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Acceptability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인권의식, 공감능력 및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Human Rights Awareness, Empath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 서명자;오윤정;이은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2호
    • /
    • pp.123-129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권의식, 공감능력 및 다문화수용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는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2년 10월 11일부터 2022년 11월 5일까지 G시 소재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인권의식은 간호윤리교육 유무, 외국인이나 이주민 친구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권인식은 공감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인권인식과 다문화수용성, 공감능력과 다문화수용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전문직으로서 역량 강화에 기여하기 위한 간호교육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in Korean Adolescents)

  • 차슬기;변해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07-213
    • /
    • 2018
  •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일반 청소년들의 다문화 인식 개선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위한 향후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다문화', '수용성', '청소년', '중학생', '고등학생'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된 6,435건의 논문 중 영향요인을 분석한 종적연구 6편을 분석하였다. 논문의 질적 평가는 미국 질병관리센터의 Community Guide와 STROBE의 질적 평가 기준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요인에서 성별, 해외방문경험, 삶의 만족도, 가정요인에서 부모의 양육방식 중 방임과 학대, 부모의 학력, 학교 및 지역사회요인에서 교우관계, 교사관계, 지역사회 관계, 공동체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은 일부 요인에만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와 같은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영향 요인은 학년이 바뀌면서 함께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학년별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조성과 교육의 지원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접촉경험과 문화적 공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and Ethnocultural Empath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Nursing Students.)

  • 노윤구;이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373-381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접촉경험과 문화적 공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C시의 3개 간호학과 학생 16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11월 15일부터 12월 20일까지 하였다.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수용성은 정서적 공감(r=.56, p<.001), 인지적 공감( r=.40, p<.001), 다문화접촉경험(r=.16, p=.040)과 양의 상관이 있었다.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3.7% 로 나타났다(F=42.47, p<.001). 본 연구에서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은 다문화수용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전략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군 간부의 자존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을 매개로 (Effect of self-esteem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t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for Republic of Korea Army officials)

  • 최경일;조성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75-383
    • /
    • 2017
  • 본 연구는 군 간부의 자존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 관계를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이 매개하는지 동시에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강원도에 소재한 육군 부대 각 1개에 복무하는 580명의 간부를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비롯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군 간부의 자존감은 군생활 적응만을 매개하거나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을 차례대로 매개하여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군간부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군 간부의 자존감, 직무만족 및 군생활 적응을 동시에 높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군 간부의 자존감, 직무만족 및 군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과를 통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the Daily Life Schedule on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 홍길회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13-332
    • /
    • 2014
  •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일과를 통한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여부가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경기도 서부 A시의 만 4세반을 각각 1학급씩 편의 표집하여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 대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44회기 동안의 프로그램에 의한 교육을 실행한 후 4세아의 문해능력을 고려하여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그림 자료와 검사지침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문화 인식, 다문화 공감, 다문화 개방성, 관계형성 능력 등 유의하게 높아 다문화 수용성 증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도성, 도움,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서도 실험집단의 유아가 유의미하게 높아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유치원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에 맞추어 구성 및 적용한 유아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을 도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육교사의 다문화 수용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가정 유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ulti-Culture Acceptability,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on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s in Childcare Centers: Mediation Effect of Attitude towards Multi-Culture Education)

  • 김혜금;임양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5호
    • /
    • pp.557-566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ulti-culture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on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s. The teachers' attitude towards multi-culture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as a mediator between multi-culture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Participants were 295 teachers and 295 young children between 3 and 5 years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Ulsan, Gyeonggi,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multi-culture acceptability,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towards multi-culture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obel test with SPSS ver. 18.0 and AMOS ver.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scale of multi-culture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general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loseness and conflict in the subscale of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s. Second, teacher's multi-culture acceptability directly influenced the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impact of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on young child-teacher relationship was mediated perfectly by the multi-culture education attitud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promot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s and that can be changed to positive teacher relationships.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에서 상호문화감수성의 효과 (Mediating effec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 이소원;김보영;박충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919-926
    • /
    • 2023
  • 본 연구는 다문화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수용성 및 상호문화감수성의 관계를 탐색하고 향후 보건의료인력으로서 다문화 인식 제고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일 개지역의 2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였으며 임의응답 및 중도탈락을 제외한 108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확인되었다(r=.572, p<.001). 상호문화감수성과 다문화수용성(r=.650, p<.001), 다문화 인식(r=.456, p<.001)과의 관계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에서도 상호문화감수성의 매개 효과가 있었다. 즉,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상호문화감수성은 0.188-0.554의 범위로 95% 신뢰구간에서 0이 포함되지 않아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했을 때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문화 인식에 대한 제고와 더불어 상호문화 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융합시대를 위한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연구: 다문화역량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for Convergence Period: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Capabilities)

  • 김영옥;신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30-138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역량을 매개로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목적으로 서울시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보육교사 327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IBM SPSS Statistics 20.0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차별성과 다문화지식간의 관계, 국민정체성, 다문화차별성, 세계시민행동의지와 다문화인식간의 관계, 다문화지식과 조직적응성간의 관계, 다문화인식과 조직적응성, 조직생산성간의 관계, 국민정체성과 조직생산성간의 관계, 다문화차별성과 조직생산성간의 관계, 세계시민행동의지와의 관계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었고, 이중적평가간의 관계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인식만 조직적응성과 조직생산성에 영향을 미침으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융합시대에 어린이집의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조직적응성, 조직생산성과 연계하여 다문화인식에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이 보육교사들에게 필요하다.

국악장단을 적용한 크로스오버 음악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rossover Musical Activities: Applying the Traditional Korean Jang-dan on the Multicultural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 홍길회;윤혜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4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장단을 적용한 크로스오버 음악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Y시에 위치한 J유치원의 만5세 1반(실험집단 21명)과 S유치원의 만5세 2반(비교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의 61명(남31명, 여 30명)이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국악장단을 적용한 크로스오버 음악활동을, 비교집단에는 국악중심 음악 활동을, 통제집단에는 5세 누리과정의 음악수업을 각각 20회기동안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인식 하위요인 중 사후 문화개방성 점수와 사후 문화수용성 점수는 국악장단을 적용한 크로스오버 음악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문화존중성은 국악중심 음악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악장단을 적용한 크로스오버 음악활동은 유아의 다문화 인식의 하위요소인 문화개방성과 문화수용성의 인식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다문화수용성이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Awareness of Unif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한승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1-7
    • /
    • 2017
  • 본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수용도가 통일 필요성 인식에 구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잠재변수로서 다문화수용도, 북한이탈주민 친근감, 통일 필요성 인식을 선정하여 완전매개와 부분매개모형을 구성하였다. 잠재변수에 대한 관측변수는 2015년에 통일연구원에서 수행한 남북한통합 국민의식 조사 자료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가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다문화수용도는 북한이탈주민의 친근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북한이탈주민 친근감도 통일필요성 인식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 친근감은 매개변수로서 부분매개보다는 완전매개변수로 작용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후세대에 통일에 대한 의식이 약해짐에도 다문화 사회로 변하는 현상이 통일 필요성을 인식하게 만드는데 일정부분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수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증가도 궁극적으로는 통일 필요성을 인식하게 만드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수용성의 증가가 통일의 필요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연구분야가 도출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