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cognitio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초

메타분석을 통한 주·객관적 인지-언어 평가 간 상관성 연구 : 정상 노년층, MCI, 치매 환자를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Linguistic Tests : Focused on Normal Aging, MCI, and Dementia)

  • 이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14-7423
    • /
    • 2015
  •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노인들의 주관적 호소는 경도인지장애나 치매로의 진전을 예측하는 중요 요인이다. 그러나, 인지-언어 능력의 주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은 연구마다 상이하다. 특히, 양자 간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본 국내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게재된 국내외 문헌 중 총 26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정상 노년층, MCI, 치매 집단의 자기 보고형 및 정보제공자 보고형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분석에 포함된 연구 대상자의 수는 26~657명이었다. 주관적 평가의 유형은 자기 보고형 75.4%, 정보제공자 보고형 24.6%였으며, 객관적 평가의 하위 영역은 기억력, 전반적 인지능력, 언어능력 등의 순으로 많았다. 메타분석 결과, 자기 보고형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은 치매 집단이 가장 높았고, 정보제공자 보고형은 세 집단 모두에서 효과적이었다. 객관적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는, 정상 노년층에서 자기 보고형과 추론력, 정보제공자 보고형과 기억력 및 언어능력 간에 상관성이 높았다. MCI에서는 자기 보고형과 언어능력 등, 정보제공자 보고형과 전반적 인지능력 등의 영역 간에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치매 집단에서는 두 유형 모두 기억력, 언어능력, 전반적 인지능력을 잘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세 집단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두 유형의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증거 기반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창의와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 이재라;김서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57-263
    • /
    • 2018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창의와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8년 5월 14일부터 2018년 6월 1일까지 광주광역시에 있는 S 대학교에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114명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메타인지의 전체 평균은 3.26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 3.36점이 보통/불만족 3.16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숙달접근목표의 전체 평균은 3.26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이 3.38점이 보통/불만족 3.14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율적 교육풍토의 전체 평균은 3.08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 3.17점이 보통/불만족 2.98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창의 인성의 전체평균은 3.37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이 3.47점이 보통/불만족 3.26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대학생의 창의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메타인지와 숙달접근목표로, 메타인지와 숙달접근목표 점수가 높을수록 창의 인성이 높게 나타나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수학교과에서의 자기평가 (Self-Assessment in Mathematics)

  • 최승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1호
    • /
    • pp.123-133
    • /
    • 1999
  • For an appropriate assessment in mathematics, students should play an active role in their learning by becoming aware of what they have learned in mathematics and by being able to assess their attainment of mathematical knowledge. The process of actively examining and monitoring students' own progress in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process, and attitude is called self-assessment, Researchers in mathematics education have found some important facts about the meta-cognitive process which is related to self-assessment : i. e. meta-cognition progress is composed of being aware of ones' own personal thinking of content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self-awareness) and engagement in self-evaluation. Tipical method for self-assessment in mathematics developed upon above finding about meta-cognitive progress is describing about students' knowledge and their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 the beginning of the description in mathematics about themselves, students are required to answer which part they know and which part they don't know. Self-assessment of students' attitudes and dispositions can be just as important as assessment of their specific mathematical abilities. To make the self-assessment method a success, teachers should let students' have confidence and earn their cooperation by let them overcoming fear to be known the their ability to other students. In conclusion, self-assessment encourages students to assume an active role in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ower. For teachers, student self-assessment activities can provide a prism through which the develop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power can be viewed.

  • PDF

류마티스질환 환자의 인지손상과 관련된 요인 규명: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Correlates of Cognitive Impairment of Rheumatic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모진아;박지숙;오현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8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nthesis the results of research on relationships of cognitive impairment with multi-dimensional correlates of rheumatic disease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For the study purpose, 23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a systematic process of searching the literature.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ge and education were the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gnitive impairment. Among health risk factors, obesit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gnitive impairment. For past history, diabetes and hypertension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gnitive impairment. It was noted also that aPL, one of the physiological factor, ha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ognitive impairment. None of the medication related factor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showed that among disease related factors, disease activity ha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cognitive impairment. Depression, among psychological factors, was the only variable hav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gnitive impairment.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variables strongly impacting on cognitive impairment in rheumatic disease are depression and disease activity.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융합적 연구 -메타분석의 활용 (A Convergence Study about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 Meta analysis)

  • 김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25-33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교육현장, 상담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로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은 통계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물들에 대한 종합적인 결과와 프로그램 개입의 크기와 방향을 제시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분석방법이다. 논문의 선정기준을 통해 총 33편의 연구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33편의 연구물에서 92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839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하위 범주 영역에 따른 결과를 비교한 결과, 정서인식 영역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냈다(g=.919). 다음으로는 정서이입 영역(g=0.841), 정서활용 영역(g=0.834), 정서조절 영역(g=0.785), 정서표현 영역(g=0.766)순으로 효과크기를 보고하였다. 참가자의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대학생 및 성인, 초등학생, 중 고등학생,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와 향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국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관련변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Variables related to self-leadership of Korean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조명희;정인자;박미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3-22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considers the variables related to self-leadership of Korean nursing students and verifies the results of precedent studies through meta-analysis. Methods: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48 precedent studies regarding the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conducted between 2009 and 2019 and carried out a meta-analysis. Results: For the effect size of variables related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d a medium effect size (ESr=.49) and the effect size was larger for meta-cognition (ESr=.65), emotional intelligence (ESr=.58), and self-efficacy (ESr=.54).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competency (ESr=.45) also had a medium effect size and the effect size was larger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ESr=.60), social support (ESr=.58), and critical thinking (ESr=.56). This result shows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elf-leadership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competency.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 of variables related to self-leadership and presented the direction and preliminary data for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include variables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self-leadership in the future.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Patient Safety Nursing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s)

  • 서영선;서은주;홍은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9-1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간호와 관련된 요인을 융·복합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관련 요인의 효과크기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검색은 Medline, Embases, CINAHL, DBpia,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을 이용하였으며, 국외 데이터베이스는 MeSH용어와 Emtree를 활용하여 검색하였다. 검색식은 [(patient safety or patient harm or safety management) and (students, nursing)] or [(patient safety or patient harm or safety management) and (education, nursing, graduate)] 이었다. 문헌선정은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관련 요인으로는 간호수행, 지식, 태도, 자신감, 인식 및 인지 등이 확인되었고, 그 중 환자안전간호 수행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에는 자신감, 태도, 인식, 지식 순으로 파악되었다.

메타인지를 촉진하는 인터페이스가 웹기반 학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ta -Cognition Interface on Web-Based Learning)

  • 김준희;한광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497-503
    • /
    • 2007
  • 학습의 깊이의 단계를 Bloom은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라는 6가지의 단계로 나누면서 피상적인 학습과 감이 있는 학습으로 구분하였다. 최근 학습은 면대면 학습에서 뿐 아니라, 웹기반의 학습에서도 피상적인 학습 위주로 이루어진다는 비판을 받고 있고, 웹기반 학습에서는 자기조절 흑은 자기규제의 문제가 가장 큰 문제로 지적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감이 있는 학습을 촉진하고, 자기 조절을 촉진하는 메타인지를 웹기반학습에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적용하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인지 전략의 가장 핵심 요소인 '자기 점검'의 요소 중 학습 내용들 간의 위계 관계를 보여주는 지도 (MAP) 와 계획세우기를 도와주는 요소 (PLAN)를 기존 연구를 토대로 웹기반의 학습의 인터페이스로 구현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학습, 특히 Bloom이 말한 김이 있는 학습을 촉진하는지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메타인지를 활용한 웹기반 학습의 효과는 배운 내용의 사후 테스트 점수로 측정되었다. 일반적으로 웹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일반적인 형태인 학습 중에 확인문제를 푸는 조건 (OX조건)과 확인문제와 학습 내용들 간의 위계 관계를 보여주는 지도를 제시하는 조건 (MAP조건), 이에 덧붙여 사전 계획세우기까지 모두 하는 조건 (PLAN조건)으로 나누어 실험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첫째, 집단 간 참가자들의 전체적인 학습 점수는 MAP조건이 가장 낮고, OX조건이 중간, PLAN조건이 가장 높은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또한 모든 조건의 집단에서 행해졌던 학습 중간의 OX점수는 집단별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평균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조건별 참가자의 학습 효과는 피상적인 학습수준(암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감이 있는 수준의 학습(문제해결)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습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깊이있는 학습을 촉진하는 웹기반 학습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정서 관련 수학교육연구에 대한 메타연구 (A Meta-Analysis on Emotion an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 황우형;이다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51-37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해온 정서 관련 수학교육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국제 연구의 경향과 비교 분석한 후, 앞으로의 정서 관련 수학교육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탐색해보는데 있다. 정서 관련 국내연구는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후 국제 비교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국제연구는 Eligio(2017)의 연구 결과를 사용하였다. 정서 관련 국내연구와 국제연구의 시기별 논문 발표 편수,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주제를 비교한 결과, 국내 연구의 수가 부족하여 경향을 판단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측면이 있었지만, 국제연구와 대체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여기에 더해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국내 정서 관련 수학교육연구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순수한 정서 관련 연구는 정서의 특성상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자료를 수집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므로, 정서와 인지가 결합 된 형태인 정서 지능 개념을 도입한 연구를 강조하며, 미래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메타정서를 연구에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Shin, Jin Hyeon;Shin, Hye Jeong;Kim, Eui Byeol;An, Yun Young;Yook, Tae Han;Choi, Yoo Min;Song, Beom Yong;Kim, Jong U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209-22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the symptoms of Alzheimer's disease (AD). There were 11 databases searched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using acupuncture treatment for AD. The risk-of-bias assessment tool of the Cochrane Library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each study. Using the Review Manager (RevMan),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isk ratio, mean difference, 95% confidence interval, and random effect model. There were 32 studies selected, all of which were conducted in China. There were 16 studies where acupuncture was used as the intervention, and 23 studies used Donepezil as the control group. Acupoint GV20 was most frequently selected during the treatment.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outcome variable. A period of 12 weeks was the most common treatment duration. As a result of meta-analysis (n = 25), acupuncture improved the MMS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s. Electroacupuncture improved the Alzheimer Disease Assessment Scale-Cognitive Subscale, and scalp acupuncture improved the MMSE score for AD. Acupuncture alleviates the symptoms of AD.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provide a better level of ev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