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se skin

검색결과 715건 처리시간 0.025초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응용 - 화장품에서의 자극완화제 (The Application of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as an Anti-irritant in Cosmetics)

  • 조병기;안기웅;신봉수;정지헌;박해룡;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7-272
    • /
    • 2005
  • 본 연구는 화장품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자극원에 대한 자극완화제로서의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잠재적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라마이드는 인체로부터 수분 손실을 막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미생물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함으로써 인간의 생리작용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표피 투과 장벽의 주요한 구조적 구성 성분이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피부 장벽 기능 강화와 자극완화 효과가 제형 내에 단순히 분산된 세라마이드보다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경우 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극원으로서 제형 내 함유되어 있는 젖산의 피부 투과도에 있어서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무모 생쥐에서 얻어낸 피부 막으로 horizontal franz diffusion cells을 이용한 in vitro 피부 투과 시험을 수행해 보았다. 시험 결과, 세라마이드로 구성되 나노리포좀의 항자극 효과는 자극원의 피부 투과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자극완화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하였고 이러한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을 화장품에 적용 가능하였다.

피부세포에서 옥돔 비늘로부터 추출한 펩타이드의 UVB에 대한 산화적 손상 및 광 노화 억제 (Peptides-derived from Scales of Branchiostegus japonicus Inhibit Ultraviolet B-induced Oxidative Damage and Photo-aging in Skin Cells)

  • 오민창;김기천;고창익;안용석;현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9-275
    • /
    • 2015
  • 생체에서 가장 많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는 콜라겐 펩타이드는 동물의 뼈와 해양 생물의 비늘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콜라겐은 동물 생체의 여러 결합조직에서 구조 단백질로 흔하게 발견된다. 또한, 이들은 생물 의료 자재, 제약, 화장품, 식품 및 가죽 산업에 널리 이용된다. 각종 어류 비늘에서 추출된 펩타이드는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된 피부의 손상 및 광 노화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VB 조사에 대한 옥돔 비늘 유래의 펩타이드 특성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옥돔 비늘 추출물에서 분리된 1 kDa 이상(HMP)과 1 kDa 이하(LMP)의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된 피부 손상과 광 노화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들 펩타이드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LMP는 HaCaT 인간 피부세포에서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된 세포 지질 과산화 산물인 8-isoprostane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LMP와 HMP는 B16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에서 tyrosinase 활성 및 melanin 함량을 감소시켰으며 또한 HaCaT 세포에서 UVB로 유도된 elastase 활성을 감소시켰고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옥돔 비늘에서 유래된 펩타이드가 미백효과, 항산화제 및 광 노화 억제제로서 유용한 물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히알루론산나트륨의 분자량 크기에 따른 Collagen 합성, 항염증 및 피부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lecular Weights of Sodium Hyaluronate on the Collagen Synthesis, Anti-inflammation and Transdermal Absorption)

  • 신은지;박주웅;최지원;서정연;박용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5-2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히알루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HA)을 효소 분해하여 분자량 크기(1, 10, 50, 100, 660, 및 1500 kDa) 별로 제조한 뒤 콜라겐 합성 및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피부투과도를 조사하였다. 이들 HA는 인간피부세포인 Hs68 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콜라겐 생합성능은 1500 kDa, 50, kDa HA가 각각 59, 50%로 콜라겐 생합성 촉진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자량 크기에 따른 HA의 피부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660 또는 1500 kDa의 HA은 2% 미만의 미미한 투과율을 보였으나, 저분자 HA (1, 10, 또는 50 kDa)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과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HA 분자량 크기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 50 kDa HA가 농도 의존적으로 nitric oxide 및 tumor necrosis factor-${alpha}$ 합성을 저해하여 다른 분자량의 HA (1, 10, 및 100 kDa)에 비해 가장 큰 항염증 효능을 나타냈다. 현재까지 효소(hyaluronidase) 처리하여 제조된 다양한 크기의 분자량(1, 10, 50, 100, 660, 1500 kDa)의 HA 중 50 kDa HA가 collagen의 합성, 항염증 및 피부 흡수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한 사례는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50 kDa의 HA가 인간피부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고, 피부 투과율을 높으며 피부 주름을 유발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함으로써 피부노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품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In Vitro and in Vivo Wound Healing Properties of Plasma and Serum from Crocodylus siamensis Blood

  • Jangpromma, Nisachon;Preecharram, Sutthidech;Srilert, Thanawan;Maijaroen, Surachai;Mahakunakorn, Pramote;Nualkaew, Natsajee;Daduang, Sakda;Klaynongsruang, Somp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6호
    • /
    • pp.1140-1147
    • /
    • 2016
  • The plasma and serum of Crocodylus siamensis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to exhibit potent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During wound healing, these biological properties play a crucial role for supporting the formation of new tissue around the injured skin in the recovery process. Thu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wound healing properties of C. siamensis plasma and serum. The collected data demonstrate that crocodile plasma and serum were able to activate in vitro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aCaT, a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which represents an essential phase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With respect to investigating cell migration, a scratch wound experiment was performed which revealed the ability of plasma and serum to decrease the gap of wounds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sistent with the in vitro results, remarkably enhanced wound repair was also observed in a mouse excisional skin wound model after treatment with plasma or serum. The effects of C. siamensis plasma and serum on wound healing were further elucidated by treating wound infections by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on mice skin coupled with a histological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crocodile plasma and serum promote the prevention of wound infection and boost the re-epithelialization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new skin. Therefore, this work represent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C. siamensis plasma and serum with respect to their wound healing properties and strongly supports the utilization of C. siamensis plasma and serum as therapeutic products for injured skin treatment.

BALB/c 마우스를 이용한 방사선섬유증 모델 확립 (Establishment of a Radiation-Induced Fibrosis Model in BALB/c Mice)

  • 류승희;이상욱;문수영;오정윤;양연주;박진홍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32-38
    • /
    • 2010
  • 목 적: 항암요법에 의한 부작용 중 방사선섬유증(radiation fibrosis)은 방사선치료 후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발생빈도 및 심각성에 비해 치료법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섬유증의 기전 연구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방사선섬유증 동물모델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마우스의 대퇴부에 20 Gy의 방사선을 1주 간격으로 2회 조사한 후 날짜 별로 육안적 평가와 haematoxylin & eosin (H&E) 및 Masson’s Trichrom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부조직 수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틀을 이용하여 양쪽 하지의 길이 차이를 측정하였고,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의 발현 정도를 면역조직염색 및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 20 Gy씩 2회의 방사선조사를 시행하고 14, 28, 42, 97일 후 양측 하지의 수축도를 비교한 결과 42일 이후에 유의한 길이 차이가 나타났고 조직검사 결과 방사선이 조사된 피부 및 연부조직에서 아교질(collagen)과 세포외바탕질(extracellular matrix) 섬유가 불규칙한 배열을 나타내었으며 근육섬유모세포(myofibroblast)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TGF-${\beta}$ 발현 정도를 면역염색으로 조사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고, 중합효소연쇄반응상 mRNA 발현량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 BALB/c 마우스의 대퇴부에 20 Gy의 방사선을 2회 조사하였을 때 방사선섬유증과 관련된 주요 인자인 TGF-${\beta}$의 발현량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외관적으로도 뚜렷한 방사선섬유증이 관찰되어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효과적인 동물모델계로 사료된다.

마그네슘 풍부 해양미네랄 용액이 hairless 마우스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gnesium Rich Sea Mineral Water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Hairless Mice)

  • 김동희;이규재;최주봉;이영미;윤양숙;김정례;장병수;양용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3호
    • /
    • pp.167-174
    • /
    • 2008
  • 아토피성 피부염은 주로 천식과 비염 등을 동반하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유전학적, 환경적, 면역학적 요인이 복잡하게 연관되어 발병한다. 해수에 포함된 마그녜슘염은 피부에 작용하여 피부장벽을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그에 대한 면역학적인 연구와 조직학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피부염을 인위적으로 일으키는 hapten 형성물질인 DNCB를 hairless mice에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로 만든 후, 마그네슘이 다량 함유된 해양 미네랄수를 처리한 후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DNCB로 피부염을 유발한 hairless mice에 해양미네랄수를 국소적으로 도포하였을 때 유의한 피부수분함량이 증가와 경피수분손실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p<0.01). 피부측정에서 피부거칠기(skin roughness, p<0.05)와 스케일생성(skin scaliness, p<0.01)은 실험군에서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피부손상지수의 유의한 감소(p<0.01)와 비만세포와(p<0.01) 호산구의 감소(p<0.05) 소견을 보였고 또한 혈청 IgE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1). 이상과 같이 마그네슘이 다량 함유된 해양 미네랄수 도포는 피부장벽의 손상을 줄이고 피부수분손실을 효과적으로 줄임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 유발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아토피성 피부염의 관리를 위하여 세라마이드나 식물성 오일의 보습제가 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가적인 피부장벽의 보호를 위하여 탈염 해양 미네랄수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치료의 대체, 혹은 보조적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야관문 에탄올 추출물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광노화 개선 효과 (Improving the efficacy of Lespedeza cuneata ethanol extract on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 정희경;최미옥;김배진;조성경;정유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4-27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조성물 내에 함유된 야관문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광노화를 억제 및 개선할 수 있는 효능을 조사하였다. 야관문 추출물 내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4.98{\pm}1.70$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6.20{\pm}0.05$ mg/g 으로 정량되었다. 야관문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전자공여능 및 자유라디칼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동일 농도조건에서 전자공여능 보다 자유라디칼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력이 더욱 높았다. 피부 홍반도는 대조군(CO)에 비하여 야관문 추출물이 함유된 시료를 도포한 시험군(AS)에서 28%의 홍반도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피부 수분함량은 AS군에서 CO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피부주형의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AS군에서 피부의 주름 면적과 깊이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조직염색을 통해 AS군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손상된 피부조직이 정상적인 피부구성 조직과 유사하게 재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피부조직 내 유해산소 해독계 효소들인 SOD, GST와 CAT 활성은 CO군과 비교해 AS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유해산소 생성계 효소 XO와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자외선 노출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PAK, p38, c-Fos, c-Jun, TNF-${\alpha}$, MMP-3 유전자들은 CO군 대비 AS군에서 그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야관문 추출물은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생리활성물질의 작용을 통해 피부 광노화에 의한 피부손상과 주름형성을 개선하는데 분자적 수준에서 형태학적 수준까지 효능을 나타내어 피부 광노화억제 및 개선 제품으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Picrorrhiza Rhizoma on Acute Inflammation in Mice

  • Lee, Hyeung-Sik;Ku, Sae-Kwa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2호
    • /
    • pp.137-140
    • /
    • 2008
  • The effects of Picrorrhiza Rhizoma (PR) aqueous extracts were observed on xylene-induced acute inflammation. The xylene was topically applied 60 min after administration of 500, 250 and 125 mg/kg of PR extracts, and all animals were sacrificed 2 hrs after xylene application. The changes on ear weights, histolopathological analyses of ear were evaluated as compared with indomethacin and dexamethasone 15 mg/kg treated groups - well known anti-inflammatory agents. Xylene application resulted in marked increases in induced ear weights as compared with intact control ear. Severe vasodilation, edematous changes of ear skin and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ear tissues as acute inflammation were detected in xylene-treated control ears at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However, these xylene-induced acute inflammatory changes were dosedependently decreased by oral treatment of PR extract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PR extracts has favorable anti-inflammatory effects on xylene-applicated acute ear inflamed mice.

Immunologic Mechanism of Experimental and Therapeutic Ultraviolet B Responses

  • Lew, Wook
    • IMMUNE NETWORK
    • /
    • 제2권2호
    • /
    • pp.65-71
    • /
    • 2002
  • The immunological mechanism of the responses to ultraviolet (UV) B radiation in mouse models were investigated by the suppression of contact hypersensitivity (CHS) and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DTH), and susceptibility to infection.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immune suppress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models as well as the irradiation protocols. Therefore, this review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suppressive effects on CHS and DTH, and susceptibility to infection in relation to the different in vivo models. Recent advances in cytokine knockout mice experiments have the reexamination of the role of the critical cytokines in UVB-induced immune suppression, which was investigated previously by blocking anti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pressor cells responsible for UVB-induced tolerance were determined. The subcellular mechanism of UVB-induced immune suppression was also explained by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s through the Fas and Fas-ligand interaction. The phagocytosis of the apoptotic cells is believed to induce the production of the immune suppressive cytokine like interleukin-10 by macrophages. Therefore, the therapeutic UVB response to a skin disease, such as psoriasis, by the depletion of infiltrating T cells could be considered in the extension line of apoptosis and immune suppression.

Development of TPA-induced Ornithine Decarboxylase (ODC) Inhibitors from Plants as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 Kim, Soo-Jeong;Lee, Ik-Soo;Chang, Il-Moo;Mar, Woong-Ch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23-129
    • /
    • 1996
  • Chemical carcinogenesis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intracellular polyamine levels, and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mouse epidermal ODC activity are essential to skin tumor promotion by TPA. Therefore, for the discovery of new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we have evaluated about 73 kinds of natural products to study inhibitory effects against ODC activity induced by TPA in T24 cell culture system. The total methanol extracts of plants fractionated into three layers (hexane, ethyl acetate and water layer) were tested and the hexane fraction of Angelica gigas $(root\;bark,\;IC_{50}:\;7.4\;{\mu}g/ml)$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Corydalis ternata $(root,\;IC_{50}:\;7.5\;{\mu}g/ml)$ were the most effective on the inhibition of TPA-induced ODC activity, These active fractions are under investigation with further sequential fractionation using column chromatograph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