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in synthesis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38초

Extracellular Vesicles from Korean Codium fragile and Sargassum fusiforme Negatively Regulate Melanin Synthesis

  • Jang, Bohee;Chung, Heesung;Jung, Hyejung;Song, Hyun-Kuk;Park, Eunhye;Choi, Hack Sun;Jung, Kyuhyun;Choe, Han;Yang, Sanghwa;Oh, Eok-Soo
    • Molecules and Cells
    • /
    • 제44권10호
    • /
    • pp.736-745
    • /
    • 2021
  • Although various marine ingredients have been exploited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 products, no previous study has examined the potential of seaweed extracellular vesicles (EV) in such applications. Our results revealed that EV from Codium fragile and Sargassum fusiforme effectively decreased α-MSH-mediated melanin synthesis in MNT-1 human melanoma cells, associated with downregulation of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tyrosinase and TRP1 (tyrosinase-related proteins 1). The most effective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EV were 250 ㎍/ml for S. fusiforme and 25 ㎍/ml for C. fragile, without affecting the viability of MNT-1 cells. Both EV reduced melanin synthesis in the epidermal basal layer of a three-dimensional model of human epidermis. Moreover, the application of the prototype cream containing C. fragile EV (final 5 ㎍/ml) yielded 1.31% improvement in skin brightness in a clinical trial.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 from C. fragile and S. fusiforme reduce melanin synthesis and may be potential therapeutic and/or supplementary whitening agents.

천마(Gastrodia elate)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물질의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 (Anti-melanogenesis Effect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Gastrodia elata)

  • 김경태;김진국;박선희;이정하;이수희;김기호;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천마(Gastrodia elata)추출물의 분획과 butanol 분획층의 연속적인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유효성 분인 4-hydroxybenzyl alcohol 1. bis(4-hydroxyphenyl) methane 2. gastrodin(4-$\beta$-D-glucopyranosyloxybenzyl alcohol) 3을 분리하였다. 4-Hydroxybenzyl alcohol 1과 gastrodin(4-$\beta$-D-glucopyranosyloxybenzyl alcohol) 3은 tyrosinase에 대한 저해작용은 없으나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새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Bis(4-hydroxyphenyl)methane 2 ($IC_{50}$/ = 400 $\mu\textrm{g}$/mL)은 arbutin ($IC_{50}$/ = 400 $\mu\textrm{g}$/mL) 보다 약 $\frac{1}{4}$의 tyrosinase 활성 저해작용을 나타내었지만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 억제는 오히려 arbutin 보다 높게 나왔다. 또한 butanol 분획층 ($IC_{50}$/ = 46$\mu\textrm{g}$/mL)의 tyrosinase에 대한 활성 저해 작용이 arbutin ($IC_{50}$/ = 114 $\mu\textrm{g}$/mL)보다 높은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고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 억제도 arbutin 보다 높게 나왔다. 특히 butanol 분획층으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혼합물 ($IC_{50}$/ = 2.37 $\mu\textrm{g}$/mL)은 arbutin 보다 약 50배 가까운 매운 높은 tyrosinase 활성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천마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효성분들이 tyrosinase에 대한 저해작용 뿐만 아니라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잎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과 타이로신 활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on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in Cultured Human Melanoma Cells)

  • 허만규;한민호;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4-289
    • /
    • 2014
  • 타이로신은 멜라닌 합성을 조절하는 효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미백 효능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대나무 중 왕대의 잎 및 대 속 내피 추출물이 유발하는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대 잎과 대 속 추출물을 5 mg/ml 농도로 멜라닌 세포에 처리하면 세포의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포독성이 없는 조건의 대 잎과 대 속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타이로시나제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멜라닌 생성도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볼 때 대나무 추출물이 타이로시나제 활성과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후보군으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의 melanin 합성 촉진효과 (Promotive Effect of Polygonum multiflorum radix Ethanol Extract on Melanogenesis)

  • 김혜정;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3-429
    • /
    • 2017
  • 모발의 색은 melanin의 종류와 양에 의해 결정 된다. Melanocyte는 주로 자외선 자극에 의하여 L-tyrosine으로부터 멜라닌을 합성한다. 활성산소종은 백발의 진행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적하수오는 백발화되는 노화과정을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흑모발생과 연관된 melanin 합성에 대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PMEE)의 효능을 조사한 것이다. 항산화 실험에서 PMEE는 DPPH radical을 감소시켰고 환원력을 증가시켜 PMEE는 백발과정에 관여하는 활성산소종을 소거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PMEE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능을 감소시켰다. 더욱이 melanin의 생성에 대한 PMEE의 효과는 DOPA assay와 tyrosinase 활성측정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PMEE는 tyrosinase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melanin 합성을 촉진시켰다. 뿐만 아니라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tyrosinase, TRP-1, TRP-2 및 MITF 뿐만 아니라 SOD-3와 catalase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단백질 발현을 조사하였다. PMEE의 항산화 활성의 증가로 인하여 SOD-3와 catalase의 발현 수준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MEE는 tyrosinase와 TRP-2의 발현 수준은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PMEE가 백발화 된 모발에서 흑발로 변하는 것과 관련된 melanin 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녹차씨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활성 (Whitening Effect of Green Tea Seed Shell Ethanol Extracts)

  • 송하연;성낙윤;정필문;강민수;박원종;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470-1475
    • /
    • 2015
  • 본 연구는 산업 부산물의 이용성 향상을 위하여 폐자원인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녹차씨 껍질로부터 유용성 성분을 얻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을 한 결과 건조중량 대비 1.24%의 추출물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고,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tyrosinase 억제능을 관찰한 결과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미백 효과가 세포 내에서도 일어나는지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melanoma 세포인 B16BL6에 ${\alpha}$-MSH를 처리하여 melanin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melanogenesis 과정을 유도한 후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의 형성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식품 및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한다면 산업 부산물인 녹차씨 껍질을 활용하는 차원에서 그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사료된다.

미역쇠(Endarachne binghamiae)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ndarachne binghamiae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 전영식;정유정;염종경;김용기;김수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6-5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서 채집된 88종의 해조류에 대하여 미백제로서 응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Melan-a 세포에 해조류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고리매, 미역쇠, 왜모자반, 감태, 톳추출물에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미역쇠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유효하게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tyrosinase 활성 저해와 관련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약한 활성을 가지지만 직접 작용하여 활성을 저해하지는 않으면서, 세포 내의 tyrosinase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는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저해가 직접적이 아닌 다른 기전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기전 중의 하나인 ${\alpha}$-glucosidase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저해와 높은 상관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즉 미역쇠추출물은 N-linked glycoprotein인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억제하여 tyrosinase의 세포 내 이동이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역쇠추출물은 피부 미백에 유효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유용자원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 의 선택적 저해제 3-Deazaneplanocin A 에 의한 (Melanogenesis Promotion by 3-Deazaneplanocin A, a Specific Inhibitor of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 in B16/F10 Melanoma Cells)

  • 황윤정;부용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7-121
    • /
    • 2021
  • 백색증이나 백반증에서 관찰되는 피부 저색소침착은 유전적 요인, 후성유전적 요인 및 기타 요인에 의해 멜라닌 합성이 감소할 때 발생한다.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촉진 할 수 있는 약물 후보를 확인하기 위해 141개의 세포 투과성 저분자 약물로 구성된 후성유전적 조절제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했다. B16/F10 쥐 흑색종 세포를 0.1 𝜇M에서 각 약물로 처리하고 멜라닌 합성 및 세포 생존력을 모니터링했다. 그 결과, (-)-네플라노신 A, 3-디아자네플라노신 A (DZNep) 및 DZNep 염산염이 세포 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구조적으로 관련된 약물은 세포 멜라닌 합성 및 세포 생존력에 유사한 용량 의존적 효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DZNep을 추가 실험을 위한 대표 약물로 선택하였다. DZNep는 세포내 멜라닌 함량과 티로시나제(TYR) 활성을 증가 시켰다. DZNep은 또한 m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TYR, 티로시나제 관련 단백질 1 (TYRP1) 및 도파크롬 토토머라제 (DCT)의 발현을 유도했다. DZNep는 또한 멜라닌 합성의 주요 조절자인 소안구증 관련 전사 인자(MITF)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유도했다. DZNep은 S-아데노실 호모시스테인 가수분해효소의 선택적 억제제이며 히스톤 메틸화효소를 저해하는 S-아데노실 호모시스테인의 세포내 축적을 유발하였다. 이 연구는 특정 세포 상황에서 S-아데노실 호모시스테인 가수분해효소를 표적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이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pergillus fumigatus 발효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Aspergillus fumigatus Fermented Extract)

  • 송태양;김창원;강미옥;갈상완;황을문
    • 생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84-91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Aspergillus fumigatus fermented extract. In this study, we revealed the effects of A. fumigatus fermented extract on melanin contents,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d expression levels of mRNA and proteins of melanogenesis-related gene in B16F10 melanoma cells. A. fumigatus fermented extract inhibited both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 of mRNA or proteins of melanogenesis was down-regulated in the A. fumigatus fermented extract treated B16F10 cells with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when the clinical test was conduc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fermented extract of A. fumigatus for 8 weeks improved skin brightness 1.586 times brighter and skin melanin 1.331 times better compared to the control product.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A. fumigatus fermented extract has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 and whitening activity, thus it showed the possibility for using as a functional whitening cosmetic resource.

서목태 주정 추출물이 DOPA 산화와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hynchosia Nulubilis Ethanolic Extract on DOPA Oxidation and Melanin Synthesis)

  • 김재련;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1-338
    • /
    • 2018
  • 멜라닌은 생체 내에서 발모 및 피부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분자 물질이다. 하지만 활성산소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된 멜라닌은 노화와 관련된 기미, 주근깨와 과색소 침착증 등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된 천연물 중 서목태 성분의 하나인 polyphosphate는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노화를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멜라닌 합성에 대한 RNEE의 직접적인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RNEE는 DPPH radical의 소거효과 및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TT 실험을 수행한 결과, RNEE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RNEE는 tyrosinase 활성과 DOPA-oxidation 실험 결과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다. RNEE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L-DOPA에 의한 유발되는 melanin생성 촉진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melanin 생성을 감소시킨 대조군과 비교시 과산화수소 전처리 후 RNEE를 처리한 군에서는 melanin 생성 촉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RNEE는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의 단백질발현도 대조군과 비교시 $16{\mu}g/ml$의 농도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uperoxide anion을 과산화수소로 변환시키는 SOD-3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16{\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인 ${\alpha}$-MSH보다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상의 결과는 서목태가 흑모와 관련 있는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기능적인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Involvement of a Polyketide Synthetase ClPKS18 in the Regulation of Vegetative Growth, Melanin and Toxin Synthesis, and Virulence in Curvularia lunata

  • Gao, Jin-Xin;Chen, Ji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6호
    • /
    • pp.597-601
    • /
    • 2017
  • The clpks18 gene was first cloned and identified in Curvularia lunata. It contains 6571 base pairs (bp) and an 6276 bp open reading frame encoding 2091 amino acids. The ClPKS18 deletion mutant displayed an albino phenotype, and almost lost the ability to product 5-(hydroxymethyl) furan-2-carboxylate (M5HF2C) toxin, implying that clpks18 gene in C. lunata is not only involved in 1,8-dihydroxynaphthalene melanin synthesis, but also relatively associated with M5HF2C toxin biosynthesis of the pathogen. The pathogenicity assays revealed that ${\Delta}ClPKS18$ was impaired in colonizing the maize leaves, which corresponds to the finding that ClPKS18 controls the production of melanin and M5HF2C in C. lunata. Results indicate that ClPKS18 plays a vital role in regulating pathogenicity of in C. lun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