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family Hous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4초

재고아파트 재활용을 위한 2戶1住宅 수평병합 유형연구 - 나주 주공아파트 15평형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Merging Typology of Two Adjacent Dwelling Units for the Reuse of Stock Housing -focused on the 15 pyung Apartment Constructed by KNHC, Naju, Korea-)

  • 손승광;조순철;이화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1-61
    • /
    • 1999
  • Small apartment housings in Korea are dissatisfied due to the growing areas and changing lifestyle of the residents. Many of them currently confronted with slum areas and kinds of housing stock accumulated much more in Korean contexts. An extention of the existing small houses could be an adaptation model to the increasing requirement standards of the house residents. The new model could support diverse identification of the dwelling model in a settlement and many residents could be satisfied with the settle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unification typology of two dwelling units to one in order to remodel existing small apartment houses on the 15-pyung areas (N type) constructed by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in Naju. The proposed type of the merging of the dwellings remove concrete panel walls, make a path through balcony and attach a living areas to the front of the houses in order to make a circulation between the dwellings. A stair hall can be located in-between or inside the merged houses. It can also enhance privacy against conflictive activities in a house and possibly provide space appropriate for three-generation living. It can be devided for the multi-family use. Finally, the merging types of two dwelling units into one can be used as a device to get rid of the monotonous characteristics and gain diversity in the declining stock housing.

  • PDF

관계적 공간에서 결혼 이주 여성의 삶 (Married Immigrant Women's Life in Relational Spaces)

  • 박규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3-222
    • /
    • 2013
  •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 하에서 수행되었다. 하나는 결혼 이주 여성이 가족, 이웃, 친구, 조직, 국가와 관계하면서 겪는 갈등, 차별, 저항 등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결혼 이주 여성과 가족을 새로운 시각, 즉 초국가(국경을 초월한 로컬과 로컬의 관계), 로컬, 국가와의 관계적 공간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국제결혼에 의해 초국가적 공간이 형성되며, 생성된 공간은 결혼 이주 여성의 (비)일상적 활동에 의해 유지된다. 초국가적 활동은 송금(remittance), 자녀의 양육과 교육, 친정 방문, 전화나 인터넷 등을 통한 정서적 교감 등이 포함된다. 둘째는 결혼 이주 여성이 가족, 이웃, 친구, 기관 등과 연관됨에 따라 중층적인 관계적 로컬 공간이 형성 유지되고 있다. 셋째는 결혼 이주 여성은 국적 취득과 정부(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지원 사업의 측면에서 국가 권력 혹은 정부 행정과 연관되어 있다. 국민 정체성과 관련지어 결혼 이주 여성은 모국과 한국 가운데 어디에 속하는지 구분이 불명확한 위치에 놓여 있음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 PDF

고령자가 인지하는 지역환경의 고령친화정도 - 일본 나가사키 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 (The Degree of Age-Friendliness of Living Environments Perceived by the Aged -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Nagasaki Area in Japan -)

  • 김수영;배용준;오찬옥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99-211
    • /
    • 2016
  • 본 연구는 일본 나가사키시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자가 거주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어느 정도 고령친화적이라고 인지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일본 나가사키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자 96명이었으며 조사내용은 고령자와 관련된 근린생활시설의 위치와, 보행로, 교통, 노인공동주택의 제공정도, 주택 내부공간, 주택 내부공간의 휠체어 사용편리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지역환경의 고령친화도이다. 자료수집은 일대일 면접조사방법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고령자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부분의 근린생활시설들이 도보거리 내에 있거나 버스로 10분 이내의 비교적 가까운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었다. 둘째, 지역환경의 5개 영역 중 교통환경과 주택 내부공간, 보행로 영역은 전반적으로 고령친화적으로 되어 있는 반면 노인주택의 제공정도와 주택 내부공간의 휠체어 사용편리성은 다소 미흡하였다. 셋째, 조사대상 고령자의 특성 중 성별과 학력에 따라서는 지역환경의 고령친화도에 대한 인지가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가족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실증연구 -안산시 중국동포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s Housing Satisfaction -With focus on Korean-Chinese in Ansan City-)

  • 이무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23-335
    • /
    • 2017
  • 최근 한국은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이며 인구증가와 주변의 환경이 많이 변하고 있다. 특히 안산시 다문화가족의 인구유입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의 주거환경은 아직도 열악한 상황이다. 다문화가족에 대한 주거정책과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개선해야 되는지, 현실적으로 어떤 정책적 대안이 더욱 필요한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산시 거주 중국동포의 주거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안산시 거주하는 중국동포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도구로는 통계 패키지인 SPSS 20.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부주거정책의 인지도가 부족하며 둘째, 도시개발과 도시재생으로 인하여 집값이 상승하는 문제로 인하여 주거에 대해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셋째, 주거점유형태가 자가보다는 전 월세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중국동포 다문화가족의 주거환경개선과 정책적지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족의 향후 상호호혜적인 실천 방안 및 전략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지방화시대에 따른 제주지역의 주환경 개선 사업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for the Improvement Project of Housing Environment in the Cheju Island Region the Era of Globalization)

  • 김봉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69-76
    • /
    • 1995
  • Recent opening of the era of local government and management randers study tasks concerning the improvement of the housing conditions by improving the problems in the residential conditions of the cheju Island region so as to help improve the life qualities of this legion make the area as an international resort place, and thus develop the indentify in the heat of the people in this region.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 improve the collective housing. housing construction plan shall b made in harmony with the skylines of the Hanra mountain alongside the East-West rides across the long diameter of the oval shape of the Island, which includes 1) the construction of housing complex in harmony with and taking advantage of the natural scene of the area. and 2) the construction of variable housing readjustable in accordance with each family structure of variable housings for multi-families, which are believed not to provide quality housing conditions. Shall be entrained. (2) Encouraging the construction of detached house : 1) construction of housings in which three generations can reside together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in the region. 2) construction of the pastoral housings. 3) construction of tenement housings partitioned for each two families. 4) development of sliver town in the rural area. (3) Using the construction mateials produced in the Cheju I land will help promote the development of identity in the heart of the people in this region.

  • PDF

한국 도시동네의 형태변화 모델 - 동네의 성장과 교육시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Development Model of Korean Urban Neighborhood: - focusing on the Neighborhood Growth and the Educational Facility -)

  • 한광야;김민지;하성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15-2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hypothetical urban neighborhood, HanGyo-dong, which is a model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ighborhood change and educational facilities. Three issue layers of the model derived from preceding case studies are: establishment, relocation and redevelop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formation and redevelopment of adjacent residential areas; and growth of neighborhood commercial cores. The neighborhood changes observed through HanGyo-dong include (1) the formation of educational base and commercial activities along the stream, (2) the growth of student and intellectual community and the install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nodes, and (3) the relocation of schools and hospitals followed by a series of redevelopments of single family house into multi-family housing of low-rise residence and high rise apartment complex. The findings call for the collaborative practi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neighborhood planning regarding how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were the tool for urban expansion polic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eighborhood's identity as a localized hub.

3세대가족의 동거실태와 동거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ce and Consciousness of Cohabitation of Three Generations Family)

  • 임만택;박경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3-23
    • /
    • 2000
  •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ulti-generations' cohabitation and housing conditions are necessary for each generations to take over the homelike interchange as maintaining the excessive self-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151 men and women over 60 years and older in Mokpo. The survey revealed that most or the people owned their own homes, and in many cases that the parents bought the home.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parents have been living with their own homes, and in many cases that the parents bought the home.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parents have been living with their children's families, since their children got married, and there many people who think that cohabitation is natural. In the aspect of living, the families normally eat together but there is a separation in economy and entertainment. There are many renovation and remodeling of a house to adjust the situation of three generations' cohabitation.About 70% of people experience problems with cohabitation. In particular, many cases involve the

  • PDF

초고층 아파트 주동의 진입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mission Space Planning of a Major Building in Super High-rise Apartment)

  • 노연수;안은희;이현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43
    • /
    • 2005
  • Here this Study is purposed importance of Public area and attend to planning of Admission Space so foster the growth of public area in super high - rise building apartment at present that, for contribution so Consider about Admission Space planning purpose of a Major building in super high - rise building apartment. The process of this Study 1) Consider Indispensable action and Choice action in theory of 'Jan Gehl'. 2) Express one's condolence about two housing development of super high - rise Apartment in Busan City. 3) Analysis by theory of 'Jan Gehl'. about two housing development of super high - rise Apartment in Busan City. 4) I have a result as being Comparison two housing development

  • PDF

임대주택(賃貸住宅)의 내재적(內在的)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서울의 공동거주형(共同居住型) 임대주택(賃貸住宅)의 사례(事例)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Latent Characteristics of Rental Housing - A Case Study on 'Co-deweling' of Rental Housing in Seoul -)

  • 이윤희;정재국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1-58
    • /
    • 2010
  •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city, urbanization raised a variety of social issues. Urbanization brought noticeable changes in dwelling patterns, such as drastic changes in the housing lifestyle, that revolved around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and Busan etc. before and after the expansion of economic growth. Especially in 1985, when 23.8% of the country's population was concentrated in Seoul, the imbalance of housing supply and demand caused a vast range of housing shortage. The shortage, that resulted from public sector mishandling of natural housing demand, lead to the occurrence of private sector rental housing. The occurrence of this abnormal rental housing supply, became a major cause of Korea's typical lease system called 'Co-dwelling', where the leaseholder and tenant physically lives in the same residence. The leaseholder and tenant's 'Co-dwelling' started from partial renting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ing and transformed with the transition of dwelling form and time. However, after 1985, legalization of multi-family housing, Korean rental housing started to be planned in the beginning of it's housing construction and to be produced as an independent space with separate circulation. Also in terms of facility, it changed from partial renting of a space within the residence to an assembly of small individual spaces. However, the background of this deep-rooted 'Co-dwelling' lease system, in different forms and periods of residence, is still based on the lack of public sector rental housing supply and private sector supply of rental space to utilize extra space, 'Jeonsei' payment.

공동주택 리모델링사업의 동의율 확보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reement a rate Encouraging Restriction Primary factor Multi-family Housing Remodling)

  • 김동재;김갑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85-890
    • /
    • 2008
  • 최근 몇 년 사이 공동주택 리모델링을 둘러싼 여건의 변화는 리모델링의 활성화라는 입장에서 볼 때 매우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리모델링의 추진에 대한 단지 내 다른 주민들의 반발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가 주요한 과제로 대두되었고, 리모델링을 위한 재원 조달과 리모델링 이후의 자산가치 변화가 핵심적인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특히 많은 언론의 보도에도 불구하고 리모델링에 의한 자산가치 즉 부동산 가격의 상승효과가 뚜렷하게 입증되지 못하고 있으며, 금융기관 역시 리모델링 이후의 자산가치 상승에 대해 상당히 보수적인 평가를 하고 있기 때문에, 입주자들은 리모델링을 위한 재원의 조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리모델링 사업의 성공여부도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제도개선은 동 단위 리모델링을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도시와 단지 전체의 관리 방향과 조화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또한 공공지출을 최소화하면서도 리모델링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