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tion Satisfactio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2초

귀농정착자의 정주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Satisfaction in the Rural Settlement of Returning Farmers)

  • 최윤지;황정임;신효연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1-338
    • /
    • 2014
  • This study was examine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rural settlement and analyzed its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rural migra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considering returning farmers residing in rural areas.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range test with a total of 210 responses. First, satisfaction with the convenience of living facilitie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occupation before urban-rural migration, responses of family members and friends to urban-rural migration, and the initial capital for urban-rural migration. Second, satisfaction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and reasons for urban-rural migration. Third, satisfaction with the transportation environment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the period of residence after urban-rural migration, and the employment type of the returning farmer. Fourth, satisfaction with neighborlines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parents' occupation, agricultural experience before urban-rural migration, experience in agriculture-related social life before urban-rural migration, reasons for urban-rural migration, the type of urban-rural migration, and the employment type of the returning farmer. Fifth, satisfaction with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responses of family members and friends to urban-rural migration, the period of residence after urban-rural migration, and reasons for urban-rural migration. Sixth, satisfaction with the housing environment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the agricultural experience before urban-rural migration, and the period of residence after urban-rural migration.

귀농 귀촌에서 귀농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가족 지지도를 조절효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of Returning to Farming in Farm-returning and Rural-returning : With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actor)

  • 이지흠;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39-53
    • /
    • 2017
  • 본 연구는 농촌흡인요인, 귀농준비정도, 귀농지 주거환경, 귀농 지원정책이 귀농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가족요인을 조절효과로 반영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농촌으로 이주율이 증가하고, 귀농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는 시점에 농촌흡인요인, 귀농준비정도, 귀농지 주거환경, 귀농 지원정책이 귀농만족도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독립변수로 제시된 농촌흡인요인, 귀농준비정도, 귀농지 주거환경, 귀농 지원정책과 종속변수인 귀농만족도 간에 가족요인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귀농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237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가족요인 조절효과는 조절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흡인 요인 중 경제적 요인이 높을수록 귀농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귀농준비정도에서는 작목준비가, 귀농지 주거환경에서는 안전성, 귀농지원정책에서는 창농지원이 귀농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요인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경제적 요인, 작목준비, 편리성과 귀농만족도 간에 가족요인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귀농만족을 높이고 도시로의 재 이주율을 줄이기 위해 귀농정책의 적극적인 지원과 귀농지의 안정성 그리고 귀농흡인 요소에서 경제적인 이익이 증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국가숲길이 귀산촌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지리산둘레길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National Forest Trails on Quality of Life of Migrants from Urban to Mountain Villages: Focused on Jirisan Dullegil Trail)

  • 위주연;이수광;이정희;김소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230-247
    • /
    • 2023
  • 본 연구는 국가숲길로 지정된 지리산둘레길 인근 5개 시군의 귀산촌인을 대상으로 국가숲길이 귀산촌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귀산촌 전·후 지리산둘레길을 이용한 집단이 이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지리산둘레길의 귀산촌 결정영향여부, 삶의 만족도, 행동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귀산촌 결정에 지리산둘레길의 영향을 받은 집단 또한 영향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지리산둘레길 이용 만족도, 삶의 만족도, 귀산촌 만족도, 행동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귀산촌 지역에 따른 귀산촌인의 삶의 질, 귀산촌 만족도 중 장소적 만족, 행동의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귀산촌 결정과 귀산촌 이후의 귀산촌인의 삶의 질에 지리산둘레길이 중요하고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산촌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숲길 관련 정책 및 산촌 인구소멸 대응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체험이 농촌인식의 변화와 이주정착에 미치는 영향분석 (An Analysis of How Rural Experience Influence on Rural Perception Changing and Migration Settlement)

  • 조성걸;엄성준;황성기;리재웅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1호
    • /
    • pp.49-60
    • /
    • 2021
  • This paper analyze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ural experience and settle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the combination of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can explain causal relation between factors. Rural perception factor has conceptualized positive sector (attitude, values) and negative sector (perceived risk, senti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ity results are as follows. People think about migration into rural when they have high level of attitude about rural but fear of rural life make avoid migration into rural. When people have fear of rural life, they also have bad feeling about rural infrastructure and facility. Attitude of rural, values of rural and low fear of rural life gives positive influence to satisfaction. Satisfaction gives positive influence to migration into rural.

농촌지역의 생활환경 만족수준이 이주의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Living Environment in Rural Area on the Migration Intension)

  • 김정태;신동호
    • 농촌계획
    • /
    • 제24권4호
    • /
    • pp.1-13
    • /
    • 2018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environment of rural people on migration. The analysis data were us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r the survey of welfare systems for farmers and fishermen in 2017, and samples of 3,776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variables were divided into a group of migrants, a group of permanent residents, and a group of decision-keep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environment of each of the 10 rural areas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basic living base and safety of rural residents were having a positive effect.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jects for developing rural areas, which increase the basic living base, are making substantial contributions to preventing the breakaway of the rural population. Safety has been neglected in the area of rural planning, but if the level of discontent is not enough, it ha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livelihoods of rural residents. Welfare and cultural leisure set the main demand level for welfare and cultural leisure to the elderly and vulnerable classes, and interpret it as a result of weakened defense against stress from relocation of residence, difficulty of migration due to low income levels, and migration. Therefore, the paradoxical analysis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measur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people on welfare and cultural leisure should be taken.

도시민과 귀촌인의 삶의 만족도 (Life Satisfaction of City Dwellers and Migrators to the Rural Areas)

  • 홍성권;김재현;김종진;장주연;태유리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237-24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ty dwellers' migration to the rural areas on the increase of their life satisfaction and its influencing variables. Using a quota sampling, 500 city dwellers across the country and 180 migrators to the Goesan Gun in the Chungcheongbuk-do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a) most city dwellers want to move to the rural areas for their relaxation and rest for their retirement, but migrants' main goal is to realize their internally oriented values, (b) life satisfaction is more evident for migrants compared to city dwellers, and it is influenced by self-assessed income, self-perceived health and internally oriented value, and (c) migrators contribute to their own successful aging by using strategies of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compared to city dweller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and confirm that (a) migration to the rural areas is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individual's life satisfaction although goals of dwellers and migrators are different, (b) the specific influencing variable and their weights in increase of life satisfaction are unique in Korea, and (c) income level is a not sufficient condition but necessary condition. Several managerial implications and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to help both migrators and potential migrators to settle successfully in the rural areas.

농촌 이주 도시민의 지역사회 참여활동 실태 및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Rural Migrant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 With Rural Life Satisfaction)

  • 황정임;최윤지;조현민;윤순덕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4호
    • /
    • pp.729-76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current situations of urban-to-rural migrant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rural life satisfaction. This topic is important because one of the main barriers to migration decision is job availability, especially in rural areas. Besides, rural areas need more human resources to support aging communities, as rural population is constantly decreasing. For this study, we used the methods of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We met 121 respondents who were in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by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in 10 counties nationwide. As a result, we identified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could contribute to urban-to-rural migrants' stable settlement and improving their satisfaction with rural lives.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ital Adjustment Among Marriage Migration Females)

  • 김현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135-159
    • /
    • 2010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조사한 "결혼이주여성의 자아탄력성과 결혼적응"이다. 분석은 각 독립변수와 결혼적응의 관계를 다변량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결혼만족은 배우자지지, 가족생활스트레스, 의사소통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 의도는 자녀수, 가족생활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간 애정은 결혼기간, 배우자 지지, 의사소통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에서 가족생활스트레스가 공통적이며,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생활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PDF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igration Women on International Marriage)

  • 우영희;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535-854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적지지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두었다.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수준은 보통 이상(평균 3.40)으로 나타났으며 남편의 연령층이 낮을수록, 부부의 연령차이가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남편의 학력이 높을수록, 부인이 종교가 있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고, 남편과의 학력 차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거주기간에 따라서는 5년 미만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편의 직업이 전문직과 사무직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가정의 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집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에게 사회구성원이라는 통합된 관점에서 글로벌 국가로 나아가는 체계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경상북도 귀농·귀촌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Urban-to-rural Migration Policy in Gyeongbuk Province)

  • 이철우;박순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59-675
    • /
    • 2015
  • 본 연구는 경상북도의 귀농 귀촌정책의 실태와 특성 그리고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상북도는 전국 최초로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중앙정부 지원 사업 외에 독자적인 사업의 영역을 확대한 결과, 지원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그러나 귀농 귀촌 지원 정책의 문제점으로는 중앙정부 및 산하 기초지자체와의 역할분담과 관련 부서간의 연계성 부족, 지역특성 및 귀농 귀촌인(세대)의 속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고, 은퇴자 계층을 중심으로 한 귀촌인의 정책적 수요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점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기존의 정책 주체 외에 귀농 귀촌인를 포함하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고, 이것이 지역에 제대로 뿌리내릴 수 있는 사업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경제적 물리적 지원중심의 접근방식에서 탈피하여, 적응주기별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귀촌인을 위한 '비농업 농촌형 일자리' 및 농촌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전문역량강화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