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T reduction assay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7초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n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K562 Cells by an Active Compound from the Dithio-Carbamate Family

  • Khoshtabiat, Laya;Mahdavi, Majid;Dehghan, Gholamreza;Rashidi, Mohammad Rez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267-4273
    • /
    • 2016
  •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dithio-carbamates are potent apoptosis and anti-apoptosis inducing agents in various cancer cells. Here, the anti-proliferative and apoptosis inducing effects of a new derivative (2-NDC) from the dithio-carbamate family was examined in human leukemia K562 cells. We use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to measure viability and cell growth inhibition. The 2-NDC showed effects on viability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inhibiting proliferation at concentrations of $10-30{\mu}M$ after 24-48 hours of treatment and increasing values after 72 hours at $40-120{\mu}M$. The cytotoxic effect of the compound was calculated with an $IC_{50}$ of $30{\mu}M$ after 24-hour. Apoptosis induction was confirmed by acridine orange-ethidium bromide (AO/EtBr) staining, DNA fragmentation assay, flow cytometric assessment and also caspase-3 activation assay. Furthermore, enzymes level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involved in oxidative stress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insignificant increase of intracellular ROS levels for 24 hours and reduction after 48-72 hours. In addition to reduction of intracellular thiol, caspase-3 like activity was also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cells treated with 2-NDC. Thus 2-NDC can be considered as a good candidate for further pharmaceutical evaluations.

β-Gluconsan Calcium이 구강암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Anti-Cancer Effect of β-Gluconsan Calcium on Oral Cancer Cell)

  • 김지혜;정윤숙;김혜영;이영균;김재영;최연희;송근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94-799
    • /
    • 2015
  • 이번 연구에서는 천연추출물인 ${\beta}$-gluconsan calcium이 구강암 세포의 증식과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beta}$-gluconsan calcium 0.5 mg/ml 처리군에서 세포수의 감소와 형태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0.75, 1 mg/ml에서는 거의 모든 세포가 사멸하였다. ${\beta}$-gluconsan calcium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YD-10B 세포수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MTT 분석 결과, ${\beta}$-gluconsan calcium 처리한 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모두 세포 활성이 저하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polycan과 calcium gluconate 복합제인 ${\beta}$-gluconsan calcium은 구강암 세포의 성장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암세포주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Cytotoxic Effect of Extracts from Styela clava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 정은실;김주영;박은주;박해룡;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23-827
    • /
    • 2006
  • 신선한 미더덕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들어 water, MeOH, EtOH 및 acetone의 용매로 추출하여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대장암 세포주 HT-29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는 ethanol 추출물이 $500\;{\mu}g/mL$ 농도에서 45.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대조구와 다른 추출물에 비교하여 크게 세포의 응축과 세포수의 감소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용매별 추출물 중 가장 강력한 항암활성을 가지는 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정제수율을 높여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n-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및 water 순으로 극성을 높여 분획한 결과 diethyl ether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iethyl ether 분획물을 인간대장암 유래의 세포주 SW620, 자궁경부암 세포 HeLa 및 유방암 세포 MCF-7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암활성이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농도 $500\;{\mu}g/mL$ 처리 시 모두 10%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지금까지는 한약재를 비롯한 농산물 유래의 추출물이 항암효과를 보이는 연구가 보고된바 있으나 해양생물 유래의 추출물에서 항암효과를 보이는 결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결과는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함에 있어서 해양생물이 중요한 천연자원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겨자무 아임계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rseradish Subcritical Water Extracts)

  • 김인재;은수빈;김원희;박선빈;구희빈;김교남;이승철;최영임;박상근;박해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36-244
    • /
    • 2024
  • Melanin은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에서 발견되는 자연 색소로, 피부와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게 관여한다. Melanogenesis는 일반적으로 피부를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반응으로 melanocyte에서 수행한다. Tyrosinase는 기질인 tyrosine을 melanin으로 생합성 하는데 관여한다. 그러나 melanin의 과다 생성은 melasma, blotch, hyperpigmentation, 그리고 피부암과 같은 피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Kojic acid 및 arbutin과 같은 미백 물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부작용으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의 새로운 미백재료로서 잠재력을 연구하기 위해 겨자무(horseradish)를 선택하였다. 더 나아가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 아임계수 추출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아임계수 200℃ 추출물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총 페놀 함량, tyrosinase 저해능 그리고 B16-F10 melanoma 세포주의 melanin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melanoma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기 위해 MTT reduction assay 및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겨자무 methanol 추출물 및 아임계수 200℃에서는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화장품의 천연 미백 기능성소재로서 가능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Brine shrimp lethality and cytotoxicity assay of Araucaria bidwillii Hook in human carcinoma cell lines

  • Ahamed, KFH Nazeer;Kumar, V;Manikandan, L;Wahile, Atul M;Mukherjee, Kakali;Saha, BP;Mukherjee, Pulok K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1호
    • /
    • pp.21-28
    • /
    • 2005
  • The leaf extracts of Araucaria bidwillii Hook. (Araucariaceae) were evaluated for their cytotoxic effect in various human cancer cell lines. Preliminary investigation by brine shrimp lethality assay indicated that $LC_{50}$ value of various successive extracts were found to be less than $1000\;{\mu}g/ml$, where the ethyl acetate extract showed maximum activity of less than $100\;{\mu}g/ml$. Further cytotoxic evaluation of various leaf extracts of Araucaria bidwilli Hook was carried out in four different human cancer cell lines-acute myeloblastic leukemia (HL-60), chronic myelogenic leukemia (K-562), breast adenocarcinoma (MCF-7) and cervical epithelial carcinoma (HeLa). Cytotoxicity was assessed by trypan blue dye exclusion method and 3-(4,5-dimethyl thiazole-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reduction assay.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the ethyl acetate and methanol extract of Araucaria bidwilli Hook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leukemic cell lines and was less effective in MCF-7 and HeLa. The $IC_{50}$ value of the ethyl acetate extract in leukemic cell lines was found to be $28.18\;and\;34.64\;{\mu}g/ml$ and methanol extract was found to be $33.11\;&\;39.81\;{\mu}g/ml$. It can be concluded that various extract from the leaves of Araucaria bidwillii Hook. posses cytotoxic activity tested in brine shrimps and various human carcinoma cell lines.

Antioxidant Effects of Gamma-oryzanol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 Klongpityapong, Papavadee;Supabphol, Roongtawan;Supabphol, Athiko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421-5425
    • /
    • 2013
  • Background: To assess the antioxidant effects of gamma-oryzanol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Cytotoxic activity of gamma-oryzanol on human DU145 and PC3 prostate cancer cells was determined by proliferation assay using 3-(4, 5-dimethylthiazol, 2-yl)-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reagent. mRNA levels of genes involved in the intracellular antioxidant system,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glutathione reductase (GSR) were determin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Cancer cell lysates were used to measure lipid peroxidation using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Glutathione contents of the cell lysates were estimated by the reaction between sulfhydryl group of 5, 5'-dithio (bis) nitrobenzoic acid (DTNB) to produce a yellow-color of 5-thio-2-nitrobenzoic acid using colorimetric assay. Catalase activity was also analysed by examining peroxidative function. Protein concentration was estimated by Bradford's assay. Results: All concentrations of gamma-oryzanol, 0.1-2.0mg/ml, significantly inhibited cell growth in a dose- and time-dependent fashion in both prostate cancer cell lines, DU145 and PC3. Gene expression of catalase in DU145 and PC3 exposed to gamma-orizanol at 0.5mg/ml for 14 days was down regulated, while mRNA of GPX was also down regulated in PC3. The MDA and glutathione levels including catalase activity in the cell lysates of DU145 and PC3 treated with gamma-oryzanol 0.1 and 0.5mg/ml were generally de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ed effects of gamma-oryzanol via the down-regulation of antioxidant genes, catalase and GPX, not cytotoxic roles. This might be interesting for adjuvant chemotherapy to make prostate cancer cells more sensitive to free radicals. It might be useful for the reduction of cytotoxic agents and cancer chemoprevention.

갈근(葛根) 추출물이 cisplatin에 의해 유도된 rat mesangial cell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erariae Radix extract on Cisplatin-Induced Apoptosis of Rat Mesangial Cells)

  • 홍재의;신조영;주성민;전병훈;이시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0-227
    • /
    • 2010
  • Puerariae radix (PR) is a popular natural herb and a traditional food in Asia, which has antithrombotic and anti-allergic properties and stimulates estrogenic activity. One of the major side effects of cisplatin is nephrotoxicity, leading to acute renal failure. Recent study has suggested a role of ROS and p53 in renal cell injury by cisplatin. We studied that protective effects of PR on cisplatin-induced apoptosis in rat mesangial cell. Rat mesangial cell was preincubated with PR (50, 100, 150 and 200 ${\mu}g/m{\ell}$) for 12 hr and then treated with 30 ${\mu}M$ cisplatin for 24 hr. Protective effect of PR on cisplatin-induced apoptosis in ECV304 cells was determined using MTT assay, FDA-PI staining, flow cytometric analysis, caspase-3 activity assay, ROS assay and western blot. Our results showed that PR inhibited in cisplatin-induced apoptosis and ROS production in ECV304 cells. Moreover, PR reduced ERK, p38 and JNK activation that increased in cisplatin-treated rat mesangial cell. Furthermore, activation of p53 by cisplatin in rat mesangial cell was inhibited by PR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tective effect of PR on cisplatin-induced apoptosis in rat mesangial cell may be associated with reduction of ERK, p38, JNK, p53 activation.

Rosuvastatin이 유도하는 ROS가 전립선암 PC-3 세포주의 세포사멸 유도에 미치는 영향 (Rosuvastatin Induces ROS-mediated Apoptosis in Human Prostate Cancer PC-3 Cells)

  • 최현덕;백종진;김상헌;유선녕;천성학;김영욱;남효원;김광연;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8-405
    • /
    • 2016
  •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환원효소의 억제제로 알려진 statin은 고지혈증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또한 다양한 암에서 항암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reactive oxygen species (ROS)가 세포사멸 신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지만, rosuvastatin에 의한 ROS 생성의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인간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를 이용하여 rosuvastatin에 의한 세포사멸 경로를 확인하였다. 세포독성, 세포사멸과 ROS의 생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MTT assay, annexin V/PI 염색과 DCFH-DA염색을 통해 flow cytometry에 의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rosuvastatin은 농도와 시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 감소와 세포형태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해 세포주기와 apoptosis를 확인하였고 Western blotting assay를 통하여 PARP와 procaspase-3가 감소되는 것을 통해 apoptosis를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rosuvastatin은 농도 의존적으로 ROS 생산을 증가하였고, ROS 생성 저해제인 N-acetylcysteine (NAC) 처리를 통해 ROS와 apoptosis가 회복되었다. 따라서 rosuvastatin이 ROS 생성을 통해 apoptosis를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인간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항암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씀바귀 추출물이 인체유방암세포의 활성 산소 및 Bcl-2 Family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xeris dentata Extract on Radical Oxygen Species and Bcl-2 Family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 김희정;강금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39-747
    • /
    • 2014
  • 본 연구는 인체유방암세포인 MDA-MB-231세포를 이용하여 IDE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IDE를 각각 0, 20, 30 및 $40{\mu}g/mL$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증식 억제, 막투과성, 세포내 ROS 분석 및 세포사멸 단계의 특성을 FACS 분석하고, RT-PCR에 의한 사멸관련 유전자 중 Bax/Bcl-2 ratio 분석을 통하여 IDE의 항암작용의 조절작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MTT의 세포 증식 억제는 첨가된 IDE의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와 동시에, trypan blue에 대한 염색성과 DCF-DA 형광 분석의 결과는 각각, 막투과성과 세포내 ROS 농도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p<0.05). 이와 같은 IDE 농도에 따른 세포화학적 변화 중에서 세포의 초기사멸에서 후기사멸 과정으로 급격한 사멸단계의 변화가 특히, IDE 농도 30과 $40{\mu}g/mL$에서 일어났다. RT-PCR 분석에 의한 Bax/Bcl-2 ratio도 IDE 농도 30과 $40{\mu}g/mL$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p<0.05). 이와 같은 세포화학적 결과와 RT-PCR 결과를 종합해 볼 때, IDE의 유방암세포(MDA-MB-231)에 대한 세포사멸작용은 막 투과성의 증가와 ROS 증가를 통하여 세포에 점진적인 손상을 일으키며, 이는 세포의 생화학적 변화도 초래하여 세포 증식 억제를 감소시켜, 결국 세포내의 사멸관련 유전자 지표인 Bax/Bcl-2 ratio를 크게 변화시키는 일련의 세포사멸을 점진적으로 유도시켜 항유방암의 효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Staurosporine에 의해 분화된 망막신경절세포에서 산화 스트레스 유도 세포사멸에 대한 차조기 추출물의 보호 효능 (Protective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Extract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ell Death in a Staurosporine-Differentiated Retinal Ganglion Cell Line)

  • 이보경;최리라;이지인;이두이;장선영;김소희;정이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1-1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한 시신경 세포사멸에 대한 차조기 물 추출물(PFE)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Staurosporine으로 분화된 ssdRGC-5 세포에 buthionine과 glutamate(B/G)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으며, LDH release assay, MTT reduction assay를 통하여 PFE가 농도 의존적으로 B/G에 의한 세포사멸을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세포사멸의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caspase 활성, 세포 내 ROS 생성량, 세포고사 관련 단백질 발현을 관찰한 결과, B/G에 의해 증가한 ROS 생성량, caspase 활성을 PFE가 억제하였고, 세포질로 방출된 cytochrome c와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한 Bax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차조기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된 시신경 세포사멸 과정에서 항산화 효과와 미토콘드리아성 세포사멸을 완화함으로써 세포 보호 작용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