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검색결과 1,255건 처리시간 0.033초

일본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japan)

  • 김희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03-411
    • /
    • 2020
  • 본 연구는 2017년 개정된 일본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구성체계와 개정중점을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2017년 개정 고시된 3기관(유치원, 보육소,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구성체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그 특성에 따라 보다 구체화하였으며, 공통적으로 개정중점을 같은 방향에서 제시하고 있다. 둘째, 교육·보육과정의 개정중점은 유아기까지 길러야 할 3가지 자질·능력을 정립, 10가지 유아상을 명확히 하고 있다는 점과 길러야 할 자질·능력과 유아상을 실천하기 위하여 커리큘럼·메니지먼트의 확립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아상에 제시한 내용이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지와 교사의 자율권을 보장하지 못하면서 지나치게 커리큘럼·메니지먼트의 확립을 강조하고 있지 않는지에 대한 교육·보육관계자들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충청북도 지역의 학교급식과 산업체급식 영양사의 직무 수행시 식품영양학전공 교과내용의 활용도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xtent of Dieticians'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Food and Nutrition Department to their Work)

  • 김기남;이명순;이영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4호
    • /
    • pp.430-439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xtent of dieticians'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food and nutrition major to their work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more efficiently applicable curriculum. A questionnaire survey of 552 dieticians at school food service and industry food service operations in Korea was conducted and 178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vail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atistical evalua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made of raw data by way of using the SPSS/win 7.2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Dietitian’s job could be categorized into 11 duties and 92 task elements. The application level was ranked at a level between 3 point and 4 pont(out of 5 scale) in the most area of the 92 task elements. Out of 11 duties, duty of sanitation management was applied at the highest level, while duty of nutrition education and duty of consultation management were utilized at the lowest level. Compared with the industry food service dieticians, dieticians at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employed the curriculum at the higher level. The effectiveness of experiments and practicum curriculum was ranked at the lower level than 3 point(out of 5 scale).

  • PDF

교육품질 향상을 위한 e-비즈니스 커리큘럼개발에 QFD와 컨조인트분석의 실증적 적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mpirical Application of QFD and Conjoint Analysis to e-business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Advance of Educational Quality)

  • 박기남;조재균;정석찬;전종근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678-685
    • /
    • 2002
  • e-business curriculum needs to be developed reflecting requirements of the stakeholder which involve a close relation with a industrial and educational job performed in the field.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methodology for developing a market-oriented and stakeholder-led e-business curriculum using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and conjoint analysis.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data resulting from the surveyed opinions of respondents working for e-business companies, the interviewed results with professors and students and evaluate the importance of each course being involved in the curriculum with respect to the job classification (e.g.. Web planner. Web master. Web programmer. Web marketer. Web designer), and then. complete a curriculm flow diagram(CFD) considering precedence and relative difficulty among the selected courses. The e-business curriculum developed by the proposed method is useful to provide guidelines for determining courses required toward a desired job and for making a partial amendment of the curriculum.

  • PDF

가정과교육과정에서의 핵심개념: 관리 및 생애설계 (Core Concepts of Home Economics: Management and Planning of Life-cycle)

  • 남수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1-5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 고시 교육부 고시 '2015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의 핵심개념인 "관리"와 "생애설계"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살펴보았다. 먼저 "관리"영역과 관련해서는 전통적인 가정관리의 이론적 토대인 체계이론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체계이론이 2015년 개정교육과정 내에서는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진단한 결과 현 교육과정의 중학교 내용요소들은 중학생들의 실생활에서 직면하고 있는 생활관련 문제들을 통합적으로 포괄하고 있지 않으며 선별된 내용 요소들 또한 여러 가지 문제 상황 중에서 어느 정도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지 확신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다음으로 생애설계의 경우 진로지도에 부합하여 생애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발달과업을 비롯하여 가치관, 직업, 건강 등 매우 포괄적인 영역을 망라하여 생애설계의 대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국제적인 트렌드인 재무설계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사실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육내용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Approach for the Contents of Industrial Arts.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 전현주;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5-112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 problem of Industrial Arts$.$Home Economics subjects, and to improve its curriculum contents. In order to have accomplished the above objectives, the experts were gained about ideas and methods about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contents of Industrial Arts$.$Home Economics subjects. In second questionnaire, based on the curriculum contents of Industriasl Arts$.$Home Economics subjects draw from the above review of literatures, the opinions of the experts were investigated about review of literatures, the opinions of the experts were investigated about the selection of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Industrial Arts, respectively. The selected data in first questionnaire was manipulated by the frequency and percent. The curriculum contents in second questionnaire was selected above the sum total 80 in Home Economics subjects and above the sum total 61 in Industrial Arts subjects. The distinction of curriculum contents selected by the each domain were as follows. (1) The daily life as a consumer and the importance of home management we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contents selected in the domains of consuming and management. (2) The vocational investigation, the course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young generation we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contents selected in the domains of the family living and human development. (3) The basic Knowledge of nutrition and cooking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ood choice we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selected in the nutrition and food. (4) The choice and care of clothing a proper personal appearance,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achinery and tools we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contents selected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5) The economical aspects of housing, the contents of the reasonable housing choics, and the contents for vital skills were emphasized in the housing and instruments.

  • PDF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의 타당성 분석 및 교수모형 설계 (Feasibility Analysis and Curriculum Design for the Business Simulation Learning)

  • 이재원;박진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09-323
    • /
    • 2009
  •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은 경영학 교육에 응용되는 교육용 게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교수방법으로 기업경영활동을 유사하게 모의화 하여 가상기업들을 경영하면서 경영학 지식, 경영관리 능력, 그리고 문제 해결 능력을 체험하며 학습하는 경영교육 도구로써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에 대한 수업 타당성 분석과 교수모형의 설계를 목적으로 이뤄졌으며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 교육과정의 대학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사전 단계의 연구로써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의 동향과 연구현황 조사, 필요성 인식 조사 및 수업 가능성에 관한 문헌조사 그리고 대학 학부생과 기업체 임원에 대한 설문 수요조사 및 분석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산업계와 대학교육에서의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에 대한 필요성과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문헌조사와 수요조사의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대학의 경영교육을 위한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의 교과과정을 설계하고 교수모형으로 제시하였다.

국내 4년제 대학의 MIS학과 교과과정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S Curriculum in Domestic Four-year Universities)

  • 김영문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4권1호
    • /
    • pp.47-73
    • /
    • 1994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IS curriculum of fifteen four-yea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The data for analyses was collected from the university catalogues, questionnaire, and telephone interview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is paper report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MIS departments and analyzd the curriculum using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ree issues : (1) the operations of MIS curriculum, (2) the sequences of selected MIS courses, (3) the course titles. This papers finally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 PDF

IS 2002 표준교육과정에 입각한 국내 정보시스템 관련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IS-Related Curriculums in Korea Based on the IS 2002 Model Curriculum)

  • 류영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149-171
    • /
    • 2010
  • 본 연구는 독립된 학문분야로서의 정보시스템이 갖는 표준교육과정의 핵심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국내 정보시스템 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을 정보시스템의 표준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IS 2002 표준교육과정의 핵심교과목을 기초로 국내 정보시스템 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을 비추어 보았을 때 전체 교육과정 가운데 약 58%만이 이에 해당하였다. 이는 곧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정보시스템이 아직 국내에서 충분히 학문으로서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핵심교과목에 있어서는 편중됨이 없이 대체로 각 영역에 고루 편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보시스템이 경영학을 모태로 출발하였음을 나타내는 증거가 인접학문의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인접학문 가운데 거의 독보적으로 70% 이상의 교과목이 경영학분야(회계학 포함)로 편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는 한편으로 정보시스템이 경영학에 의존하는 바가 커서 경영학으로부터 독립하여 독자적인 학문영역을 구축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국립대학 및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많은 대학에서 독립된 학과(학부)를 개설하는 대신에 경영학과(학부) 내에서 몇 개의 관련 교과목을 편성하는 수준으로 전공을 운영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의과대학생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Domestic Research of Medical Students Trends Analysis)

  • 이애화
    • 의학교육논단
    • /
    • 제20권2호
    • /
    • pp.91-102
    • /
    • 2018
  • This study explored medical students' major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by analyzing 184 academic articles pertain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students from 2007 to 2017. Results showed many papers dealing with medical students'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student counsel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According to the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board, research trends were found mostly in the student and curriculum areas of learner characteristics, medical humanities, student counsel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Common research topic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standard in 2012. Medical students predominantly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tud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research topics such as CQI, digital- and performance-based clinical practice, and convergent curriculum with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eing studied. In addition,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learners' unique, dynamic,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교육과정 분석에 따른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예시 설계 (Designing the Archival Contents Sample for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standards Analysis)

  • 이은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5-188
    • /
    • 2011
  • 본 논문은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단계인 교육과정 분석과 컬렉션 분석의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에 따라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예시를 설계하였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수업에서 통일 교육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를 설계함으로써 앞서 제안한 교육과정 분석과 컬렉션 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해보고,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