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ontents in Middle School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7초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작도 과제의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geometric construction task of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mathematics curriculums)

  • 서보억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4호
    • /
    • pp.493-513
    • /
    • 2020
  • The reason for this study is that the learning content of geometric construction in school mathematics is very insufficient. Geometric construction not only enables in-depth understanding of shapes, but also improves deductive proof skills. In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geometric construction is a very important learning factor,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is very high in that it can develop reasoning skills essential to the future society. Nevertheless, the reduction of geometric construction learning content in Korean curriculum and mathematics textbooks is against the tim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ition of geometric construction learning conten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mathematics textbook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eometric construction according to change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Second, we develop a framework for analyzing geometric construction tasks. Third, we explore geometric construction tasks according to the developed framework.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geometric areas of the new middle school curriculum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농업계 특성화고 동물자원과 전공 교과목에 제시된 수학 관련 내용 및 이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실태 분석 (Analyzing the Status of Students' Learning on Mathematics Related Contents of Animal Resources Curriculum in Agricultural High School)

  • 조은아;도종훈;박윤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77-89
    • /
    • 2017
  • 농업계 특성화고 동물자원과의 전공 교과 이수에 수학 지식이 크게 요구되지는 않지만, 수학의 몇 가지 기초 개념에 대한 이해와 숙달 여부는 전공 교과 이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는 농업계 특성화고 동물자원과 전공 교과에 포함된 수학 관련 내용 및 이들 내용 이해에 필요한 수학 기초 개념을 분석하여 추출하고, 수학 기초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분석한다. 그리고 수학 관련 내용의 제시 방식에 따른 학생 이해도와 선호도를 조사한다. 이를 통해 농업계 특성화고 동물자원과 학생들의 전공 교과목 학습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PDF

중.고등학교 수학의 시각화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Middle & High School Mathematics)

  • 문광호;우정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1호
    • /
    • pp.135-15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role of the visualization as an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abstracted mathematics, to analyze visual materials in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and to suggest various visualized materials for teaching mathematics effectively. Though formal, symbolic and analytical teaching method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the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understand through intuition and insight, and formalize the mathematical concepts progressively. Especially the sigh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sics of cognition for intuition and insight. Therefore, suggesting mathematical contents through the visual method makes the students understand and formalize the mathematical concepts more easily.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role of visualization in mathematics teaching. And, we discussed about the four roles of visualization in the proces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confirmation and memorization of the mathematical truth, proving theorem and solving problem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urposes of teaching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roles of visualization, we analyzed visual materials currently taught in middle and high school, and suggested various visual materials useful in teaching mathematics. The investigated fields are algebra where visual materials are little used, and geometry where they are use the most. The paper-made-textbook can't show moving animation vigorously. Hence we suggested visual materials made by GSP and applets in IES .

  • PDF

한국과 독일의 중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II - 중학교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ion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Germany - Focused on the Area of Geometry -)

  • 정환옥;노정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1호
    • /
    • pp.1-14
    • /
    • 2005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as well as in the methods of development and pres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in Korean and German mathemat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research we investigated only the area of geometry, and in particular this study performed in-depth analysis concerning 4 subjects; namely congruences of triangles, special points in a triangle, similarity of figures and the theorem of Pythagoras.

  • PDF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기호의 서술: 어떻게 읽고 이해할 것인가? (Symbol Statemen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How to Read and Understand Them?)

  • 백대현;이진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165-180
    • /
    • 2011
  • 수학 학습에서 기호는 용어의 수학적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용어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간결하게 나타낸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호는 기호를 처음 접하는 학생이 기호의 수학적 의미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제시되었다.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도 대부분의 기호는 읽고 이해할 수 있게 서술되었지만 교과서에 따라 기호 자체의 서술과 기호와 관련된 내용이 명확하지 않거나 서로 다르게 제시된 사례가 있다. 본 논문은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기호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서술하는 것과 관련하여 교수 학습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논의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초.중.고교 확률.통계의 효율적인 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through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of the Curriculum and Text book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 오후진;유병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59-67
    • /
    • 1998
  • Probability and statistics is an important section in mathematics which is deeply related to everyday living,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In spite of its importance, many students will throw away it because it becomes very harder as its step(stage) deepens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relative importance is very small in Korea-SAT(the test of college entrance in Korea). Therefore, by analyzing the involvement carefully between the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the text book, by studying the problem and improvement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is study intends to give the students the confidence, interests, and accomplishment motive about probability and statistics field and to make a rational and creative decision-making through mathematical speculation by proposing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rough analyzing an existing facts in school's probability and statistics fiel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of four chapters. Chapter three looks into the mathematical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its teaching meaning, the outline of contents, some tips on teaching and problems and presents an effective and concrete teaching metho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chapter two. Chapter four is a conclusive part and gives the general improvement and intentional direction in educating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 PDF

중학교 통계영역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한국,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학습 요소 중심으로 (Exploration of Foreign Curriculu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Middle School Statistical Curriculum: Focusing on learning elements in Korea,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Japan)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501-52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통계영역의 성취기준과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중학교 통계영역의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함이다. 교육과정 비교·분석 결과, 전반적인 성취기준과 학습 요소에 대한 특징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한국, 미국, 싱가포르, 일본 네 나라 모두 실생활 맥락에서의 통계교육을 강조하였다. 둘째, 네 나라 모두 공학적 도구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셋째, 우리나라만 통계영역을 다루지 않는 학년이 있다. 넷째,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통계영역은 자료 분포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다섯째, 미국, 싱가포르, 일본에서는 다루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다루지 않는 학습 요소를 몇 가지 찾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차기 교육과정 개발과 새로운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통계적 개념의 이해 위주에서 이를 활용한 통계적 활동 중심의 교육과정이 되어야 한다. 둘째, 중학교 통계영역 교육과정의 학습 요소 개선 측면에서, 사분위범위와 상자 그림을 학습 요소로 추가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분위범위와 상자 그림은 자료 분석 영역에서 복수의 집단 간의 비교를 위한 간단하고 실용적인 기법으로, 중학생 수준의 학생들이 간단히 배워서 쉽게 그릴 수 있고, 실생활 관련 통계적 자료에 적용하면서 통계적 소양을 확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사분위범위와 상자 그림이 우리나라 중학교 통계영역 교육과정에도 새롭게 추가 선정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중학교 수학교과서 7-가의 집합 단원 기술에 관한 언어학적 고찰 (A Linguistic Study on the Writing of Section 'Se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7-ga)

  • 정광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2호
    • /
    • pp.177-213
    • /
    • 2006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수학은 제2차 교육과정 개정 시부터 도입된 집합 단원으로 시작하고 있다. 현대수학에서 집합론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중학교에 처음으로 진학한 학생들에게 집합에 대한 내용을 가르쳐야 한다는 당위성은 있지만 용어의 기술 방법이나 내용의 전개 등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면 이후의 후속학습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집합 단원의 내용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보다 세심한 용어의 설명과 주의 깊은 내용의 전개 등을 통하여 중학교에 갓 진학한 학생들이 쉽게 접하도록 하여 수학이라는 과목에 흥미를 느끼게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합 단원에 수록되어있는 용어와 내용의 기술에 대하여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각 교과서별 내용을 분석하고, 집합단원에서 다루었던 용어와 내용 등이 7-가 교과서 전반에 걸쳐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집합단원의 기술과 구성 등에 관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 PDF

남.북한 수학교과서의 내용체계 및 용어에 대한 비교분석 -북한의 고등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and Terminologie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South.North Korea)

  • 현진오;강태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105-128
    • /
    • 199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 way to make mathematics textbooks after Korea is reunited. For this, the analysis of curriculum in SouthㆍNorth Korea must be made before un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mathematics terms used in the latest middle school textbooks(1995-1996). And it also compared and contrasted the two textbooks while determining the best points of each. In this way, this study will be a very useful guide for making new educational curriculum and new mathematics textbooks after South and North Korea be unified.

  • PDF

기하 영역에서 초·중학교간 유사 학습내용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ilar Learning Content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Geometry)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27-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유사하게 다루는 기하 학습내용을 추출하고, 이 학습내용이 각 학교급에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그 차이점을 분석한다. 분석을 위한 도구는 Merrill 등의 연구를 기초로 한다. 먼저 학습한 결과를 '수행수준', '내용유형'으로 분류하고, 교과서 내용 제시 방법을 '교수요소', '제시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결과 유사한 학습내용으로 9개의 성취기준을 추출하고, 추출한 학습내용은 분석도구를 통해 탐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초·중학교에서 유사하게 다루는 기하 학습내용에 대한 실태를 확인함으로서 초·중학교 사이의 일관성 유무 및 구체적 차이점을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