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Stress in Adolescents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정미라 (한영대학 간호과) ;
  • 정은 (광양보건대학 간호과)
  • Received : 2017.09.04
  • Accepted : 2017.10.19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stress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academic stress in the adolesc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40 adolescents in the two middle school located J city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May 9 2017 to May 19 2017.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0.0 program.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ademic self-efficacy and grade predict 27.1%(F=7.68, P<.001) of academic stres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nd decrease the academic stress, the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self-efficacy are needed.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self-efficacy strategy program for decrease academic stress in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05월 09일부터 05월 19일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는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1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년, 긍정심리자 본 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7.1%(F=7.68, P<.001)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완화시킬 수 있는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강화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신효정, 이문희, "애착외상과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와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호, pp.291-312, 2014.
  2. 노충래, 김설희,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성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불안에 대한 개인요인 및 사회적지지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제39권, pp.39-68, 2012.
  3. 김영지, 유설희, 김수진,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VI - 2016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통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제12권, pp.1-312, 2016.
  4. 조붕환, "초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제5권, 제3호, pp.5-21, 2006.
  5. 최인재, 모상현, 강지헌,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연구I: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pp.1-242, 2011.
  6. 김정현, 김성벽, 정인경,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5권, 제4호, pp.241-269, 2014.
  7. 장효원, 김정현, 어성연, 정인경, "중학생의 학업 스트레 정도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정신 건강 비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4권, 제3호, pp.57-72, 2012.
  8. 하진의,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 및 우울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1권, 제1호, pp.115-134, 2015.
  9. F. Luthans,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Developing and managing psychological strengths," The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6, No.1, pp.57-75, 2002. https://doi.org/10.5465/AME.2002.6640181
  10. F. Luthans, C. M. Yousse-Morganf, and B. J. Avolio, Psychological capital and beyo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1. 이계순,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2. 이규용, 송정수, "심리적자본이 임파워먼트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전경영학회지, 제12권, 제4호, pp.289-300, 2010.
  13. 이순늠, 김정아,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개념분석," 간호행정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81-190, 2017.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181
  14. 김민지, 고재홍, "가족응집성과 청소년의 행복: 청소년의 긍정태도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제37권, 제1호, pp.83-94,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1.83
  15.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호, pp.95-123, 2001.
  16. 윤여진, 정인경,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5권, 제2호, pp.219-232, 2014. https://doi.org/10.7856/kjcls.2014.25.2.219
  17. 이경희, 김지연,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지, 제17권, 제4호, pp.33-57, 2014.
  18. 김세은, "방송통신대학 간호학 전공과정 간호사의 수업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594-60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1.594
  19. 선혜연, 오정희,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초등학생과 중학생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197-212, 2013.
  20. 정잔디, 김희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어머니 변인의 인과적 관련성," 제12권, 제3호, pp.75-83, 2014.
  21. 김효연, 중학교 영재와 일반 학생의 개인적 특성 및 정서조절능력과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2. F. Luthans, B. J. Avolio, J. B. Avey, and S. M. Norma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Vol.60, No.3, pp.541-572, 2007.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7.00083.x
  23. M. E. P. Seligman,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New York, NY: Pocket Books, 1998.
  24. 김경식, 김연규, 박영만, 서강석, "청소년의 캠핑 참가가 회복탄력성 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1010-102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1010
  25. 최효진, 이은주, "간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61-268, 2012. https://doi.org/10.7739/jkafn.2012.19.2.261
  26. 조한익, "고등학생의 학업낙관성, 학업스트레스,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7권, 제4호, pp.783-803, 2013.
  27. 최아라, 이숙, "중학생의 기질, 사회적지지 및 정서조절능력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제37권, 제2호, pp.57-77,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2.57
  28. 최인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0호, pp.219-243, 2014.
  29. 정인경, 김정현,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4권, 제4호, pp.193-211, 2016.
  30. 윤여진, 정인경,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5권, 제2호, pp.241-269,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