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6초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eaching Ratio and Rate)

  • 박슬아;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5-2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을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CK의 내용 측면에 있어서 교사는 비와 비율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생활 맥락과 연계해서 비와 비율을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PCK의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수 목표를 강화하고 교수 방법에 있어서도 활동 중심으로 바뀔 수 있도록 교사들의 PCK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생 이해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의 PCK는 교사의 설명 이외에 오류 지도 방법을 다양화하고 정의적 측면을 수업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는 주체적 관점에서 교과서 활동을 재구성하고, 활동의 특성에 맞게 수업 집단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설문과 면담을 통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사의 PCK가 실제 수업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 PDF

중등수학 예비교사 수업장학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uperivsion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이봉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18
    • /
    • 2008
  • 예비 수학교사 교육에서 수업장학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의 수업기술 향상과 이로 인한 수업의 효과 증대에 필요한 수업장학의 구체적 방안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립사범대학에서 수학 수업장학을 받고 교육실습을 다녀온 74명의 예비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4명의 예비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하여 수학 예비교사의 수업장학에 관한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및 개별 면담을 분석한 결과와 수업장학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수업장학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조사 결과, 사범대학의 예비 수학교사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발표수업과 수업장학은 예비 수학교사가 수업 기술을 발전시키고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실질적인 하나의 방법이었다. 한편, 효과적인 수업장학을 위하여 교육실습 기간의 수업장학은 현장과 대학의 협동장학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blem Posing Teaching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 이상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361-374
    • /
    • 2005
  • I analyzed the effect of problem posing teaching and teacher-centered teaching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in order to know the efffct of problem posing teaching on mathematics study. After we gave problem posing lessons to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ar 28 weeks, the evaluation result of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and creativity test is as fellows. First, problem posing teaching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y than existing teacher-centered teaching. Second, problem posing teaching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eacher-centered teaching in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 especially fluency and flexibility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us, 1 suggest the introduction of problem posing teaching activity for the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creativity.

  • PDF

현행 수준별 수업 분석에 기초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성공을 위한 처방 (A perspective on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based on the results of implementing current 'differentiated classes' in mathematics)

  • 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83-197
    • /
    • 1998
  • Many schools of the secondary level have been recently carrying out 'differentiated class'based on ability grouping between classed(DC). They are usually consisted of three levels; high level available to enriched course, middle level, and low level available to supplemental course. Phrhaps, almost all of the schools might nave executed DC before 2000 year. To do this, a lots of teachers have to develop differentiat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mselves. But, these mateirals are usually consisted of differentiated mathematics not on 'content'but on 'items'. So, for the successful 7th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issues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materials, and evaluatio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 depth focused on DC. .Decide issues related to DC(for example, mathematical contents, methods, activities, class speed,extra)based not on teachers or experts but on students. .Differentiate teaching and learning mateirals according to DC and develop the materials(including guidelines, supplementary books, multimedia, extra) based not on mathematical items but on mathematical contents. .Introduce new mathematical concepts or laws using not only not only definition and explanation but also concrete examples or problems. .Suggest differentiated diverse projects related to mathematical subjects suitable to enhance students` thinking ability to each class. .Have students to develop projects successfully by collecting, represent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through communications in a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 PDF

수학 학습 부진 학생을 위한 오개념 교정 지도 자료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Instruction Materials for Underachieving Students to Correction of Misconception)

  • 최승현;남금천;류현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17-133
    • /
    • 2013
  • 수학적 오개념은 학습 부진 학생들이 올바른 수학 학습을 하는 데 큰 방해 요소 중 하나이다. 오개념의 발생을 줄이고 올바른 개념 형성을 돕고자 중학교 수학 학습에서 흔히 발생하는 수학적 오개념을 정리하여 '중학교 수학과 학습 부진 학생 지도를 위한 맞춤형 교수 학습 방법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는 수학과 학습 부진 학생 지도를 담당한 교사들에게 교수 학습에 필요한 주요 교육 내용과 창의적이고 흥미 있는 수업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오개념을 가진 학생들이나 학습부진아 학생들의 수업자료로 사용하거나, 교사들의 연수 자료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학교실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탐색 : 중학교 통계 단원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atistic scenarios)

  • 최인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49-174
    • /
    • 2022
  • 본 연구는 수학교실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에서의 AI 활용 영역을 조사하여 수학교실에서 AI를 활용한 수학교육의 방향을 전망해 보고, 중학교 통계 단원에서 AI를 활용한 시나리오 개발을 통해 수학 수업에 AI를 도입하였을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분절적으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AI와 에듀테크(EduTech) 기술들이 수학교실에서 어떻게 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중학교 통계 단원에서 시나리오 개발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이후 본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수학교실에서 유의미한 AI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09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 관련 조사 연구 -3~4학년군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Survey on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to 'number and operation' of 3~4th grades-)

  • 이동환;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275-29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hrough survey data and focus group interview on structures of textbooks. First, We collect online survey results which 2333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Next, We interview focus group(8 teachers) about shapes of textbooks, quantity of learning contents, activities and problems for evaluation in the mathematics lessons. Storytelling is especially issued i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e intensively discuss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with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extbooks; interests of students, role of storytelling textbooks etc. As results of analysis, the positive rate to use the 2009 revised textbooks is relatively high about shapes and activities of textbooks. But there is more considered about storytelling method. Storytelling may be positive on improvement of learning interests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these advantages, studies in relation of storytelling are more proceeded and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s are required effectively in order to applicate to the elementary school.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 형성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in Geometry Area for the 1st Graders of Middle School)

  • 류현아;이봉주;양명희;최승현;변희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7-15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에 대한 형성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한 형성평가 프로그램 효과 검증에 활용된 사전 사후평가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중학교 1학년 학생의 기하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살펴보았다. 기하 영역 형성평가 프로그램과 그 분석 결과는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등 수학 영재 프로그램 평가 - 서울시 A 교육청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a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n Seoul Area)

  • 정수지;김민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9-168
    • /
    • 2014
  •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과 질적 향상을 위해 초등학교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영역을 영재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영역별로 살펴보고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기존의 평가 틀을 수정 보완하여 수정된 평가 틀을 사용하여 서울시 A 교육청에서 운영 중인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목표는 명확하고, 차별화 되어 있었으며, 내용영역의 편성은 심화 영역이 더 많았고, 수와 연산, 도형, 규칙성과 문제해결 영역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내용은 심화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 많았고, 최신 연구 내용이 고르게 반영되어 있었다. 수학적 사고전략을 고르게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고, 문제해결에 대한 평가지표를 만족하였고, 창의적 사고와 수학적 태도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적절하였으며, 참고서적은 명확하게 제시된 프로그램이 없었으나 자료의 제시는 구체적이고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문제중심학습,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하고 있었으며, 평가는 수행평가를 활용하고 있었다.

  • PDF

수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instruction)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4호
    • /
    • pp.253-266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수학수업의 개선을 목표로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이후 수학수업개선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학수업분석 강의를 수강하는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에 대한 생각을 조사하였다. 특히 조사대상 교사들은 수학수업분석에 관심이 있을 뿐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타교사의 수학수업 분석 및 컨설팅 경험이 있는 교사들로, 조사대상 교사들이 가진 수학수업에 대한 생각들이 다른 교사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들이 가진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강의 수강 전에 수학을 중요 교과라고 생각하는 이유, 초등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고 어려워하는 이유, 현재 초등학교 수학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이유, 바람직한 수학수업의 모습과 이를 위한 변화 등에 대해 서술형 문항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이후 수학수업의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