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er Education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3초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k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Virtual Reality Creation Platform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 이민우;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65-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이 다루기 쉽고, 공유가 쉬운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플랫폼을 선정하고, 메이커 교육 교수·학습 모형 중 TMSI 모형의 단계별 활동을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과 관련지어 재구성한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습몰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aker Education Program Science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Scientce-Related Attitudes)

  • 강지훈;이동영;김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63-37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40명을 대상으로 각 20명씩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6학년 2학기 '계절의 변화' 단원의 내용을 10차시를 선정하여 연구집단의 학생들은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을, 비교집단의 학생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전통적 교육방법을 적용한 수업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쳤다. 둘째,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교육플랫폼을 활용한 단계별 메이커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향상된 영역별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과별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된 수업이 관련 교과 수업의 즐거움으로 이어지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메이커 역량 모델 개발 및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의 메이커 교육 방안 탐색 (Developing Maker Competency Model and Exploring Maker Education Plan in the Fiel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 윤지현;김경;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9-665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의 본질 및 속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중요사건기법 분석과 행동사건면접 분석을 통해 메이커들이 지니고 있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메이커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6개의 역량군과 23개의 하위 역량을 추출할 수 있었다. 즉, '분석적 사고', '직관적 사고', '시각적 사고', '경험적 사고'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통합적 사고 역량군, '공유', '의사소통', '갈등관리', '주도성'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협업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영역에 대한 관심', '도전 의식', '실패 관리', '메이킹 과정의 즐거움'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메이킹 마인드 역량군, '인류애', '사용자 지향'의 2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간중심 역량군, '관찰', '일상 속 불편함의 인식'의 2개 역량으로 구성된 문제 발견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작 도구에 대한 이해', '전기에 대한 이해',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 '계획수립', '손 지식', '정보 탐색', '직접적인 실행'의 7개 역량으로 구성된 메이킹 수행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디자인사고방법 활용 메이커교육이 대학생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Design Thinking Process and Maker Education on University Students' Start-Up Activities)

  • 김태완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6호
    • /
    • pp.177-196
    • /
    • 2021
  • 4차 산업혁명시대 신기술들은 현대 사회와 경제에 많은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그 중 산업과 일자리의 변화는 미래 인재들에게 새로운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요구에 대한 교육적 대안으로 메이커 교육과 디자인사고 방법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대학교육에서도 이러한 교육의 적극적 연구와 운영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창의 교육 철학이자 환경으로서의 메이커 교육·환경과 혁신 교육 방법론으로서의 디자인 사고 방법의 특성 분석과 국내 대학생 역량과의 영향관계 파악을 토대로, 두 영역의 특징과 요소들을 상호 보완적으로 접목한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미래 산업의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학생 미래 역량 강화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 사고 방법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조사하여 그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사고 방법을 통하여 개발되는 학습자의 개인적, 사회적, 산업적 차원의 역량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교육을 통하여 개발되는 학습자의 역량과 대학생의 창업 역량 간에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 사고 방법을 접목한 교육의 방향과 개념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 과정에서 메이커 교육·환경과 디자인 사고 방법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의 인지적, 상호적, 기술적 역량 개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역량들은 대학생의 개인적, 사회적, 산업적 차원의 창업 역량 및 그 하위 요소들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대학생들의 창업 활동 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사고 방법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환경은 각각의 교육적 특성들과 효과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하여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개발을 통한 미래 인재 역량 개발과 창업 역량 개발을 위한 대학 교육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자인 사고 방법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환경의 설계 방향과 개념 모델은 대학생의 창의혁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관한 다양한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상현실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설계원리 개발 및 적용 : 시뮬레이션 앱 구현을 중심으로 (Developing and Applying Design Principles for Maker Programs Using Virtual Reality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Application)

  • 박태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61-175
    • /
    • 2020
  •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velop the design principles for maker programs using virtual reality and apply them in developing a simulation mobile application. First,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levant studies and cases eight design principles with four components were derived. Then, these initial design components and principles were revised and improved in accordance with evaluations of an expert panel composed of three professors/researchers, two teachers, and two IT industrial experts. Based on the revised design principles, a VR simulation app for maker education was developed and evaluated on whether the principles were properly applied to the app development by the expert panel. The finalized eight design principles, as a research outcome, can contribute to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replace the actual making experience even in educational fields where it is difficult to build maker spaces or provide materials and equipment. In the near future, empirical studies are expected to develop customized maker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levels, and needs of students and verify their educational effectiveness.

해외수출을 위한 주요 요인들과 중소기업의 해외수출 가능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Related to the Main Factors for Export and SME's Export Possibility)

  • 정호진;임용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1호
    • /
    • pp.118-127
    • /
    • 2017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search how the main factors for the export of SMEs affect SME's Export possibility in structural method. 62 SMEs in Busan Reg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path analysis were used with Spss18 and Amos 5v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factors and SME's Export possibility(SEP). The main factors as variances are "Manpower Needs(MN)", "Technology Innovation Needs(TIN)", "Education Needs for Export(ENE)" and "Intention of Decision-Maker(IDM)". The result indicated that ENE and TIN with IDM could structurally affect SEP through path analysis and implies that the main factors have to be considered with the intention of decision-maker as CEO for the successful export of SMEs.

VR 기반 메이커 교육용 모바일 앱 개선을 위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Usability Testing Instrument to Improve the VR-based Mobile Application for Maker Education)

  • 박태정;차현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7-143
    • /
    • 2022
  • In this study, a usability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for "ICANDUINO", a VR-based mobile application for maker educ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a heuristic survey method for experts. The usability evaluation tool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validated by two experts. It consisted of seven domains (effectiveness, efficiency, satisfaction, learnability, memorability, error, and cognitive load) and twenty-five sub-items.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conducted for six experts, it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he domain of efficiency and the lowest score in the domain of error. The improvements of ICANDUINO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qualitative opinions of experts in each of the four stages (training, coding, tinkering, and testing) of 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when evaluating the usability of a mobile app for education.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Maker Education Program for Entrepreneurship)

  • 장지은;김세영;윤성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55-64
    • /
    • 2019
  •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창조적 혁신을 이끌어내기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 방법론으로 제안된 메이커교육 설계 모형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 주제군과 수준에 따라 총 2종의 프로그램과 보조 자료를 개발하였다. 최종 산출물은 학생용 교재, 교사용 가이드북, 수업용 PPT, 팀 활동용 워크시트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중학생 14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워크숍을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3인으로부터 감수를 받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 완료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메이커교육 실천에 요구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써 현장에서의 기업가정신 교육 착근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가정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소비생활 개선'을 주제로 한 체인지메이커 교육을 중심으로 (Developing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ing on Changemaker Education with the Theme of 'Improving Consumer Life')

  • 김남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279-29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ome economics educational programs on the theme of 'improving consumer lif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a program to enhance the changemaker mindset for responsi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among the 17 goal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e program was developed 8 that to make solar cookers, make household goods from recycled materials, change maker-practice green life, eco-friendly journal 1, plastic warnings, design alternatives for disposable products, change maker-efforts and eco-friendly journal 2. The developed program was validated 3 times by a group of experts and students. This program ha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Home Economics Education(HEE) program under the theme of 'Improving consumer lif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carried out at the stage of change-maker education with project-based process. It can improve students' collaboration skills, self-directed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Second, eight programs can increas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learners are interested in social issues. This program can raise learners who play an active role in solving social problems by increasing their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class, free from the form of passive classes. Third, the HEE programs under the theme of 'Improving consumer lif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lives and encourage them to practice in their own lives. Fourth, since the program is well-suited to the present time and includes content eleme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can induce changes in learners' percep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시멘트와 거푸집을 이용한 중학교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융합 역량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a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Cement and Mold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Effect on Convergence Ability for Creativity)

  • 김성수;유현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29-138
    • /
    • 2019
  • 최근까지 메이커 교육의 흐름은 3D 스캐너, 3D 프린터, 피지컬 컴퓨팅 도구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메이커 프로그램 연구들이 주류를 이룬 반면,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즉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하여 직접 손으로 만들 수 있는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다소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기술 교과를 학습하는 학생들을 위해 시멘트와 거푸집을 이용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창의융합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준비 단계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학습단원과 내용요소를 추출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교수-학습 자료 타당도 및 창의융합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선정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자료와 창의융합 역량 평가도구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평가단계에서는 창의융합 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에게 창의융합 역량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소통과 협업능력, 타 분야에 대한 지식, 인본주의 요인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