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two high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of mathematics lessons in North and South Korea

두 탈북 고등학생의 남북한 수학수업 경험에 대한 인터뷰 분석

  • Received : 2016.05.18
  • Accepted : 2016.06.1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As the number of dislocated North Korean students is increasing, the need and interest in supporting their learning are higher. We interviewed two dislocated female North Korean students who had studied middle school mathematics in North Hamgyeong Province and finished high school in South Korea. Two participants compared their student experiences of mathematics lessons in North Korea to mathematics lessons in South Korea. There exist differences but also similarities between mathematics lessons in South and North Korea. On Based on these interviews, we discuss some implication of two students' experiences on mathematics lessons and examinations.

남한에서 학습하는 탈북학생들의 낮은 학업성취도가 보고되면서 이 학생들의 학습지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으로 통일시대의 준비라는 관점에서 북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탈북학생들의 수학학습 지원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터뷰를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북한의 수학교육 연구는 교과서 분석을 위주로 하는 문헌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함경북도에서 중학교(남한의 중고등학교) 고학년까지 수학한 후 우리나라에서 다시 고등학교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두 탈북학생들을 인터뷰함으로써 학생의 관점에서 북한의 중등학교 수학수업의 모습을 남한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인터뷰를 통해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수업의 유사점이 차이점 못지않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터뷰 분석을 바탕으로 두 학생의 경험이 수학수업 및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숙(2012). 교육소외 학생들의 기초학력 신장을 위한 수학학습에서 나타난 수학적 오류. 수학교육학연구, 22(2), 203-227.
  2. 고상숙, 신동희, 김애화(2010). 탈북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포커스 그룹들과 면담을 통한 교육의 실제-수학, 과학을 중심으로. A-수학교육, 49(2), 125-148.
  3. 교육과학기술부(200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 수학, 과학, 기술.가정.
  4. 김청명(2009). 탈북학생의 수학학습에서 어려움과 수학화를 통한 함수의 이해.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효진(2015).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초등학교 1-4학년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나귀수, 박경미, 박영은(2016). 탈북학생과 지도교사의 수학 교수.학습 인식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6(1), 63-77.
  7. 리병모(1988). 교수방법론. 북한: 교육도서출판사.
  8. 박경미, 나귀수, 박영은(2014). 탈북학생의 수학적 태도 및 수학 학습 인식에 대한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4(4), 499-514.
  9. 박교식(2005). 북한의 학교수학 용어의 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1), 1-15.
  10. 박교식, 이경화, 임재훈(2004). 남북한 초등학교 교과서의 분수 도입 방식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14(4), 367-385.
  11. 박문환(2002a).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적 귀납법'에 대한 남.북한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12(2), 181-191.
  12. 박문환(2002b). 피타고라스 정리의 지도에 대한 남북한 비교. 학교수학, 4(2), 223-235.
  13. 박문환(2006). 북한 수학 교과서 내용 변화에 대한 분석. 학교수학, 8(2), 139-160.
  14. 변희현(2013). 북한 수학 수업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2), 297-311.
  15. 변희현, 박문환(2012). 통일대비 북한의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C 2012-6.
  16. 서울특별시교육청(2016). 2016 중등 교수학습 평가 계획.
  17. 신현성(1999).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 31-41.
  18. 연보라, 김홍찬(2012). 새터민 청소년의 수학학습 실태 및 적응 요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467-486.
  19. 우정호, 박문환(2002).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교육의 통합방안 모색. 수학교육학연구, 12(1), 49-70.
  20. 유시규, 안순주(2005). 남.북한 수학 교육과정 비교.분석-국민공통기본과정 9-가, 9-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 16, 43-83.
  21. 이기돈(2016a). 상상의 수학, 상상하는 수학의 교육. 수학교육학연구, 26(1), 103-119.
  22. 이기돈(2016b).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1), 21-41.
  23. 임재훈, 이경화, 박경미(2002).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 개발 연구 (I). 수학교육학연구, 12(4), 493-508.
  24. 임재훈, 이경화, 박경미(2003a).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개발 연구 (II). 학교수학, 5(1), 43-58.
  25. 임재훈, 이경화, 박경미(2003b). 북한 고등중학교 수학 교과서 구성 방식의 변화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3(1), 95-106.
  26. 임재훈, 이경화, 한대희(2003). 수학교육의 내재적 목적. 대한수학교육학회 2003년도 하계 수학교육학연구 발표대회 논문집, 225-242.
  27. 장주영(2009). 새터민 청소년의 수학과 학습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8. 정혜윤, 이경화(2016). 북한의 2012년 교육과정 개정 전후 수학교과서 분석: 초급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8(1), 143-157.
  29. 최지민(2000). 남.북한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3(1), 165-175.
  30. Lee, J. (2007). Understanding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teachers and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31. Schuman, D. (1982). Policy Analysis, Education, and Everyday Life: An empirical reevaluation of higher education in America. Lexington, MA, D. C. Heath.
  32. Seidman, I.E. (1991).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