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stant Rate of Change in Functional Situations Using SimCalc MathWorlds

SimCalc MathWorlds를 활용한 함수적 상황에서 드러나는 중학생들의 일정한 변화율에 대한 이해

  • Received : 2017.07.16
  • Accepted : 2017.08.10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stant rate of change, in terms of observing, representing and interpreting dynamic functions in various ways using the SimCalc MathWorlds. For this purpose, parts of a class conducted for six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ere analyzed. The results suggested two implications for a class that used this program (SimCalc MathWorlds): First, we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quantities that students notice in the same situation can be different. Second, the program helped students to develo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constant rate of change. The study also revealed the need to use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about functions, particularly to represent and interpret a given situation that involves the constant rate of change in various ways. Further,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contents and methods to teach functions using technology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

본 연구의 목적은 심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역동적인 함수적 상황을 관찰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중학생들의 일정한 변화율에 대한 이해를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수업은 중학교 1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수업 자료의 일부이다. 수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심칼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은 다음 두 가지 의미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나는 변화율이 일정한 상황에서 학생들이 주목하는 양들 사이의 관계가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학생 스스로 변량의 변화를 조정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활동을 통해 일정한 변화율의 의미를 더 정교하게 구성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함수의 교수 학습 상황에서, 특히 일정한 변화율을 포함하는 상황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활동에서 공학적 도구를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학생들과의 실제 수업에 근거하여 제시한 것으로, 학생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함수 지도 내용과 그 방식을 계획하는 데 긍정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숙.고호경(2007). 수학 교수.학습과정에서 사고력 신장을 위한 계산기의 활용-학생들의 수학화 발달에서 테크놀로지의 효과. 수학교육, 46(1), 97-122.
  2.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5-74호[별책 8].
  3. 박희정.김경미.황우형(2011). CAS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수학 수업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5(2), 302-430.
  4. 손홍찬.류희찬(2005). 함수 지도와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 스프레드시트의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15(4), 505-522.
  5. 신은주(2005). 등속도 운동에서 일차함수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관점을 기반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4), 419-444.
  6. 오흥준.양명섭(2013). GSP를 활용한 함수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8(1), 31-37.
  7. 이광상.조민식.류희찬(2006). 엑셀의 활용이 일차함수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학교수학, 8(3), 265-290.
  8. 이수진.이종학.김원경(2013). 수학교육공학 연구 동향의 비교.분석. 교사교육연구, 52(2), 253-266.
  9. 이종희.김부미(2003). 교수학적 처방에 따른 중학생들의 일차함수 오개념의 변화와 그 효과 분석. 학교수학, 5(1), 115-133.
  10. 천유영.임대근.류현아(2013). 수학 성취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함수적 표현의 번역 능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141-155.
  11. Hackenberg, A. J. (2009).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fraction knowledge and equation solving. Paper presentation at the Research Pre-session of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Washington, D.C.
  12. Izsak, A. (2003). "We want a statement that is always true": Criteria for good algebraic represent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modeling knowledg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4(3), 191-227. https://doi.org/10.2307/30034778
  13. Izsak, A. (2011). Representative competence and algebraic modelling. In J. Cai & E. Knuth(Eds.), Early algebraization: A global dialogue from multiple perspectives (pp. 239-258). Berlin: Springer-Verlag.
  14. Norton. A., & Boyce. S. (2015). Provoking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for coordinating n+1 levels of unit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40, 211-232. https://doi.org/10.1016/j.jmathb.2015.10.006
  15. Olive, J., & Lobato, J. (2008). The learning of rational number concepts using technology. In M. K. Heid & G. W. Blume (Eds.), Research on technology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Research syntheses (pp. 1-54).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and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6. Steffe, L. P. & Thompson, P. W. (2000). Teaching experiment methodology: Underlying principles and essential elements. In A. E. Kelly & R. A. Lesh (Eds.), Handbook of research design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pp. 267-306).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Thompson, P. W., & Thompson, A. G. (1992). Images of rat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