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problem

검색결과 3,797건 처리시간 0.028초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재의 문제 만들기 내용 분석 및 학생들의 실태 조사 (A Study on the Analysis for Problem-Posing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 Mathematics Textbooks by the 7th Curriculum and Investigation for Children's Disposition to Mathematical Problem-Posing)

  • 임문규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3권2호
    • /
    • pp.295-324
    • /
    • 2001
  • Until now,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o investigate a degree of abilities or interesting about mathematical problem-posing of first and second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is students(1st and 2nd grades) have a limited amount of study time and their minds are not fully developed, and are lacking in their representation of ability to use the national language. This being the case,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their Mathematical problem-posing in a practical manner. However, our 7th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emphasizes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problem-posing from a basic level of first and second grade with emphasis on activity in teaming Mathematics. Through this study, having analysed the problems those children posed, I have found out they improved in numbers and correctness of their posed problems. And I too could found out showing to their much interesting and confidence to mathematical problem-posing and could confirmed for the children to admit themselves its merits through analyzing some questions to ask their opinions to it. I expect that this study can help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al problem-posing and also to improve its method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next study task is,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the studies to investigate and analyse the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of children for problem-posing contents of mathematics text books.

  • PDF

FOCUS 문제해결과정이 수학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FOCUS Problem Solving Steps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 이연주;류성림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43-26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FOCUS 문제해결과정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이 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수학학습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4학년 1학기 수학의 2개 단원에 걸쳐 총 13차시에 대하여 FOCUS 문제해결과정을 적용하였고, 수학 문제해결력 검사와 수학적 태도 검사를 사전과 사후 모두 사용한 후 t-검정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FOCUS 문제해결과정에 따른 학습활동이 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수학적 태도 가운데 수학적 호기심, 수학적 반성, 수학적 가치의 3가지 요인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수학적 태도에 속하는 6가지 요인 모두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FOCUS 단계에 따라 문제를 풀어봄으로써 학생 스스로 성공했을 때의 만족감을 느꼈으며 검토와 반성을 통하여 자신의 오류를 직접 찾고 해결해나갈 때의 기쁨으로 인하여 FOCUS 문제해결과정을 적용한 활동이 보다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있어서도 크게 의미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문제 중심 학습의 방법으로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as a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 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3호
    • /
    • pp.303-318
    • /
    • 2005
  • 학생들이 자신의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학을 이용하고, 그를 통해 수학적 지식을 학습할 수 있다면, 이것은 학생들이 수학의 유용성과 가치를 깨닫게 하는 수학교육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문제해결을 통하여 수학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해, 여러 교과에서 관심을 두고 있는 문제 중심 학습을 고찰하고 그것을 수학 교과에서 수학적 모델링으로 적용하려 시도했다.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 학생들을 실제로 지도한 예시를 들어, 형식적이고 위계적인 학문으로서의 수학에 모델링을 도입하여 문제 중심 학습을 실현할 수 있음을 보이려 했다.

  • PDF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문제 해결 역량 요소 탐색 - 중학교 1학년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blem Solving Competency Represented in the New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07-427
    • /
    • 2019
  • The six core competencies includ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5 are problem solving, reasoning, communication, attitude and practice, creativity and convergence, information processing. In particular, the problem solving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enhancing much higher mathematical thinking. Based on this competency, this study selected the four elements of the problem solving such as problem solving process, cooperative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modeling, problem posing. And also this study selected the domain of function which is comprised of the content of the coordinate plane, the graph, proportionality in the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By the subject of the ten kinds of textbook,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our elements of the problem solving competency were shown in each textbook.

ON OPTIMIZATION OF METAL FORMING WITH ADAPTABLE CHARACTERISTICS

  • Gitman, Michael B.;Trusov, Peter V.;Redoseev, Sergei A.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7권2호
    • /
    • pp.507-516
    • /
    • 2000
  • In the present paper we consider a problem of choosing the rational way to carry on the metal processing (the problem of stochastic optimization) and the problem of determing the unknown characteristics of parameters described with random variables.

HOPF'S BOUNDARY TYPE BEHAVIOR FOR AN INTERFACE PROBLEM

  • Beygmohammadi, Maryam;Sweers, Guido
    • 대한수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49-265
    • /
    • 2017
  • Interface problem here refers to a second order elliptic problem with a discontinuous coefficient for the second order derivatives. For the corresponding boundary value problem, the maximum principle still holds but Hopf's boundary point lemma may fail. We will give an optimal power type estimate that replaces Hopf's lemma at those boundary points, where this coefficient jumps.

유사성 구성과 어포던스(affordance)에 대한 사례 연구 -대수 문장제 해결 과정에서- (The Case Study for The Construction of Similarities and Affordance)

  • 박현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4호
    • /
    • pp.371-388
    • /
    • 2007
  • This is a case study trying to understand from the view of affordance which certain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an activation of previous knowledge in the course of problem solving when they solve algebra word problems with a previous knowle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t first, every subjects perceived the text as affordance which explaining superficial similarities, that is, a working(painting)situation rather than problem structure and then activated the related solution knowledge on the ground of the experience of previous problem solving which is similar to current situation. The subject's applying process for solving knowledge could be arranged largely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is a numeral information connected with the described problem situation or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mathematical meaning which are the transformed solution applied process with a suitable solution formula to the current problem. This process achieved by constructing a virtual mental model that indicating mathematical situation about the problem when the solver read the problem integrating symbolized information from the described text. The second type is a case that those subjects symbolizing a formal mathematical concept which is not connected with the problem situation about the described numeral information from the applied problem or the text of mathematical meaning, which process is the case to perceive superficial phrases or words that described from the problem as affordance and then applied previously used algorithmatical formula as it was. In conclusion, on the ground of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it is guessed that many students put only algorithmatical knowledge in their memories through previous experiences of problem solving, and the memories are connected with the particular phrases described from the problems. And it is also recognizable when the reflection process which is the last step of problem solving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roblem and making a plan showed the most successful in problem solving.

  • PDF

초등수학 서술형 수행평가 문항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pen-Ended Tasks and Assessment Rubric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2호
    • /
    • pp.207-22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the processes of tasks and assessment rubrics of open-ended tasks, and those for the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7 tasks were finally developed, and 'problem understanding', 'problem solving process', 'communication' were selected as the criteria for assessment rubrics. The result was that the ability of mathematical power covering problem understand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was low. Specifically, problem understanding ability was the highest, problem solving ability was middle,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was the lowest.

  • PDF

수학적 정당화가 문제 해결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on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 정인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267-283
    • /
    • 2013
  • 수학적 정당화란 일반적으로 적절한 근거에 기초하여 자신의 주장이 참임을 보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교실 실제에서의 수학적 정당화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수학적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적 정당화 활동이 학생들의 문제해결과 의사소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적 정당화 활동이 강조되는 문제해결 중심 수업을 실시하고 문제 이해 활동, 개별 탐구 활동, 소집단 토의 활동, 전체 논의 과정에서의 수학적 정당화 활동과 의사소통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적 정당화 활동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주었고 의사소통 과정을 촉진하였으며,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도록 자극하였다. 또한 수학적 정당화 활동은 학생들의 이해를 평가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교실에서의 사회적 관계 및 역동적인 교실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PBG(Problem Behavior Graph)를 이용한 수학적 사고 과정 분석 (An Analysis on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of Gifted Students Using Problem Behavior Graph)

  • 강은주;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545-562
    • /
    • 2009
  • PBG(Problem Behavior Graph; 문제해결 행동 그래프)는 인지 심리학자인 Newell과 Simon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연구 대상자가 문제를 해결할 때 인지 활동을 그래프 형식을 이용하여 그려놓은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수학 영재의 수학적 문제 해결에서 이루어지는 인지적인 과정을 추적하기 위하여, 사고구술법(Think-aloud method)으로 추출된 수학 영재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언어 프로토콜로 나타내고 분석한 것을 토대로 PBG를 구성하는 사례를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수학 영재 학생들이 문제 해결 과정 중 인지 활동으로 거치게 되는 절차와 사고 과정 특성 지도를 살펴보고 대상 학생들이 여러 번의 시행착오 후 전체적인 과정을 수정하며 수행해 나가게 되는 방법과 문제의 최종적인 해결안을 도출해 내는 경로 탐색 과정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