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32초

강원도 중등과학교육 실태조사 및 중학교 과학2의 교수/학습자료 개발:중학교 과학교육 실태 조사 (A Status Survey of Secondary Science Education in Kangwon Province and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Middle School Science 2:Status Survey of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

  • 조희형;이문원;조영신;한인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1-87
    • /
    • 1989
  • In 1987 Ministry of Education published the 5th-revised version of curriculm, the main goal of which is to improve science and culture as well as to educate the students who are able to actively adapt to the 21st century's society. Howerver, the revised curriculum neglect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nature of and localized characteristics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had its main objective to survey and analyze the status of scienc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s in Kangwon Province and, based on the results,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ppropriate for science education in this province. This research is 3d-Year project and this paper is about its first year research results. The first year's main objective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tatus of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 focusing on the curricular operation, science teachers, and lavoratory facilities and instruments. This research used the survey methods. The questionaires were sent to all the middle schools the number of which is 163, and 162 schools of which returned the survey questionaire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data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average class size is 48.8 students. Almost all of the middle schools alocate the science class hours per week of 4,3,4 hours to first, second, third grade, respectively. However, the greater part of science teachers want 5,4,5 hours of science classes a week. Total number of science teachers exeeds the number actually needed, implicating that many science teachers are teaching non-major subjects. The lavoratory facilities and instruments are not sufficiently provided for lavoratory-based science education. Along with these conclusinons suggestions for better science educations are recommanded. Among the suggestions two are highly emphasized.They are: to increase science class hours; to use field lavoratory substituting for school lavoratory.

  • PDF

지역주민(地域住民)의 중학교(中學校) 실(室) 이용(利用)에 관(關)한 모델 (A Model for the Use of Middle School Rooms by the Community)

  • 민창기
    • 교육시설
    • /
    • 제6권2호
    • /
    • pp.13-23
    • /
    • 1999
  • This paper seeks to find out the policies of management and layout of middle school rooms for the community people's use. This paper surveys community's needs with respect to both the use of school rooms before, during, and after classes and preferences of use of school rooms. This paper adopts two experimental case studies to find out the models. It uses t-test analysis of the statistics to find out community people's preferences for the use of school rooms between two communities in an urban area, and use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develop models concerning community people's uses of school rooms before, during, and after classes. It also uses cluster analysis to find out the cluster among community people's preference of school rooms. It found, first, that community people's use of school rooms after class can be influenced by the uses of a play ground, a music classroom, an audio visual classroom, and a gymnasium. The use during regular classes is related to the uses of the fine arts classroom, a general classroom, a home economics classroom, a gymnasium, and a playground. The use before class is affected by the uses of a fine arts classroom, a playground, and a library. It also found that, with respect to community people's preferential use of school rooms, the rooms can be clustered as a cluster of laboratories such as a general classroom, a music room, a fine arts classroom, a science classroom, a home economics classroom, and a technique classroom, a cluster of athletic areas such as a gymnasium and a playground, and a cluster of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a library, an audio visual classroom, and a computer classroom. Those clusters can also be clustered in more detail, i. e., that both a general classroom and playground can be apart from a cluster of laboratories or a cluster of supporting facilities; that an audio visual classroom can be fostered into a cluster with a home economics affairs classroom and a technique classroom. Finally this paper suggests policies of management and layout of school rooms.

  • PDF

중학생의 학원 과학교육과 학교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Private Academy Science Education and of School Science Education)

  • 박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09-319
    • /
    • 2004
  • 이 연구는 학교 과학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학교 과학교육과 대표적인 사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 학원 과학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경기 지역 학원에서 과학 교과를 수강하는 중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CES 축소형(Short form of classroom environment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생들은 과학학습의 보충, 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학생들이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이나 습관을 기르지 못해서 학원을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학교 과학 수업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며, 학교 과학 수업 시간에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 과학 수업 시간보다는 학원 과학 수업시간에 더욱 열심히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교사가 자신들의 과학학습에 대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을 더 많이 해 주길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은 학교 과학 수업시간보다 학원 과학 수업시간에 질문하는 것이 더욱 편하고, 학원 과학 강사를 더욱 친근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학생들은 학원이나 학교 과학 시간에 다루는 수업자료들이 재미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중학교 '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ffect of STEAM Program Using Analogy : Focused on the Instructional Unit of 'Solar System' in Middle School)

  • 한신;김형범;김용기;송하명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태양계 단원에서 비유를 활용한 HTE(Here, There, Everywhere)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을 세종시 소재 A중학교와 평택시 소재 B중학교의 1학년 중학생 354명에게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창의교육을 실현하는데 있다. 개발한 STEAM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3차례에 걸쳐 수정, 보완하여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6차시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논리적 사고력 검사와 STEAM 관련 태도 검사를 프로그램 처치 전과 처치 후에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처치 후 STEAM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STEAM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이 긍정적이며, 과학에 대한 흥미를 일으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차기 수업에서는 충분한 시간을 통해 STEAM 프로그램 수업을 수행한다면 중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플립드러닝 성과를 예측하는 요인 규명 (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Flipped Learning Outcomes)

  • 이정민;노지예;정연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7-68
    • /
    • 2016
  •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지침을 얻고자, 플립드러닝 성과변인으로 수업흥미, 과학흥미, 학업성취도를 선정하였고, 이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내재적 동기, 자기조절을 선정하여 이들의 예측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15학년도 1학기에 서울 지역의 A 중학교 1학년 학생 44명을 대상으로 약 5주 동안 과학수업에서 플립드러닝을 진행하였으며, 수업 종료 후 학습자의 설문을 수거하여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내재적 동기는 수업흥미와 과학흥미를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자기조절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내재적 동기, 자기조절을 증진시키는 교수학습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Recognition of Free Inquiry Activity and its Effects on the Science Inquir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변선미;김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0-22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되는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와 함께 자유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해 보고자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여학생 8개 학급 262명을 연구 대상으로 4개 학급은 자유 탐구 활동을 실시하고 4개 학급은 전통 수업을 실시하였다. 리커트 설문조사에 의하면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탐구활동을 하며 모둠별 탐구 활동과 토의 활동을 통해 협동성을 배우고 있고 자유 탐구 활동을 그다지 어렵지 않은 활동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자유 탐구 활동이 과학 공부에도 도움이 되고 흥미롭고 재미있는 활동이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자유 탐구 활동이 잘하는 1~2명에 의해 이루어진다거나 방과 후 시간 여유가 없어 모둠원이 함께 모이는 것 자체에 어려움을 겪는 등 자유 탐구 활동의 운영에 있어 문제점과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 탐구 활동은 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통합탐구능력 향상 역시 유의미한 차이의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기초탐구능력 향상에는 유의미한 차이의 영향을 주었다. 특히 기초탐구능력의 하위 요소 중 예상 능력을 향상시켰다.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이 중학생들의 STEM 분야 진로 흥미도 및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in STEM Career and Integrated Problem Solving Ability)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125-1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 시간을 활용하여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을 실시한 후 STEAM 교육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STEM 분야에 대한 진로 흥미도와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16년도에 한국과학창의재단/교육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자유학기제용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총 12주 동안 중학교 1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STEM 분야 진로 흥미도 검사결과에 의하면, STEAM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수학 및 기술/공학 분야의 진로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적 문제해결력 검사에서도 STEAM 수업은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사고력' 과 '설계 및 실행'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자기평가가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Self-assessment on the Student'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in the Middle School)

  • 남정희;김지연;한인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7-295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자기평가가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자기평가를 실시한 3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자기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2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자기평가를 실시한 후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과 자기평가만 실시하고 피드백은 제공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수업은 9주(2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고, 과학 개념 이해 검사는 사후, 과학 관련 태도 검사는 사전, 사후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과학 개념 이해에서는 자기평가를 적용한 실험집단이 자기평가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도 자기평가를 이용한 수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내에서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은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과학 개념 이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기평가에 대해 학생들은 자기평가가 후속 학습에 영향을 주며, 학습 태도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학교 과학 수업 학습 환경에 대한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이재봉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17-7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학습 환경에 10년 간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지난 3주기 간의 TIMSS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현황,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 학교 환경 측면으로 범주화해 분석하였다. 보다 세부적으로 과학 수업 현황의 경우는 교수 학습 활동, 평가, 숙제로 3가지 범주로,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은 교사 연수, 교사의 교류, 교사 평가의 3가지 범주로, 학교 환경은 학교 특성, 지원 환경의 2가지 범주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그동안의 과학 교육 관련 정책들이 어느 정도 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과학 수업에서는 다양한 과학 탐구 활동의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교사 중심의 수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실험이나 조사 활동을 직접 수행하는 활동이 감소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평가에 있어서도 사실이나 개념 지식의 이해와 관련된 문제의 비중이 높지만, 최근 과학적 탐구나 정당화를 요구하는 문제가 많이 증가하고 있었다. 숙제와 관련해서는 피드백을 주거나 토론을 위해 사용하는 비중은 낮고 숙제를 다 했는지 점검하거나 성적 산출을 위해 사용하는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었다.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에서는 교사들은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과학 내용과 교육 과정, 교수법에 대한 비중이 높은 편이었으며, 과학과 정보 기술을 통합하거나 비판적 사고력이나 탐구 능력 향상에 대한 연수 비중은 적었다. 학교 지원 환경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직무 만족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학교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이해나 실행 성과도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자원과 관련해서도 과학 수업을 위한 자원의 부족이 과학 수업에서 많은 영향을 주지 않고 있으며, 일부 부족한 경우도 점차 개선되고 있었다.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Explicit and Reflective Instruction about Nature of Science Using Episodes from the History of Science in 'Composition of Material'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 김경순;노정아;서인호;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9-99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 반성적 과학의 본성(NOS)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남녀 공학 중학교 3학년 4학급(129명)을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배치하였다. '물질의 구성' 단원에 대하여 11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전, 두 집단의 학생들은 대부분 과학의 본성에 대해 부적절한 견해를 지니고 있었다. 수업 처치 후, 통제 집단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는 변하지 않았으나, 처치 집단의 학생들은 과학의 본성에 대해 보다 적절한 이해를 나타내었다. 처치 집단의 상위 학생들은 하위 학생들보다 과학의 본성에 대해 보다 적절한 관점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와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