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ried Immigrant Women's Life in Relational Spaces

관계적 공간에서 결혼 이주 여성의 삶

  • Park, Kyu-Taeg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규택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3.04.16
  • Accepted : 2013.05.14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implemented under the two purposes. One is to critically explore how married immigrant women had experienced or experience conflicts, differentiation and so on occurred in their relations to family, neighbor, friend, organization and nation. The other is to understand married immigrant women and family through a new perspective based on a relational space of interacting trans-nation, local and n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ly, transnational space is produced by international marriage between Korean man and foreign woman and kept (or activated ) by (non) everyday activiti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family. There are remittance, children's rearing and education, visits to mother's house, emotional interactions by phone and computer and so on. Secondly, multi-layered and relational local spaces have been (re)produced by married immigrant women's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family, neighbor, friend, nation and so on. Thirdly, married immigrant women's relations to nation state or government has been specifically presented (or expressed) through the acquiring of Korean nationality and government's activities of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y. Married immigrant women feel that their national identity between mother's nation and Korea is ambiguous and undecided.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 하에서 수행되었다. 하나는 결혼 이주 여성이 가족, 이웃, 친구, 조직, 국가와 관계하면서 겪는 갈등, 차별, 저항 등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결혼 이주 여성과 가족을 새로운 시각, 즉 초국가(국경을 초월한 로컬과 로컬의 관계), 로컬, 국가와의 관계적 공간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국제결혼에 의해 초국가적 공간이 형성되며, 생성된 공간은 결혼 이주 여성의 (비)일상적 활동에 의해 유지된다. 초국가적 활동은 송금(remittance), 자녀의 양육과 교육, 친정 방문, 전화나 인터넷 등을 통한 정서적 교감 등이 포함된다. 둘째는 결혼 이주 여성이 가족, 이웃, 친구, 기관 등과 연관됨에 따라 중층적인 관계적 로컬 공간이 형성 유지되고 있다. 셋째는 결혼 이주 여성은 국적 취득과 정부(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지원 사업의 측면에서 국가 권력 혹은 정부 행정과 연관되어 있다. 국민 정체성과 관련지어 결혼 이주 여성은 모국과 한국 가운데 어디에 속하는지 구분이 불명확한 위치에 놓여 있음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