The participants were 258 nurses who were working in shifts including night shifts. PMS, sleep patterns (sleep time and sleep time variability), sleep qualit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each participant were measured using the Moos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a sleep diary, an actigraph,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nd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re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 and STATA 15.1 to obtain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and Baron and Kenny's mediating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PMS score, average sleep time, average sleep time variability, average sleep quality score, and average occupational stress score of the participants was 53.95 ± 40.45, 7.52 ± 0.89 hours, 32.84 ± 8.43%, 12.34 ± 5.95, and 49.89 ± 8.98, respectively.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GEE indicated that sleep time variability (B = 0.86, p = .001), and sleep quality (B = 2.36, p < .001) had negative effects on nurses' PMS. We also found that sleep quality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PM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both sleep time variability and sleep quality are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PMS among shift work nurses. To improve shift nurses' PMS status, strategies are urgently needed to decrease sleep time variability and increase sleep quality.

2차원 평판 내 구멍-모서리 및 구멍간의 응력 집중 효과를 고려한 리벳 배치 최적화 기법 검증 및 제안 (Verification and Suggestion of Optimization Method for Rivet Arrangement with Regard to Stress Concentration between Hole-Edge and Hole-Hole on a 2-D Plate)

  • 이상구;공두현;심지수;신상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491-498
    • /
    • 2016
  • 리벳이나 볼트가 결합되는 구멍은 항공기, 선박 및 기타 구조물에 사용되는 판재의 응력 집중을 유발한다. 과도한 응력 집중 현상이 지속되면 종래에는 파단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설계 단계에서 응력 집중 현상의 명확한 해석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판재위에 리벳을 배치하는 간단한 최적화 방법이 제시되었다. 첫째로 응력 집중 현상 해석에서 FEM 구조 해석이 얼마나 정확한지 검증하였다. 평판 위에 존재하는 단일 구멍의 반경을 바꿔가며 응력 집중 계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일렬로 존재하는 구멍들 사이에서의 응력 집중 계수를 수치 해석하였다. 각각의 응력 집중 계수를 이론값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응력 집중 현상을 독립적으로 적용하는 최적화 방법을 확인 및 검증하였다. 이 결과들은 이론적인 예측과 밀접한 경향성을 보여 앞으로의 리벳 배치 최적화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융복합시대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ustrial Workers' Job Stre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n Subjective Happiness in convergence era)

  • 지민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85-19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근로자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는 2016년 8월 8일부터 9월 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t-test와 one way ANOVA, Scheffe'사후 검정 분석,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스트레스와 구강건강영향지수, 직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주관적 행복감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은 성별, 주관적 경제 수준, 주관적 전신건강, 정기적 치과 검진, 직무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을 위해 정기적인 산업 구강 중재 프로그램의 시행과 함께 긍정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의 융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the Influence of Grateful disposi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n Stress coping of College students)

  • 조미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01-109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간호학과와 비간호과 학생 336명으로, 통계자료는 t-test,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학과 학생들이 비간호과 학생에 비하여 감사성향, 생활만족도,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에 유의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2학년이 1학년보다 감사성향, 주관적 행복감, 스트레스 대처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감사성향은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대처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스트레스 대처에 주 영향 요인은 정적 정서와 감사성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육과정이나 교과 외 활동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감사성향을 높여줄 수 있는 방안의 강화가 필요하다.

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의 융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the Effects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 on Clinical stress in Nursing students)

  • 조미경;정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539-547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간호학과 학생 211명으로, 통계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여학생, 학교만족도,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가 낮을수록, 수간호사와의 관계를 어렵게 느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 점수가 높았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의사소통 능력과 강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주 영향 요인은 실습 만족도, 의사소통 능력과 성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이나 중재프로그램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실습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관련변수 파악과 다각적인 방안의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