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Member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2초

다문화 가정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성과 (The Present State and Outcom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 김선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29권
    • /
    • pp.367-389
    • /
    • 2012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briefly consider the present state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to consider the outcomes produced so far. Married woman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must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group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their huge number and their roles and meanings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uplift the Korean communicative ability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 effective operating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eded, and also live and efficient Korean language instruction must be given by capable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adequate teaching materials. A custom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also be offered based on researche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s "Korean language learn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woman immigrants has almost been set up in some extent, in terms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er training system. Therefore, an efficient operating system must be constructed so that th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can be actively utilized in the si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 periodical retrain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s also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efficiency. Howe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is still in its infancy due to its late start-up. By the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recently been fixed, KSL text books are being developed, and a diagnostic tool for evaluating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is now in progress. Many continuing concerns and support must still be provided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and fostering them as competitive and capable of speaking Korean.

다문화 대상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Multicultural Family Business Model)

  • 노규성;이주연;박성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199-207
    • /
    • 2016
  • 다문화 가정의 증가는 전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이에 정부와 자방자치단체에서도 다문화 관련 정책을 시행 및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구성원에게 필요한 서비스라기 보다는 정책적인 사항으로 진행이 되고 있어 정작 수요자인 다문화 구성원들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 얼마나 필요성을 느끼고 하고 있으며,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욕구를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문화와 관련된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다문화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다문화 정책 및 사례를 전문가 인터뷰와 다문화 구성원 인터뷰를 통해 다문화 구성원에게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최종적인 비즈니스 모델(교육기관 다문화구성원 간 자녀학습 관리 온라인 서비스 사업, 다문화 자녀 대상 학습 콘텐츠 제공 사업, 다문화 구성원 간 온라인 소통서비스 사업, 다문화 콘텐츠 공유/교류 서비스 지원 사업, 다문화 구성원 직업역량 개발 콘텐츠 제공 사업)과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가정의 한의의료이용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Korean Medicine util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 송민선;최찬헌;김동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0-7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Korean medical utilization and Korean medical expenses by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to investigate whether it affects Korean medical utilization.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 Health Panel data in 2018, with 238 final participants. We performed a t-test and ANOVA on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medical utilization and Korean medical expenses according to Anderson's Model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variab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generalized linear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Korean medical utilization factors. Results: The Korean Medical utilization was 12.61%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female had high Korean medical utilization(p=.008), and rural area residents had low utilization(p=.017). Korean medical expenses were high when they were female or married. Including the utilization of western medical services by outpatients, Korean medical expenses were high when they were female or outpatients who received western medical service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Korean medical utilization were gender and residence area. There were differences in Korean medical expenses depending on western medical services use or gend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se factors to expand the Korean Medical utilization by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research of the Korean medical utilization by disease is needed.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 교육프로그램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Educational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 이상헌;박경민;손순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457-466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체계적고찰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국내 데이터베이스인 KISS, RISS, NDSL, DBia, nanet을 사용하여 출판된 문헌을 2020년 12월 1일부터 2021년 1월 7일까지 검색 후 총 21편의 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자 3인이 코드화한 후 정리하였다.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중재의 특성은 자녀 대상 연구가 12편 부모 대상 연구가 8편 부모와 자녀를 모두 포함한 연구가 1편이었다. 중재프로그램의 속성에서 대다수의 연구가 건강, 반응적 돌봄, 조기교육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영양과 안전 영역을 적용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 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론적 기틀을 토대로 다문화가정이 겪는 문제를 포괄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 구성원의 의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Medical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Members)

  • 안성신;장미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99-209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의 의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 구성원의 의료서비스 개선 및 보건의료 지원 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경기도 A시 소재의 외국인 근로자 센터와 다문화 센터 이용자 301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1부터 11월30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의료진, 의료환경, 진료비용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의료진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은 3,65로 가장 높았고, 의료환경의 평균은 3.55, 진료비용의 평균은 3.08순으로 나타났다. 의료진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나이와 건강보험이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28%로 나타났다. 의료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나이와 직업이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17%로 나타났다. 진료비용에 대한 만족도는 다문화 형태, 교육수준, 직업이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33%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다문화 구성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보건의료 향상을 위해서는 다문화 구성원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와 관련된 보건의료이용실태 및 만족도를 살펴보고 의료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다문화 가정을 위한 주거모델 연구 - 부여 지역 다문화가정의 주거만족도와 주거실태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House Model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Sensus for the Satisfaction 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Dwelling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Pu-Yu Area)

  • 이찬용;김종환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9-37
    • /
    • 2012
  • The main aim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make the resources for the architectural planning available and usable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various dwelling needs in order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to make comfortable settlement.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demand the various needs depending on their usage and identification of the dwelling space. The current research has conducted to define the solution to address the raised issue and unsatisfied factors from the dwelling that does not meet the multi-cultural families' demand, finding out from the survey/interview from the multicultural dwellers The methods to investigate is firstly to conduct the research based on the previous data with theological study, secondly, to perform the survey to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irdly, to determine the satisfactory status and the requesting factors for the spaces by in-depth interview with selected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the diagram.

생애발달주기에 따른 다문화 청소년 진로문제 인식의 차이 연구 (Difference in Perception toward Career Problem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Life-cycle Stages)

  • 김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470-48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여부와 생애주기 네 개 단계(청소년, 결혼 전 성인기, 가족형성기, 자녀양육기)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문제 인식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다문화 가정 여부와 생애주기간에 다문화 청소년 진로문제 인식에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 전국 규모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1,338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해 이원 다변량 분산분석(two-way MANOVA)을 실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이 비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에 비해 다문화인 외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 집단이 상대적으로 다문화 청소년들의 대인 관계 및 사회생활 적응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낮은 편이었다. 둘째,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은 비다문화 구성원들보다 다문화 학생들의 진로교육 기회 확대와 취업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청소년이 다른 집단에 비해 취업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가정 여부와 생애주기 간에 다문화 청소년 진로문제 인식에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가정환경, 진로활동, 교육 및 제도의 모든 항목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였다. 다문화 가정 내 또는 비다문화 가정 내 구성원들 간에 다문화 청소년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지역사회 구성원의 문화적 민감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ty Members' Cultural Sensitivity about Immigrant Wives)

  • 김민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1호
    • /
    • pp.69-86
    • /
    • 2010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ultural sensitivity of community members to migrant wives in Korea. A total of 12 community members: 4 neighbors, 4 practitioners, and 4 public officials from both urban and rural area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prior experiences with migrant wives. The participants provided their personal feelings and thoughts on a variety of issues involving migrant wives, such as cultural integration, cultural knowledge, opportunity equality, cultural originality, language usage, openness, and the movement toward a more multicultural society. Interview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had perceived others' prejudice toward migrant wives in Korean society;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cultural festivals and gain knowledge of other culture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endorsed a uni-directional perspective on cultural adaption, and they thought of migrant wives as community members.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and they suggested that Korean society is moving toward a broader perspectiv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교육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 다문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for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 Focusing on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Media -)

  • 이성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141-1155
    • /
    • 2022
  •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about learning about a specific ethnic group, but rather developing the ability to cross the border of one's own culture and have conversations with people of other cultures. I think the purpose is to promote empathy and consider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multi-dimensional educational programs for all members of society for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lead personal, social and civic action movements to create a fair society through media-based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said that In order to achieve harmony and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the most important to acknowledge cultural diversity and to discard cultural prejudices and inequalities for symbiosis between the mainstream culture and the minority culture. In particular,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hich have successfully led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are comprehensive in all areas, including interculturalism based on peaceful coexistence and respect, labor market issues, vocational education issues, housing and health issues, and communication issues through media literacy. He led a multicultural national integration system with approaches and methods. Therefore, ou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hould also pursue a new paradigm that presupposes a change in the public's awareness of a multicultural society.

다문화가정의 사회통합모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자본과 사회적기업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Integration Model of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the Role of Local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erprises)

  • 오종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1호
    • /
    • pp.1-21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외국인의 증가로 다문화국가로 진입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다문화 가정의 사회 통합이라는 사회적 과제 해결을 목적으로 사회통합모형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역사회자본의 개념화와 척도개발을 통해 지역사회자본의 사회통합에서의 역할을 검정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 기업의 역할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지역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삶의 질 및 사회참여의도를 통한 사회통합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서울,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지역사회자본 및 주관적 삶의 질, 사회참여의도와 사회적정체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63부의 유효응답을 대상으로 공분산구조모형을 통해 변수간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인적사회자본과 기업사회자본은 주관적 삶의 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기업사회자본과 공동체사회자본은 사회참여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주관적 삶의 질은 사회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지역사회자본이 사회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정체성이 부분적으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의미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