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the Status of Students' Learning on Mathematics Related Contents of Animal Resources Curriculum in Agricultural High School

농업계 특성화고 동물자원과 전공 교과목에 제시된 수학 관련 내용 및 이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실태 분석

  • Received : 2016.11.30
  • Accepted : 2017.05.02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Although it is not necessary to have much mathematical knowledge in Major Courses of Animal Resources curriculums in agricultural high school, the function of mathematics class has a much effect on Major Courses. Therefore, we extracted the mathematics contents included in Major Courses of Animal Resources curriculums in agricultural high school, and also evaluated students'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method in textbooks of Major Courses. Furthermore, we analyzed students' preference about the description method in textbooks related to the Major Courses.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the level of mathematics contents of Animal Resources major curriculums does not break bounds of middle school level. Furthermore, many students are not able to solve the middle school level of problems. It is also shown that the most preferred description method in textbooks of Animal Resources major curriculums is the sentence-equation mixed type. In this study, we propose to reconstruct the mathematics contents with basic knowledge needed to complete the Major Courses in order that students can complete them more easily, and furthermore, to choose the description method in textbooks of Major Courses as sentence-equation mixed type and detailed explanation about terms should be included into the bargain.

농업계 특성화고 동물자원과의 전공 교과 이수에 수학 지식이 크게 요구되지는 않지만, 수학의 몇 가지 기초 개념에 대한 이해와 숙달 여부는 전공 교과 이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는 농업계 특성화고 동물자원과 전공 교과에 포함된 수학 관련 내용 및 이들 내용 이해에 필요한 수학 기초 개념을 분석하여 추출하고, 수학 기초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분석한다. 그리고 수학 관련 내용의 제시 방식에 따른 학생 이해도와 선호도를 조사한다. 이를 통해 농업계 특성화고 동물자원과 학생들의 전공 교과목 학습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덕, 함남우, 홍인숙, 김명우, 이재순, 전민정, 라미영(2012). 중학교 수학 (1). 교학사.
  2. 교육과학기술부(2011a). 고등학교 동물자원. (주)지학사.
  3. 교육과학기술부(2011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4. 김계웅(2015). 고등학교 중소가축관리. 충청남도교육청.
  5. 문철우, 김영옥(2010). 공업계 고등학교 수학 교과와 전문 교과와의 수학적 연결성 분석-전자계산기과 중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6(2), 233-249.
  6. 손기주(2011). 특성화고등학교 반도체디스플레이과에서의 전문교과와 수학교과의 연계성 연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손홍찬(2016). Jigsaw 모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특성화고 학생의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3), 309-328.
  8. 안제국, 김덕재, 임동국, 윤종태, 이종범(2012). 고등학교 가축관리실무. 부민문화사.
  9. 이상훈(2014). 2014학년도 공업계 고등학교 전기회로교과의 수학내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수기(2015). 고등학교 대가축관리. 충남교육청.
  11. 이은주(2009).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효율적인 수학교과 지도를 위한 전공 교과서 분석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재혁, 김성아, 심규박(2013). 자기조절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학업성취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전문계 고등학교의 수학학습에서.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3. 정정수, 김원규(2012).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과학교육연구논총 27(2), 29-40.
  14. 조은아(2016). 농업계 특성화고 동물자원과 교육과정 이수를 위한 수학 기초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분석.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최승현(2013).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수학과 진단평가 및 보정학습 자료 개발 연구 - '변화와 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409-434.
  16. 한은석(2014). 공업계 고등학교 토목교과(측량)와 수학교육과의 연계성 분석. 건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