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ontents in Middle School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1초

교과서 분석에 기초한 수학과 수행과제의 이해와 활용 (Undering and its application of performance task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Mathematics Textbook)

  • 황혜정;황윤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1호
    • /
    • pp.15-40
    • /
    • 2005
  • This study basically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properties of performance task applicable to mathematics classroom and it finds out how to run effectively performance task activities included in the present mathematics textbooks.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deals with twelves kind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ninth graders and is proceeded on the basis of textbook analysis and teacher interview. Considering a situation that in future mathematics textbook w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analytic results of this study, common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task and qualified performance task are needed, a variety of tasks classified by differentiated level are needed. In addition, each task should be dealt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curious and interesting real-life situations. Furthermore, fairness of checking and recording should be established and teachers' positive attitudes to applying performance tasks to math class are needed.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에서의 쟁점 - 2006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Debates on the New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Content)

  • 한대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33-658
    • /
    • 2010
  • 이 연구는 2006년에 고시된 교육과정과 지난 제 7차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내용 항목과 관련된 개정 사유와 개정 과정에서 있었던 쟁점을 분석하고자 한 것 이다. 이를 위하여 이번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된 보고서와 연구물을 수집, 분석하였다. 2006년 개정에서 초등학교 내용과 관련하여 쟁점이 있었던 개정 사항을 학년 간 이동된 내용, 분수 개념의 지도 계열, 문제해결 영역 설정 등의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고, 각 개정 사항이 어떤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는지, 개정 과정에서 어떤 논쟁이 있었는지, 그리고 개정 사항에 대하여 어떤 사유가 제시되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이번 교육과정의 개정에서 다양한 이견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이견은 초등수학의 양과 수준에 대한 근본적인 신념의 차이나, 초등 수학 내용의 도입 시기나 지도 계열에 대한 수학 교육적 견해의 차이 그리고 교육 과정의 내용을 제시하는 하는 방식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으로부터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의 선정 및 조직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변수에 의한 함수 지도가 함수개념의 형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Forming Functional Concept by Teaching Function Based on Variable)

  • 이덕호;길영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03-11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for functional concept on variable and to verify the effect of how well students could learn functional concept after they studied with those material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and after teaching students with them. I have concluded the followings : First, there was little effect in teaching functional concept on variable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s, whereas teaching functional concept had greater effect on forming functional concept in high level groups in those two experimental groups. Second, teaching functional concept on variable had little effect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functional concept and perfecting tables in Black box, graph, and mathematical problems, whereas there was much effect in students' understanding functional concept and solving relation formula, image, and range problems related to everyday life or general things. On the basis of the problems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 First, we should develop learning materials fit for low level students so that they could understand functional concept. Second, we should continue to teach the basic problems like solving relation formula, image, and range, and understanding functional concept in graph until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m exactly. Third, since the goals of Unit Function in a middle school textbook is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everyday life through functional thinking, there should be change in constructing systematic contents of Unit Function in a middle school textbook.

  • PDF

두 탈북 고등학생의 남북한 수학수업 경험에 대한 인터뷰 분석 (Th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two high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of mathematics lessons in North and South Korea)

  • 이기돈;이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97-215
    • /
    • 2016
  • 남한에서 학습하는 탈북학생들의 낮은 학업성취도가 보고되면서 이 학생들의 학습지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으로 통일시대의 준비라는 관점에서 북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탈북학생들의 수학학습 지원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터뷰를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북한의 수학교육 연구는 교과서 분석을 위주로 하는 문헌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함경북도에서 중학교(남한의 중고등학교) 고학년까지 수학한 후 우리나라에서 다시 고등학교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두 탈북학생들을 인터뷰함으로써 학생의 관점에서 북한의 중등학교 수학수업의 모습을 남한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인터뷰를 통해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수업의 유사점이 차이점 못지않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터뷰 분석을 바탕으로 두 학생의 경험이 수학수업 및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중국의 중학교 통계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교육 방안 탐색: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Direction of Middle School Statistics Education through a Comparison of Statistical Content between China & Korea: Focused on the Revised 2022 Mathematics Curriculum)

  • 서보억;임해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329-348
    • /
    • 2023
  • 본 연구는 2022년 12월에 고시된 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통계 내용의 안정적인 현장 정착이라는 현실적인 필요성에 의해 수행된 문헌 연구이다.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중의 하나인 통계교육의 변화 요구를 고려하였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중국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통계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10년마다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중국이 우리나라와 동일한 2022년에 새로운 수학과 교육과정을 고시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통계 내용 및 2022년판 중국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현재 사용 중인 수학교과서 통계 내용에 대한 상호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새로운 교육과정의 방향에 부합된 통계교육 실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중국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통계와 확률' 영역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통계교육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요소 5가지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요소가 반영된 중국의 수학교과서 및 교육과정 부록에 제시된 예시 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22 개정 중학과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통계교육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교과서 개발, 교실의 교수·학습 방안 및 추후 새로운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표방하는 방향에 부합된 현장 통계교육의 안착을 기대한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2호
    • /
    • pp.173-190
    • /
    • 2021
  • 지속가능발전 교육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한 발달을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의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용을 혼합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내용의 관련 차원 및 수학 내용 영역, 수학과의 연결성 등을 양적 연구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관련된 하위 내용 및 교과서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시되는지를 질적 연구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는 지속가능발전의 세 가지 큰 축인 환경, 사회, 경제 차원에 관한 내용이 여러 학년에 걸쳐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환경 차원과 관련하여 자연 자원, 에너지, 기후 변화 등의 하위 내용이, 사회 차원과 관련하여 평화와 안전, 문화 다양성, 건강 관리 및 증진의 하위 내용이, 경제 차원과 관련하여 지속가능한 생산, 빈부 격차 완화의 하위 내용에 관한 활동이 제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활동에서 지속가능발전은 문제 해결의 맥락으로 대부분 제시되고 있으며 일부 활동에서는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을 고려해보게 하는 하위 활동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SimCalc MathWorlds를 활용한 함수적 상황에서 드러나는 중학생들의 일정한 변화율에 대한 이해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stant Rate of Change in Functional Situations Using SimCalc MathWorlds)

  • 마민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599-6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심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역동적인 함수적 상황을 관찰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중학생들의 일정한 변화율에 대한 이해를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수업은 중학교 1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수업 자료의 일부이다. 수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심칼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은 다음 두 가지 의미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나는 변화율이 일정한 상황에서 학생들이 주목하는 양들 사이의 관계가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학생 스스로 변량의 변화를 조정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활동을 통해 일정한 변화율의 의미를 더 정교하게 구성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함수의 교수 학습 상황에서, 특히 일정한 변화율을 포함하는 상황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활동에서 공학적 도구를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학생들과의 실제 수업에 근거하여 제시한 것으로, 학생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함수 지도 내용과 그 방식을 계획하는 데 긍정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통한 반성과 변화 (Reflections and Changes Through Assistant Teacher Experience For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수진;권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59-77
    • /
    • 2018
  •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 프로그램에서 교육실습이 아닌 형태의 현장실습을 포함한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과 그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정규 수학수업에서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중등예비수학교사 2인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2015년도 1학기 수업에 참여한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의 학습보조교사 활동 보고서 및 간담회 등의 자료를 통해 반성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내용은 교사, 학생, 교과내용, 자기 자신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에 대한 반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등예비수학교사가 참여한 수업의 형태에 따라 반성내용의 비율도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일본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National Assessment Between Japan and Korea)

  • 임해미;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259-2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PISA에서 약진하고 있는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전국학력 학습상황조사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통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일본의 수학교육 개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제 8차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셋째, 일본의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의 개요, 특징, 문항 특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및 PISA 수학 평가와 비교하였다. 일본과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영역에 차이가 있으며,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에서 일본은 수학적 지식의 활용을 강조하는 B형 테스트를 시행하고 있다. 일본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인 수학적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이 학교수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학년간 내용 편제의 차이,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의 다원화된 평가틀 등은 현재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및 문항 개발에서 참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수업의 발문 분석 (An Analysis of Questioning in an Instruction on the Probability that Event A and Event B Occur)

  • 신보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9-42
    • /
    • 2017
  • 이 연구는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수업에서 제기되는 '발문의 유형'과 '발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내용을 적절하게 다루는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문을 제기하는 교사의 의도에 따라 발문 유형을 분류한 Morgan & Saxton(2006)의 연구와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지도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발문 분석을 위한 준거 4가지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을 분석한 결과 발문과 관련하여 드러난 특징을 요약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에 대한 수업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