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L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33초

균열정지 인성치결정을 위한 원형시편의 제안 (A Proposal of Round Specimen for the Determination of Crack Arrest Toughness)

  • 이억섭;김상철;송정일;이규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472-1478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Rectangular Computer Tension(CT) 시편을 수정하여 만든 표준 시편인 MRL-CLWL시편(material research laboratorycrack line wedge loaded specimen )으로 균열정지 인성치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CT시편과 같은 효과를 갖는 Newman등 이 제안한 round compact tension(RCT)시편을 수정한 Round-CLWL 시편으로 균열정지인 성치를 결정하여 상호 비교평가하였다. Round-CLWL 시편은 시편제작시 round-bar를 절단하여 시편으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가공성이 좋으며 따라서 가공비가 적게 든다. 특히 균열 위치 및 방향을 임의로 선택하여 가공하기가 용이하므로 방향성이 있는 소 재의 균열정지 인성치를 결정하는 데 매우 편리한 시편이라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 는 Round-CLWL 시편으로 $K_{1a}$ 값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형상계수를 결정하였으며, Polymethylmethacrylate(PMMA)를 사용하여 Round-CLWL 시편 채택의 타당성 확인을 위 한 MRL-CLWL과 Round-CLWL 시편 채택의 타당성 확인을 위한 MRL-CLWL과 Round-CLWL시 편의 $K_{1a}$결정 실험을 하였다.하였다.

Applying Novel Mean Residual Life Confidence Intervals

  • Guess, F.M.;Steele, J.C.;Young, T.M.;Leon, R.V.
    • International Journal of Reliability and Applications
    • /
    • 제7권2호
    • /
    • pp.177-186
    • /
    • 2006
  • Typical confidence intervals for a mean or mean residual life (MRL) are centered about the mean or mean residual life. We discuss novel confidence intervals that produce statements like "we are 95% confident that the MRL function, e(t), is greater than a prespecified $\mu_o$ for all t in the interval [0, $\hat{\theta})$)" where $\hat{\theta}$ is determined from the sample data, confidence level, and $\mu_o$. Also, we can have statements like 'we are 95% confident that the MRL of population 1, namely $e_1$(t), is greater than the MRL of population 2, $e_2$(t), for all t in the interval [0, $\hat{\theta}$)" where $\hat{\theta}$ is determined from the sample data and confidence level. We illustrate these one and two sample confidence intervals on internal bonds (tensile strengths) for an important modem engineered wood product, called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used internationally.

  • PDF

루푸스 동물 모델에서 인삼부자탕(人蔘附子湯)이 미치는 영향 (Study of Insam-Buja-Tang (IBT) on MRL/MpJ-Faslpr lupus-prone mice)

  • 김경신;문성식;김병수;강정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3
    • /
    • 2011
  • Systemic Lupus Erythematosus(SLE) is an autoimmune disease invading the skin, joint, kidney, intestinal membrane, neurosystem and other organs. SLE is an autoimmune disease characterized by immune dysregulation resulting in the production of antinuclear antibodies(ANA), generation of circulating immune complexes, and activation of the complement system. In Korean medicine, lupus can be classified as acute arthritis, reddish butterfly erythema, asthenic disease, edema and so on. The cause and procedure of the diseases are flourishing noxious heat, excessive fire due to deficiency of yin, blood stasis due to stagnation of qi, internal movement of the liver-wind, congenital deficiency, exhausted vital-qi, which are treated by clearing away heat and cooling the blood, nourshing yin and extinguishing fire, treating flatulence and activating blood circulation, nourishing the blood to expel wind, invigorating the liver and kidney, invigorating qi and replenishing the blood. To experimentally examine the influence of Insam-Buja-Tang (Ginseng & Aconiti Extract, IBT) on the outbreak and development of lupus, lupus induce MRL/MpJ-Faslpr lupus-prone mice model was used. As IBT was orally administrated to a lupus model mouse, various tests such as the weight, urine protein, renal function, Lymph cell test of the spleen, Cytokine expression,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kideny were performed to see the influence on the kidney and whether it work effectively on the immune func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IBT on MRL/MpJ-Faslpr lupus-prone mice model. The effect of IBT on MRL/MpJ-Faslpr lupus-prone mice that can have autoimmune disease similar to SLE in human was evaluated after IBT per oral in the present study.

생산단계 참나물의 Carbendazim 잔류특성에 따른 노출평가 및 농약 잔류허용기준 개선 (Residues and Exposure Assessment of Carbendazim in Chamnamul on Field Trials for Revising Maximum Residue Limit in Korea)

  • 장희라;곽혜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53-157
    • /
    • 2022
  • BACKGROUND: The residue dissipation pattern of pesticides for agricultural products during the pre-harvest period after the final application is important to prevent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violations in domestic and export markets. The MRL violations of carbendazim are observed more often in chamnamul by pesticide residue management surveys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residue level at the pre-harvest interval (PHI) and the residue dissipation constant from the critical good agricultural practice (cGAP) trials could be estimated to meet the MRL and pose a health risk to consumers. METHODS AND RESULTS: Chamnamuls were harvested at 0, 1, 3, 5, 7, 10, and 14 days after application of carbendazim in accordance with critical GAP. The residue analysis in chamnanul was performed by HPLC-DAD with the C18 column. The limit of quantitation of carbendazim was 0.04 mg/kg, and the recoveries were 74.4 - 95.8% at the two spiked levels (LOQ and 10LOQ) of carbendazim. The dissipation rates in chamnamul were calculated from the residues at the sampling days by statistical method at a 95% confidence level. The biological half-lives of residual carbendazim in the field trials 1 and 2 were 4.9 and 4.4 days, respectively. CONCLUSION(S): In this dissipation study, the residue concentrations at the recommended PHI were higher than the established MRL in Korea. Therefore, the MRL is proposed based on the residue data sets from the trials conducted at the same cGAP and the dietary exposure assessment.

애호박 중 Chlorpyrifos의 잔류특성 및 수확전 잔류량 예측 (Residual Characteristic of Chlorpyrifos in Squash and Estimation of Its Residues Before Harvest)

  • 박효경;노현호;이광헌;이재윤;박영순;강경원;이은영;윤상순;진충우;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63-470
    • /
    • 2011
  • 본 연구는 애호박 중 chlorpyrifos의 수확 전 최종 농약 살포일로부터 수확 일까지 농약의 잔류량 감소 추이를 파악하여 생산단계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 특성 조사, 수확전 수확 예정일의 잔류량 예측 및 생산단계 농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Chlorpyrifos의 검출한계는 0.005 mg/kg이었고, 검출한계의 10배와 50배 수준으로 농약을 처리하여 수행한 회수율은 95.2-102.7%로 양호하였다. 최종 약제 살포 당일 기준량 및 배량 처리구의 잔류량은 MRL인 0.1 mg/kg을 초과하였으나 수확 예정일인 10일차의 기준량 처리구는 MRL 이하였으며, 배량 처리구의 경우 MRL을 초과하였다. 애호박 중 chlorpyrifos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기준량과 배량 처리구 각각 2.5일과 2.9일이었다. 최종 약제 살포 후 애호박 중 chlorpyrifos의 잔류량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이는 농약의 분해와 더불어 애호박이 증체함에 따라 잔류농약의 농도가 희석된 결과라고 판단되었다. 잔류시험 후 시험농약의 잔류량을 바탕으로 작성한 회귀곡선을 이용하여 수확전 잔류량을 예측한 결과 수확 당일 기준량 처리구에서 MRL 이하였으나 배량 처리구에서는 수확 예정일에 MRL을 초과하였다. 또한 애호박 중 chlorpyrifos의 잔류량으로 산출한 일일섭취허용량(ADI) 대비 일일섭취추정량(EDI)은 배량 처리구에서 282%로 높았으나 수확 예정일에는 18%로 감소하였다.

단감원의 방제 체계에 따른 검역대상 해충 발생 양상 (An aspect of quarantine insect pest occurrence with different management system in sweet persimmon orchard)

  • 이동운;박재완;박정규;추호렬;김영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28-237
    • /
    • 2003
  • 우리 나라 단감의 미국 수출을 위하여 남부지방 단감 주산지에서 몇 가지 방제체계에 따른 미국 의 검역대상 해충 발생 및 수확과에서 해충류의 잔존 과수를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조사하였다. 적용 방제 체계는 농가관행 방제구, 미국의 이과(梨果)류 적용 가능 농약 위주의 MRL형 방제구와 국내 단감 고시 농약 위주의 방제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2001년에는 MRL형 방제구와 내수형 방제구는 각 7회와 6회의 농약 살포를 하였으며 진주시 금산면의 관행 방제구는 6회, 김해시 진영읍의 관행방제구는 9 회의 농약을 살포하였다. 2002년에는 MRL형 방제구와 내수형 방제구를 진주시 금산면과 미천변에 각각 2개씩 설치하였는데 금산변에서는 8회 미천변에서는 7회의 농약 살포를 하였고, 김해시 진영읍의 관행 방제구에서는 9회의 농약을 살포하였다. 방제체계에 관계없이 미국측 검역대상 해충은 복숭아명나방 만이 발생하였다. 2001년 조사에서는 4개 과원에서 단감의 생육기에 복숭아명나방의 피해과가 확인되었으나, 수확기인 10월 중순에는 피해과가 발생하지 않았고, 수확과에서도 복숭아명나방은 발견되지 않았다. 2002년 조사에서는 하나의 과원에서 한 개의 피해과 만이 발견되어 단감원에서 복숭아명나방은 문제시되지 않았다. 수확과에서는 균식성 응애와 톡토기가 감꼭지 아래에서 발견되었는데, 2001년 조사에서는 정촌의 MRL형 적용 방제지에서 300과의 조사과 중 수상과에 136개, 1차선과과(내수용)에서 72개, 2차선과과(수출용)에서 63개의 응애 잔존과가 발견되어 높은 발생수를 보였다. 그러나 9월의 마지막 농약 살포시기에 살비제를 추가 한 2002년에는 미천의 MRL형 방제 적용지 2차 선과과에서 5개, 금산의 수출형 방제 적용지 2차 선과과에서 3개의 응애 잔존과가 확인되어 응애류 발생과수를 줄일 수 있었다. 노린재 피해과수는 2002년 조사에서 내수형 방제력 적용지 단감원이 노린재 대상 약재를 살포하지 않은 MRL형 방제력 적용지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Using Mean Residual Life Functions for Unique Insights into Strengths of Materials Data

  • Guess Frank M.;Zhang Xin;Young Timothy M.;Leon Ramon V.
    • International Journal of Reliability and Applications
    • /
    • 제6권2호
    • /
    • pp.79-85
    • /
    • 2005
  • We show how comparative mean residual life functions (MRL) can be used to give unique insights into strengths of materials data. Recall that Weibull's original reliability function was developed studying and fitting strengths for various materials. This creative comparing of MRL functions approach can be used for regular life data or any time to response data. We apply graphical MRL's to real data from tests of tensile strength of high quality engineered wood.

  • PDF

임의 절단된 자료의 평균잔여수명 검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st of Mean Residual Life with Random Censored Sample)

  • 김재주;이경원;나명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21
    • /
    • 1997
  • The mean residual life(MRL) function gives the expected remaining life of a item at age t. In particular F is said to be an increasing intially then decreasing MRL(IDMRL) distribution if there exists a turing point $t^*\ge0$ such that m(s)$\le$ m(t) for 0$$\le s$\le$ t $t^*$, m(s)$\ge$ m(t) for $t^*\le$ s$\le$ t. If the preceding inequality is reversed, F is said to be a decreasing initially then increasing MRL(DIMRL) distribution. Hawkins, et al.(1992) proposed test of H0 : F is exponential versus$H_1$: F is IDMRL, and $H_0$ versus $H_1$' : F is DIMRL when turning point is unknown. Their test is based on a complete random sample $X_1$, …, $X_n$ from F. In this paper, we generalized Hawkins-Kochar-Loader test to random censored data.

  • PDF

Estimator of Mean Residual Life for Some Parametric Families Using Censored Data

  • Cho, Byung Yup;Choi, Kuey Chung;Choi, Sook Hee;Son, Young Nam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0-90
    • /
    • 1995
  • In this paper we consider a new estimator of mean residual life(MRL) under the random censorship model, based on the partial moment of the distribution. The parameters of a partial moment are estimated by its maximum likelihood estimators when the underlying distribution is known. Though the new estimator is not a consistent estimator of the MRL, it is shown to have smaller mean squared error than the well known empirical MRL estimator for a parametric family. We also compare the proposed estimator with some other estimators in terms of MSE for exponential and lognormal distributions using censored data.

  • PDF

모수족에서 평균 잔여수명의 추정량 (Estimator of the Mean Residual Life for Some Parametric Families)

  • Kuey Chung Choi;Kyung Hyun Nam
    • 응용통계연구
    • /
    • 제7권2호
    • /
    • pp.89-100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평균 잔여수명의 추정에 있어서 Weibull과 gamma 분포의 평균 잔여수명을 구하는데 적분이 쉽게 되지 않으므로 부분적률에 근거한 새로운 추정량을 제시하였으며, 비록 이 추정량은 일치추정량이 아니지만 소표본인 경우에서 일치추정량인 기존의 경험적 추정량보다 평균제곱오차가 작다는 것을 몬테칼로 기법을 써서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