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ontents in Middle School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6초

북한의 2012년 교육과정 개정 전후 수학교과서 분석 : 초급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s Before and After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12 of the North Korea : Focused o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 정혜윤;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143-1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개정 전후 교과서인 2009년과 2013년 북한 초급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내용 조직, 내용 전개, 내용 구성 방식 등의 변화방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조직과 관련하여 대단원이 1단원 감소하였지만 중단원의 수는 그대로이며 소단원의 수는 4단원 증가하였다. 둘째, 내용 전개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 학생의 참여를 독려하고 학생에게 친근한 형태의 전개를 추구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셋째, 내용 영역 구성과 관련하여, 분명한 변화가 나타났다. 수와 연산, 문자와 식 영역의 비율이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대신 규칙성,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도형의 방정식, 집합과 명제 영역에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초급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의 내용 조직, 내용 전개, 내용 구성에 나타난 변화는 남한의 수학교과서와 비교할 때 여전히 큰 차이를 보이지만 과거에 비해 간격이 좁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2012년에 이루어진 북한의 수학교육과정 개정과 그에 따른 수학교과서는 남한에서 추구하는 수학교육의 기본 방향과 부합되는 측면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일차부등식의 문제 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유형 분석 -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Error on the process of solving the liner inequality - Focusing on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

  • 김용호;오후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69-86
    • /
    • 2002
  • This study accordingly brought the analysis of the error into focus to instruct the liner inequality efficiently. Students, in result, committed errors: misused data(14.6%), misinterpreted problem(15.0%), logically invalid inference(2.7%), misunderstood theorem or definition(22.1%), unmatched solution(22.4%), technical error(17.5%), omission of solving process(5.7%).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errors, I try to emphasize the following in instructing students: First, you must emphasize studying of concept of the liner inequality and instruct students in the use of that Second, you must minimize the error by searching for the error that students are apt to commit and showing the anti-example when you instruct them in the liner inequality. Third, after evaluation, you must tell the result to students, and show many forms of the liner inequality with various means lest they should commit the same error. Therefore, if an instructor gives lessons to the students studying the instructive methods in order not to make errors about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it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much faster and arouse their curiosities and interests in lessons, and so they will take lessons willingly.

  • PDF

고등학교 수학과 <경제 수학>, 사회과 <경제> 교과서에 나타난 경제 용어, 함수 기호 및 함수 그래프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Economic Terms & Function Notations and Function Graphs in High School <Mathematics for Economics>, <Economics> Textbooks)

  • 이경원;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559-587
    • /
    • 2022
  • 이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경제 수학> 과목과 사회과 교육과정 일반 선택 과목인 <경제> 과목의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차기 교육과정 개발 및 교과서 서술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제 수학> 교과서에서는 경제 용어와 함수 기호를 도입해야 하며, 이 교과서의 경제 관련 함수에 대한 그래프 사용은 수학에서의 그래프 사용과 다르다. 이에 <경제 수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경제 용어, 함수 기호 및 함수 그래프의 사용방식을 <경제> 교과서와 비교·분석하였다. <경제 수학> 교과서에서 경제 용어는 수학과 연관성이 높은 경제 용어를 정의하여 제시하였다. <경제 수학> 교과서의 함수 기호는 수학, 경제학의 관례와는 다르게 함수 기호에서 대소문자가 혼용되어 비일관적으로 사용되었다. <경제 수학> 교과서의 함수 그래프는 축, 스케일링에 관해 변수가 나타내는 값의 범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경제 수학> 교과서에서 도형의 평행이동이나 기울기에 관한 수학적 해석을 제공하지 않았다. <경제 수학> 과목에서 학생들의 수학, 경제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교육과정 문서상의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고려 사항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경제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경제 관련 내용에 대한 수학적 해석의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술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기초역량으로서의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보정 학습 프로그램 개발 (A Remedial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Mathematics Applying Abilities as one of Core Competencies)

  • 최승현;류현아;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55-674
    • /
    • 2013
  • 현재의 학업성취도 평가가 직업교육이 목적인 특성화고에 적절치 못하다는 현장의 요구를 수용하여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2013년부터 특성화고 학생의 직업역량 강화를 위해 직업기초능력평가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이 평가의 결과는 인증서로 제공되어 취업 과정에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이후 학생들이 직업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학학습 지원 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수학 기초학력 부족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여, 이 학생들의 잠재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수학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수학과 교육과정 지도 내용에서 이후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수리 활용 능력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내용 영역별 단계 및 하위 레벨을 구성하고, 해당 학습 요소를 구성하여 내용 영역별 학습 요소를 체계화하여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개념도를 이용한 구조적 지식의 조사 연구 -초등학교 평면 도형 단원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Structural Knowledges by Concept Maps -Focused on Plane Figures in Elementary School-)

  • 정승진;박배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권1호
    • /
    • pp.65-7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tructural knowledges among the groups(high, middle, low) when the 6th grade subjects structured the concepts of the plane figures, triangle and quadrangle, by concept maps, and to analyse the features of concept maps according to hierarch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wo research contents were investigated: 1. Investig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of structural knowledge in the concepts of the plane figures using concept maps among the groups(high, middle, low). 2. Analysing the features of concept maps according to hierarchy. The structural knowledges represented on the concept maps of triangle and quadrangle which were drawn by the subjects were analysed by propositions, hierarchies, and cross-links. Subject-self Reports about how to make the concept maps were used to analyse the features of concept maps according to hierarchy.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were as fe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proposition links. Second, there wasn't m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hierarch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cross-links, and Fourth,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concept maps by hierarch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individuals in constructing the knowledges.

  • PDF

교과서의 귀류법 도입과 활용에 대한 고찰 및 개선 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of Introductions and Applications of 'Proof by Contradiction' in Textbooks)

  • 이기돈;홍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839-856
    • /
    • 2016
  • 2009 개정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해 '증명'을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옮기는 한편, 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공식적으로는 도입되지 않았던 '귀류법'을 고등학교 1학년 과목의 '학습내용 성취 기준'에 명시하였다. 귀류법은 어떤 명제가 참임을 보이기 위해 오히려 그 명제를 부정하는 귀류법 가정의 독특함으로 인해 인지적 갈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귀류법에 대한 논리수학적 및 역사적 분석을 바탕으로 새로이 도입된 현 교과서의 귀류법 도입 및 활용에 대해 살펴보고 발견, 설명, 융합 등의 관점에서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발견의 과정을 먼저 서술한 후 귀류법적 사고를 도입하고, 귀류법 가정이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부분을 분리시켜 설명하되 유기적으로 서술하며, 대우를 이용한 증명법과의 관계를 밝혀 상호 보완적으로 다루고, 융합교육적 관점을 도입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Development and Effect of H-STEAM centering on Secondary Education of Korea

  • CHO, Yun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3호
    • /
    • pp.1-1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nalyze the meaning and contents of the "H-STEAM teaching & learning model" which combine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STEAM) with the elements of Humanities. We developed this model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linked with career path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with the recognition of two issues. First, the existing Korean STEAM education lacks the elements of humanities, thus failing to achieve an authentic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might correspond to the Free Semester Program that was first introduced in 2013, and implemented at full scale in 2016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advantages of H-STEAM are as follows: First, H-STEAM enables students to flexibly think while traversing the physical world and the symbolic world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daily problems. Second, it combines advanced technology with human sensibility and imagination, and enables students to derive creative outcomes that stimulate their minds. Third, it makes students feel and realize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subject that students learn, and jobs of the real world.

수학 은유 분석을 통한 대학생들의 학교 수학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조사 (A Survey on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School Mathematics by analysis of metaphor about mathematics)

  • 이경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51-72
    • /
    • 2015
  • 본 논문은 대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와 수학 학습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인식과 그러한 인식을 갖게된 시기와 이유를 조사하여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에 대한 느낌을 은유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였으며 학생들의 은유 표현을 긍정형, 부정형, 혼재형, 판정불가로 분류하여 남녀 성별 및 계열별로 각 유형별 비율과 유형별 표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선호 시기와 비선호 시기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항상, 없음의 여섯 시기로 나누어 각 영역별 비율을 살펴보았고, 선호 및 비선호 이유를 성적요인, 정의적 요인, 내용적 요인, 교사 요인, 기타 요인과 같이 다섯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제시한 수학 은유 표현은 긍정형이 27%, 부정형이 42%, 혼재형이 27%로 부정형 표현을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특히, 계열별 분석에서는 인문사회계열과 공학계열의 학생들은 부정형 표현이 긍정형에 비하여 2배 정도 높았지만, 자연계열 학생들의 경우에는 반대로 긍정형 표현이 부정형에 비하여 2배 정도 높은 비율을 보였다. 둘째, 수학에 대한 선호시기와 이유를 묻는 질문을 한 결과, 초, 중, 고등학교로 진급할수록 수학에 대한 선호 비율이 높아졌다. 당시 수학을 선호했던 이유로는 성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수학 비선호 시기와 이유에 대한 질문 결과를 보면, 마찬가지로 초, 중, 고등학교로 진급할수록 수학에 대한 비선호 비율이 높아졌다. 그 이유로는 수학 학습 내용의 난이도가 갑자기 높아졌다는 내용적 요인과 성적 요인을 제시한 경우가 많았다.

유클리드 분할론에 기반한 작도교육의 방향 분석 (Analytic study on construction education based on Euclid's 'On divisions')

  • 서보억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483-500
    • /
    • 2016
  • Ancient Greek mathematician Euclid left three books about mathematics. It's 'The elements', 'The data', 'On divisions of figu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Euclid's 'On divisions of figure'. 'On divisions of figure' is a book about the construction of the shape. Because, there are thirty six proposition in 'On divisions of figure', among them 30 proposition are for the construc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On divisions of figure' we explore the direction for construction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ition of 'On divisions of figure' shall include the following information. It is a 'proposition presented', 'heuristic approach to the construction process', 'specifically drawn presenting', 'proof process'. Therefore, the content of textbooks needs a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is way. Second, a conceptual basis of 'On divisions of figure' is 'The elements'. 'The elements' includes the construction propositions 25%. However, the geometric constructions contents in middle school area is only 3%.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earning of construction in the our country mathematics curriculum.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 대상 'Math & 코딩'을 활용한 대학 미분적분학 교육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llege Calculus Educa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ith Coding)

  • 이재화;이상구;함윤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611-62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가 고심하는 '수학울렁증(Mathematics Anxiety, 수학불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2022년 1학기 S대학에서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재직자 신입생 20명을 대상으로 'Math & 코딩(Coding)'을 적용하여 운영한 대학 미분적분학 강좌 사례를 소개한다. 본 강좌에서는 'Math & 코딩'으로 쉽고 빠르게 중·고등학교 수학을 복습할 수 있는 콘텐츠와 대학 미분적분학 콘텐츠 및 교재를 새로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스스로 '수학울렁증'이 있다고 여기던 학생들은 코드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면서 복잡한 계산에 대한 부담을 덜게 되었고, 대신 확보한 시간을 수학 개념에 대해 동료 및 교수자와 토론하면서 미분적분학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본 강좌를 수강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미분적분학 교재에 있는 거의 모든 문제를 지필로 또는 코드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이야기 하였고, 미분적분학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에 대해서도 자신의 언어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의 수학강좌 교수학습과정에서 'Math & 코딩' 방식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수학적 배경이 약한 학생들과 이전에 수학을 포기했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다시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며, 중등수학교육에서도 'Math & 코딩' 접근방식을 충분히 적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