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gnition of Free Inquiry Activity and its Effects on the Science Inquir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0.12.09
  • Accepted : 2011.04.11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free inquiry activity and to investigate what effect the free inquiry activity of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has on the science inquir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conduct the research we worked with 262 female students, 8 classes of first graders in a middle school. Among them, 4 classes were taught in free inquiry activity and the remaining 4 classes were taught in the traditional way. The results of Likert-questionnaire indicate that students were learning about cooperative spirit through group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discussions and did not take the free inquiry activity as a hard activity. Also they showed positive reaction agreeing that this activity is both a helpful method in learning science and interesting. However, it seemed that the investigation tends to flow between the leading 1~2 members of the group and showed difficulty in carrying out the investigation as a group after school hours. It showed there are few problems and obstacles in operating the free inquiry activity. The free inquiry activity did not give an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cience inquiry ability of students. Integrative inquiry process skills did not give a relevant influence, however, it showe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basic inquiry process skills. Especially, among the low-ranking element of basic inquiry process skills, it enhanced the capacity for predi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되는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와 함께 자유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해 보고자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여학생 8개 학급 262명을 연구 대상으로 4개 학급은 자유 탐구 활동을 실시하고 4개 학급은 전통 수업을 실시하였다. 리커트 설문조사에 의하면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탐구활동을 하며 모둠별 탐구 활동과 토의 활동을 통해 협동성을 배우고 있고 자유 탐구 활동을 그다지 어렵지 않은 활동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자유 탐구 활동이 과학 공부에도 도움이 되고 흥미롭고 재미있는 활동이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자유 탐구 활동이 잘하는 1~2명에 의해 이루어진다거나 방과 후 시간 여유가 없어 모둠원이 함께 모이는 것 자체에 어려움을 겪는 등 자유 탐구 활동의 운영에 있어 문제점과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 탐구 활동은 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통합탐구능력 향상 역시 유의미한 차이의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기초탐구능력 향상에는 유의미한 차이의 영향을 주었다. 특히 기초탐구능력의 하위 요소 중 예상 능력을 향상시켰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2007-79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3. 고경석(2009). 기초탐구과정 프로그램 적용이 과학탐구능력 및 자유탐구수행에 미치는 효과. 청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 27, no. 3, 260 268.
  5.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 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6. 김숙경, 정진수, 천재순(2010). 초등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 보고서의 평가 준거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69-85.
  7.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1998).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 탐구보고서에 나타난 변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79-301.
  8. 김재우(2000). 중학생의 과학적 탐구 문제 설정 과정에 대한 사례적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재윤(2010). 초등학생들이 수행한 자유 탐구의 특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주훈, 이미경(2003). 과학과 교육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I).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3-4.
  11. 김주훈(2005).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한국교원대학교부설 교과교육 공동연구소. 차시 초.중등교육과정의 개선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교과교육공동연구 학술 세미나 자료, 356-391.
  12.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2004). 2004,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3-2, 206.
  13. 박종선(2010). 초등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탐구주제의 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종호(2000).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서홍식(2010). 자유 탐구 활동을 위한 수평 잡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신현화(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 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윤옥주(2010). 초등학교 과학교과의 자유탐구 활동에서 탐구문제 발견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미옥(2002).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양락(2004). 교육과정 개발 체제 및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68-480.
  20. 이정화(2010). 자유 탐구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자유 탐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임수진(2009).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장진아(2009). 초등학교 3,4학년 학생의 과학탐구 능력 수준에 적합한 안내된 자유탐구 교수.학습 지도 방안 탐색.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전민지(2009). 효과적인 초등학교 과학 자유탐구 지도방안 탐색.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전영석, 전민지(2009).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때 발생하는 어려움.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25.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 (1998). 과학과 수업모형. 교육과학사, 44-45.
  26. Backus, L. (2005). A Year without Procedures: Removing Procedures from Chemistry Labs Creates Opportunities for Student Inquiry. Science Teacher, 72(7), 54-58.
  27. Bell, R. L., Blair, L. M., Crawford, B. A., & Lederman, N. G. (2003). Just do it? Impact of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87-509. https://doi.org/10.1002/tea.10086
  28. Chinn, C. A., & Hmelo-Silver, C. E. (2002). Authentic inquiry: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Science Education, 86(2), 171-174. https://doi.org/10.1002/sce.10000
  29. Dunbar, K. (1995). How scientists really reason: Scientific reasoning in real-world laboratories. In R. J. Sternberg and J. E. Davidson (eds.), The nature of insight. (pp. 365-395) Cambridge: MIT Press.
  30. Germann, P. J., Haskins ,S., &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75-4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5)33:5<475::AID-TEA2>3.0.CO;2-O
  31. Tamir, P. & Lunetta, V. N. (1981). Inquiry related tasks in high school science laboratory handbooks. Science Education, 65, 477-484. https://doi.org/10.1002/sce.3730650503

Cited by

  1.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formance of Open Inquiry vol.15, pp.2,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1.15.2.535
  2. Actual Conditions of Free Inquiry Implementation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vol.15, pp.3,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1.15.3.603
  3. 서술적 실험 설계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 창의성 탐색 vol.32, pp.1,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1.129
  4.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활동에서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모둠 내 언어적 상호 작용 분석 vol.32,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760
  5.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의 구성과 변인 추출 및 명료화 과정 vol.32, pp.5,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903
  6.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vol.32, pp.7,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04
  7.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태 vol.23, pp.3, 2011, https://doi.org/10.9722/jgte.2013.23.3.373
  8.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their Inquiry Teaching Ability vol.17, pp.3,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3.17.3.689
  9. 상추 기르기를 통한 탐구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vol.20, pp.4, 2011, https://doi.org/10.12653/jecd.2013.20.4.1023
  10.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00
  11. 과학영재의 자유탐구를 안내하는 연구단계별 질문목록 개발 vol.24, pp.1, 2014, https://doi.org/10.9722/jgte.2014.24.1.63
  12.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Developing Middle School Students’Science Process SkillsThrough an Explicit Instructional Model vol.53, pp.1, 2011, https://doi.org/10.15812/ter.53.1.201403.94
  13.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s of 'Life Cycle of Plants' STEAM ProgramUsing Time-Lapse based on Smart Media vol.44, pp.1, 2016,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35
  14. The Effect of Problem Finding and Solving Experiences in Experiment-Based Class for Apprentice Science Teachers vol.56, pp.1, 2017, https://doi.org/10.15812/ter.56.1.201703.63
  15.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 Research Activities - Focused on the Prize-Winning Works in the Life Science Field of National Science Fair - vol.46, pp.3, 2018,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3.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