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pollution control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6초

가막만에서 분리한 유해성 침편모조류 Chattonella merina (Subrahmanyn) Hara et Chihara (Raphidophyceae)의 성장에 미치는 수온, 염분 및 빛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Harmful Algae Chattonella marina (Subrahmanyn) Hara et Chihara (Raphidophyceae) Isolated from Gamak Bay, Korea)

  • 노일현;윤양호;김대일;오석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87-494
    • /
    • 2006
  •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harmful algae Chattonella marina isolated from Gamak Bay in South Sea, Korea were investigated. C. marina was able to grow in temperatures of $15-30^{\circ}C$ and salinities of 10-35 psu.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0.64/day) was observed with combination of $25^{\circ}C$ and 25 psu. Optimal growth (${\ge}70%$ of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was obtained with all salinities of the above $20^{\circ}C$. This result indicated that C. marina is a stenothermal of the high water temperature and euryhaline organism. C. marina was did not grow at irradiance ${\le} 10{\mu}mol$ photons/($m^2\;s$). Photoinhibition did not occur at $300{\mu}mol$ photons/($m^2\;s$), which was the maximum irradiance used in this study. The irradiance-growth curve was described as ${\mu}=0.78(I-11.4)/(I+34.1)$ at $25^{\circ}C$ and 25 psu. The half-saturation photon flux density (PFD) ($K_s$) was $56.9{\mu}mol$ photons/($m^2\;s$) and compensation PFD ($I_c$) was $11.4{\mu}mol$ photons/($m^2\;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C. marina has advantag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to the interspecific competition at the embayment and costal areas of South and West Sea, Korea in summer.

화순항내 준설토사의 양빈재 유효활용을 위한 적합성 평가 (An Adaptedness Assessment for Beach Nourishment Utilization of Dredged Materials in Hwasun-Port)

  • 최진환;이상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940-2944
    • /
    • 2015
  • 화순항에서 유효활용을 위한 준설토의 오염도 분석결과, Ni이 기준치를 전지점에서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정된 유효활용기준에 의하면 기준치를 초과하더라도 인위적인 오염원이 없고 펄의 평균 무게 비율이 10%미만이며 생태독성 시험을 통과하였을 경우 양빈재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구방법으로 해양환경공정시험법에 의한 펄의 평균무게 비율조사와 생태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펄의 평균 무게 비율은 5.37%로 기준치인 10%을 하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광 박테리아를 이용한 생태독성실험 결과는 상대발광저해율이 0~9.13%로 독성없음으로 판정되었으며 저서성 단각류를 이용한 시험에서도 대조구와 시료의 상대평균생존률이 0%로 독성없음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개정된 유효활용기준을 모두 만족하므로 양빈재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적합성이 평가되었다.

염분과 표준 독성물질(Cu, Cd)이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수정 및 배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nity and Standard Toxic Metal(Cu, Cd) on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Rates in the Sea Urchin(Hemicentrotus pulcherrimus))

  • 황운기;이충원;김광섭;안경호;박승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1호
    • /
    • pp.9-16
    • /
    • 2009
  • Effects of salinity and standard toxic metals on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rates were investigated in the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Spawning was induced by injecting $1{\sim}2$ mL of 0.5 M KCl into the coelomic cavity. Males released white or cream-colored sperms and females released yellow or orange-colored eggs. The fertilization rate was below 30% when salinity was 20 psu and lower, but was almost above 90% when salinity was 25 psu and higher. The embryo development rate was below 60% when salinity was 25 psu and lower, but was above 80% when salinity was between 30 and 35 psu. The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rates in the control condition(not including Cu and Cd) were greater than 90%, but decreased a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creasing of Cu(r=-0.80, r=-0.78) and Cd(r=-0.90, r=-0.82) concentrations, respectively. The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rat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addition of Cu($EC_{50}$=17.30 ppb, $EC_{50}$=10.32 ppb) and Cd($EC_{50}$=364.57 ppb, $EC_{50}$=244.04 ppb),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linity concentrations for successful fertilization and normal embryogenesis of H. pulcherrimus are above 25 psu and 30 psu, respectively, and the biological assays of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rates using H. pulcherrimus are useful methods for the ecological toxicity test of marine pollution elements.

해양플랜트 폭발사고 위험도 평가/관리를 위한 실증시험기법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Verification Test Procedure for Quantitative Explosion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Offshore Installations)

  • 김봉주;하연철;서정관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5권3호
    • /
    • pp.215-221
    • /
    • 2018
  • The structural design of offshore installations against explosions has been required to protect vital areas (e.g. control room, worker's area etc.) and minimize the damage from explosion accidents. Because the explosion accident will not only result in significant casualties and economic losses, but also cause serious pollution and damage to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oastal marine ecosystems. Over the past two decades, an incredible efforts was made to develop reliable methods to reduce and manage the explosion risk. Among the methods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QRA&M) is the one of cutting-edge technologies. The explosion risk can be quantitatively assessed by the product of explosion frequency based on probability calculation and consequence analyzed using computer simulations, namel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d Finite Element Analysis (FEA). However to obtain reliable consequence analysis results by CFD and FEA, uncertainties associate with modeling and simulation are needed to be identified and validated by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Therefore, large-scaled explosion test procedure i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developed test procedure can be helpful to obtain precious test data for the validation of consequence analysis using computer simulations, and subsequently allow better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explosion risks.

유조선 선체 파공에 따른 원유 유출 유속의 CFD 연구 (A CFD Study of Oil Spill Velocity from Hole in the Hull of Oil Tanker)

  • 최두영;이정섭;백중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71-71
    • /
    • 2018
  • 해상 교통량 증가에 따라 선박 사고로 인한 대형 해양 오염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유조선 충돌에 따른 선체 파공은 원유의 바다 유출을 야기하여 심각한 해양오염을 유발하므로 이러한 사고에 대해서 신속한 방재 대응력이 요구된다. 작은 파공은 목제 플러그를 인위적으로 삽입하여 봉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대형 파공의 경우 사람이 직접 봉쇄하기에는 어려워 기계적 봉쇄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파공봉쇄 장치 개발을 위해서는 유체의 유출유속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007년 태안 기름유출 사고에서 관측된 초기수심 7.5 m, 직경 30 cm의 파공에 대해서 고해상도 CFD 모델링을 수행하여 수심별 기름 유출 유속의 분포를 계산하였다. 비중 0.85이며, 원유의 온도 $20^{\circ}C-100^{\circ}C$ 조건에 따른 점성계수 $4-12cP(mPa{\cdot}s)$ 조건에서 파공을 통한 원유 유출을 고해상도 모델링한다. 모델링 결과를 분석하여 원유유출에 대한 마찰손실계수와 유량계수의 범위를 레이놀즈수의 함수로 제시한다.

  • PDF

원자력시설 안전관리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수산물의 안전관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Law of Nuclear Facilities -Focused on Safety Management of Aquatic Products-)

  • 이우도
    • 수산경영론집
    • /
    • 제50권2호
    • /
    • pp.23-40
    • /
    • 2019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problems of the law systems of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nuclear facilities and to propose the improvements with respect to the related problems especialy focused on safety management of aquatic produc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aper would be helpful to build an effective management law system of safety and maintenance of nuclear facilities and fisheries products. The research methods are longitudinal and horizontal studies. This study compares domestic policies with foreign policies of nuclear plants and aquatic products. Using the above methods, examining the current system of nuclear-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e have found that there exist 13 Acts including "Nuclear Safety Act", etc. Safety laws related on nuclear facilities have seven Acts including "Nuclear Safety Act", "the Act on Physical Protection and Radiological Emergency", "Radioactive waste control Act", "Act on Protective Action Guidelines against Radiation in the Natural Environment", "Special Act on Assistance to the locations of facilities for disposal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Act". "Act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The seven laws are composed of 119 legislations. They have 112 lower statute of eight Presidential Decrees, six Primeministrial Decrees and Ministrial Decrees, 92 administrative rules (orders), 6 legislations of local self-government aself-governing body. The concluded proposal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we propos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 law and general law should be re-established. Secondly, the terms with respect to law system of safety and maintenance of nuclear plants should be redefined and specified. Thirdly, it is advisable to re-examine and re-establish the Law System for Safety and Maintenance of Nuclear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rights like the French Nuclear Safety Legislation. Lastly, inadequate legislation on the aquatic pollution damage should be re-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ensure sufficient transparency as well as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 the policy decision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possibilities of accepting the implications of the French legal system as a legal system in Korea. In conclusion, the safety management of nuclear facilities is not only focused on the secondary industry and the tertiary industry centering on power generation and supply, but also on the primary industry, which is the food of the people. It is necessary to prevent damage to be foresee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re should be no harm to the people caused by contaminated marine products even if the "Food Safety Law for Prevention of Radiation Pollution Damage" is enacted.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에 관한 연구 IV. 황해산 도다리 (Pleuronichthys cornutus)의 지질성분의 변화 (Study on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 IV.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in the Yellow Sea)

  • 최진호;김동우;박청길;김재일;양동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1-607
    • /
    • 1997
  •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 설정의 기초연구의 일환으로서 오염이 심각한 서해산 (황해) 도다리 (Pleuronichthys conutus)의 혈액의 지질성분을 분석 평가하였다.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혈액중의 헤모글로빈의 함량은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도다리 대비 $15\~30\%$의 현저한 감소현상이 나타나서 서해안의 내해 (內海) 뿐만 아니라 외해 (外海)의 오염도 상당히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혈청중의 중성지질 (TG)의 함량도 포항의 자연산 도다리의 혈청중의 TG의 함량 대비 $15\~50\%$나 유의적으로 높았다. 서해안 자연산 도다리의 혈청중의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포항의 자연산 도다리의 혈청중의 총콜레스테롤의 함량 대비 아산과 서산은 $20\~25\%$나 높았지만, 격포나 보령은 차이가 없었다.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혈청 중의 LDL-콜레스테롤의 함량도 각각 $15\~35\%$나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의 증가는 거의 인정할 수 없었다. 또한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동맥 경화지수는 포항의 자연산 도다리의 동맥경화지수 대비 각각 $10\~60\%$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질병이나 노화와 함께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진 인지질에 대한 총콜레스테롤의 함량비 (T-Chol/PL ratio)는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T-Chol/PL비가 포항의 자연산 도다리의 T-Chol/PL비와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오염도 서해안의 넙치와 마찬가지로 병적상태로 오염의 정도가 상당히 심각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은 서해안의 수질환경이 공장폐수 및 육상오수의 유입, 그리고 농약 등의 오염원에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카드뮴 노출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3) 의 hemolymph 및 hepatopancreas의 효소활성의 변화 (Changes of enzyme activity in the hemolymph and hepatopancreas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3) exposed to cadmium)

  • 민은영;이정식;곽인실;김재원;강주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1-49
    • /
    • 2014
  • 본 연구는 카드뮴 노출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hemolymph 및 hepatopancreas의 효소활성에 대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북방전복은 카드뮴 0, 5, 10, 20 및 40 Cd ${\mu}g/L$의 농도에서 4 주간 노출시킨 결과, hemolymph의 phenoloxidase (PO) 활성은 40 Cd ${\mu}g/L$ 농도에서 4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alkaline phosphatase (ALP),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활성은 40 Cd ${\mu}g/L$ 농도에서 4주 후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또한 hemolymph의 칼슘(Ca) 농도는 20 및 40 Cd ${\mu}g/L$의 농도에서 4주 후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한편 hepatopancreas의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은 20 및 40 Cd ${\mu}g/L$ 농도에서, catalase (CAT) 활성은 40 Cd ${\mu}g/L$ 농도에서 2주 후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따라서 카드뮴에 노출된 북방전복 hemolymph와 hepatopancreas의 효소활성은 적어도 카드뮴 농도 40 Cd ${\mu}g/L$에서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들 효소활성은 연안의 중금속 오염 모니터링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에 관한 연구 VII. 남해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지질성분의 변화 (Study on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 VII.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South Sea)

  • 최진호;김동우;김정화;박청길;양동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82-888
    • /
    • 1998
  •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 설정의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오염이 심각한 서해안의 오염지표에 관한 연구에 이어, 남해안의 오염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오염도가 적은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넙치를 대조군으로 하여 남해산 양식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중의 지질성분을 분석 평가하였다. 남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혈청중의 헤모글로빈의 함량은 포항의 자연산 넙치 대비 각각 $4\~17\%$의 감소현상이 나타나서 헤모글로빈의 파괴가 상달함을 알 수 있었다. 남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혈청중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포항의 자연산 넙치대비 각각 $12\~25\%,\;9\~19\%$$17\~25\%$나 높았다. 이러한 사실은 해양오염 뿐만 아니라 양식산 넙치의 사료의 과량 투여 및 운동량 부족도 관계할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동맥경화지수 (AI) 및 인지질에 대한 총콜레스테롤의 함량비 (T-Chol/PL ratio)도 대조군으로 사용한 포항의 자연산 넙치 대비 각각$26\~43\%$$17\~26\%$나 높아서 남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오염도가 심각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남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포항의 자연산 넙치 대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15\~25\%$나 낮아서 상당히 문제가 있었다. 사실 운동량이나 섬유질 및 생선 단백질의 섭취에 따라 증가하는 HDL-콜레스테롤이 감소한다는 사실은 연안해역의 환경개선책이 시급함을 말해준다.

  • PDF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에 관한 연구 IX. 남해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콜린에스테라아제의 변화 (Study on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 IX. Changes in Cholinesterase Activity of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South Sea)

  • 최진호;김동우;박수현;박청길;양동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7-41
    • /
    • 1999
  •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 설정의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오염이 심각한 남해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뇌조직 및 근육중의 AChE와 BChE의 활성 및 LDH의 활성을 분석 평가하였다 남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뇌조직 및 근육중의 AChE의 활성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넙치의 뇌조직 및 근육중의 AChE의 활성 대비 각각 $10\~20\%$$12\~19\%$정도나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남해안의 양식산넙치의 뇌 조직 및 근육중의 BChE의 활성도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넙치의 뇌조직 및 근육중의 BChE의 활성 대비 각각 $25\~34\%$$22\~35\%$ 정도나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한편 남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혈액중의 LDH의 활성은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넙치의 혈액중의 LDH의 활성 대비 $10\~55\%$정도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남해안 시료채취해역의 오염도가 서해안 시료채취해역의 오염도보다는 낮다고 할지라도 생태계에 문제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AChE, BChE 및 LDH의 활성도는 해양의 환경평가를 위해 넓은 해역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