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Teachers

검색결과 1,711건 처리시간 0.032초

수학교육에 대한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A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 김소민;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3호
    • /
    • pp.423-442
    • /
    • 2019
  •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수학교육 계획 및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수학교육 실태와 수학교사들의 인식조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학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교육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수학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학교 안 수학교육 현황에 대한 기본 정보와 함께, 교사의 수학수업 개선과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및 환경 지원, ICT 및 공학도구 활용 관련 재교육 실시, 학교 관리자 대상 수학교육 인식 전환 교육 지원,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과 적극적인 교구 활용 방안 마련,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 지원 방안 마련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수학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창의성과 인성 교육 전문성 신장 내용요소 탐색 (Exploring the content factors to develop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김현아;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4호
    • /
    • pp.485-501
    • /
    • 2016
  •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mathematics teachers actually need to improve their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to pursue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We first temporarily extracted the elements to reinforce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n conducted the modified delphi technique and interview by targeting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the discussion of previous studies, we divided into five areas for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1.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2. creating an environment, 3. understanding curriculum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4. instructional design and apply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5. evaluating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ctually content elements highly required by mathematics teachers were reset 17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TPACK과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서 인공지능 사용 의도 이해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ntion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thematics Lesson Using TPACK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손태권;구종서;안도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163-180
    • /
    • 2023
  • 본 연구는 AI를 수학 수업에 사용하려는 초등학교 교사의 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 수학 수업에서 AI가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선행되어야할 요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TPACK과 TAM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TPACK은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은 수학 수업에서 AI 활용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인지된 사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태도는 수학 수업에서의 AI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AI에 대한 TPACK 역량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수학 수업에서 AI를 사용하기가 더 쉽고 AI가 학생의 수학 학습 향상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도구로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수학 수업에서 AI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유용하다고 인식할수록 AI 사용 의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AI의 활용하려면 TPACK에 관한 지식 교육이 선행되어야하며, 수학 수업에서 AI 사용의 이점과 편리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 대한 이해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 권오남;주미경;박규홍;오혜미;박지현;조형미;이지은;박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3호
    • /
    • pp.223-246
    • /
    • 2012
  •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has recommended the introduc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school. As part of th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development,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school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s on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in order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it. For the purpose, we have developed survey questionnaire and administered it to 113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he survey asked the teachers to address their concep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its contribution to school mathematics, challenges and obstacles for the implementation. The survey shows that the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was not clear or limited. Most of them replied that they received information about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from the materials provided by workshop or materials of school district office. While the teachers heard about that school will implement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they rarely had idea of how to use them in class. In the survey, the teachers identified which type of storytelling is effective for which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They also identified the positive effect and the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The mathematics teachers pointed out that textbook is not enough. They urg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should be integrated into classroom teaching and assessment to mak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educational practice of mathematics in school. Thus, mathematics teachers need support to implement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into their teaching practice. Teacher workshop and teacher manuals need to be developed to help teachers understand educational visions and values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These results of the survey would form the worthwhile bas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영역 관련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n the aspe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 권나영;이민희;김상훈;김수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465-482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relevant to mathematics teachers and discuss implication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review 156 articles written between 2006 and 2015 related to mathematics teachers. The articles are analyzed using the model of professional growth suggested by Goldsmith, Doerr, Lewis(2014). The model discusses personal domain, external domain, domain of practice, and domain of consequenc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ticles focusing on the personal domain of mathematics teachers appear a lot in reviewed ones, whereas studies relevant to external domain or domain of practice of mathematics teachers are relatively small.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우는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that Learned in the Course of Student Teaching)

  • 남윤석;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1호
    • /
    • pp.75-9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learn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student teaching. A qualitative case study provided an in-depth description of the whole three weeks of student teaching process. Four pre-service teachers and two mentor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ltiple data collection techniques were used; classroom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document analysi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how pre-service teachers learn PCK of mathematics in designing mathematics lessons, understanding mathematics learners and delivering mathematics lessons and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they experienced.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about some suggestions to pre-service program and future research.

  • PDF

수학 예비교사의 가상 수업 시연의 특징 및 동료 예비교사의 평가 (Analysis on the peer assessment results and the attributes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 김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465-481
    • /
    • 2013
  • In this study, 27 pre-service teachers presented virtual mathematics instruction to develop his/her own teaching practice ability. I found several attributes in their virtual mathematics instruction such as connecting contents, asking justification, encouraging students' communication, representing variously, and using ICT etc. These will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athematics class. When peer pre-service teachers assess presenter's instruction quantitative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sults between expert and pre-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didn't find the elements of student self assessment or group assessment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at the virtual instruction. When they assess peers' virtual instruction qualitatively, the results are specific or new ones compared with the quantitative assessment elements. Thus I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th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in the view of teacher education.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assessment)

  • 권나영;오서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295-312
    • /
    • 2020
  •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에 근무하는 중학교 188명, 고등학교 125명의 수학교사로부터 평가에 관한 6가지 영역과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중요도-수행도 분석기법(IPA)을 사용하여 학교급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학교 수학교사들이 고등학교에 비해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중요도-높은 수행도, 낮은 중요도-낮은 수행도가 많이 나타나고. 학교규모가 클수록 낮은 중요도-높은 수행도에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s on Competencies for Good Teaching and Perspective Teacher Education)

  • 강현영;고은성;김태순;조완영;이경화;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4호
    • /
    • pp.633-649
    • /
    • 2011
  •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해 수학교사는 여러 가지 역량을 필요로 하지만, 수학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연구자의 입장과 현직교사의 입장은 종종 일치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관련 선행연구와 본 연구자들의 현직교사 재교육 및 예비교사 교육 경험에 기초하여 좋은 수학수업의 의미와 특징을 반영한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교수 역량 요소를 도출하고, 연구자의 입장에서 도출된 각 요소에 대해 현직 수학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하였다. 또한 과거 교사 양성 과정의 대학에서 배운 수학이 교수 역량 계발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하는지 그리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교사 교육이 교수 역량 계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현직 수학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사의 수업 역량과 예비교사 교육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예비 고등 수학교사들의 Geometer's Sketchpad 를 이용한 수업 시연에 관한 다중 사례 연구 (A Multiple-Case Study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Demonstrations with Geometer's Sketchpad)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03-323
    • /
    • 2017
  • 이 연구는 예비 고등 수학 교사들이 수학 개념을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어떻게 가르치는 지에 관한 다중 사례 연구이다. 예비 교사들은 퍼포먼스 인터뷰에서 Geometer's Sketchpad(GSP) 를 사용해 특정 수학 개념을 어떻게 가르칠 것 인지를 실제 수업처럼 시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예비 교사들은 다양한 종류의 학습지도안을 디자인 했으며, 그들의 수업 시연에서 각기 다른 교수학적 그리고 공학적 기술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이 테크놀로지 통합 수학 수업의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그러므로 수학 교사 교육자들은 예비 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수학을 가르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이 강력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