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OC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4초

MOOC 기반 이러닝 서비스의 질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Management of MOOC-based e-Learning Service)

  • 박정호;최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9-221
    • /
    • 2017
  • 최근 오픈 콘텐츠의 성격을 가지는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가 여러 대학에서 서비스되면서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와 함께 MOOC 기반 이러닝 서비스도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지금까지 MOOC 기반 이러닝 서비스의 질 관리는 MOOC의 유형에 관계없이 MOOC가 제공하는 일반적인 요소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MOOC 유형별로 이러닝 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통해 MOOC 기반 이러닝 서비스의 질 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교육적 문제점과 개선책, 그리고 대학과 융합 방안 (Educational Problems with MOOC, Suggestions, and Convergence of MOOC and Universities)

  • 양단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21-129
    • /
    • 2016
  • 본 연구는 미국에서 실시된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와 온라인 강좌를 대상으로 한 주요 설문조사 결과들을 토대로 MOOC의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IT 기술 상태에서 MOOC를 어떻게 개선하여 대학 교육과 융합시킬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MOOC의 massiveness 문제는 분반 수업으로, openness 문제는 Level 테스트 후 수준별 강좌 제공으로, onlineness 문제는 Flipped Learning으로 보완하여 개선시킨다. 둘째, MOOC를 기존 대학교육과 융합시킬 때 무학점용 강좌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된 MOOC 방식을 사용한다. 학점용 강좌는 학과 단위로 온라인 공통강좌를 기본으로 Flipped Learning 방식으로 운영하되, 가능하면 온라인 심화강좌와 보충강좌를 더불어 제공한다. 셋째, MOOC는 수준별 강좌로 제작될수록, 교육중심대학 위주로 제작될수록 그 활용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대학에서의 Flipped-MOOC 모형 개발 (A Study on Developing Flipped-MOOC Model in University)

  • 박은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81-28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트러닝과 MOOC의 특징과 원리를 분석하고 플립트러닝 수업 실행 결과 학습자들의 인식을 분석한 후, 이를 기초로 대학 수업에 적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Flipped-MOOC 모형을 고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MOOC 및 플립트러닝의 현황과 운영 및 수업형태 등을 분석하였다. 둘째, K대학에서 한 학기동안 플립트러닝 수업을 운영한 후, 수업의 강점과 약점, 대안점 및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MOOC를 활용하는 플립트러닝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Flipped-MOOC 모형을 고안하고 실제 수업에서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교수전략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과제를 수행한 결과, Flipped-MOOC 수업은 학교차원에서의 교육방식의 변화와 개선에 기여할 뿐 아니라 교육의 질적 강화로 인해 평생교육 및 대학 교육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MOOC를 활용한 플립트러닝 수업의 활성화와 운영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실제적인 역할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자기결정성이론과 학습몰입이론을 적용한 MOOC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한·중 문화차이 분석 (A Study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MOOC Applying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Learning Flow Theory :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lture)

  • 김추향;지용득;김광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1-134
    • /
    • 2018
  •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is online education that anyone can register for free and has internet access. MOOC is also called Education Revolution and is spreading rapidly all over the world. Although recent MOOC high-quality classes may enhance the value of MOOC, MOOC learning still needs much research. Since MOOC has low learning completion rate and continuous use rate, various studies on the reasons that learners give up at the beginning of learning have not been tried yet This research is studied for the continuous intention of use of MOOC applying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learning flow theory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particular, the research are conducted for cultural difference in continuous usage of MOOC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elf-determination theory applying perceived autonomy, perceived competence, and perceived relatedness and learning flow is useful to explain continuous use of MOOC.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Hofstede theory works well in explaining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in continuous usage of MOOC. The result shows that korean is more influenced by perceived external motivation like perceived usefulness and chinese is more influenced by internal motivation like learning flow in continuous use of MOOC.

K-MOOC 대학생 수강자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Percep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Learners on MOOCs)

  • 이정민;전정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11
    • /
    • 2019
  • 본 연구는 K-MOOC의 주 사용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K-MOOC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행하여 이들의 학습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K-MOOC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설계 및 실행 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이고 1년 이내에 K-MOOC 수강 경험이 있는 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온라인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지속사용의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객관식 문항과 수강 동기, K-MOOC에 대한 만족 사유와 불만족 사유, 향후 K-MOOC에 대한 기대사항을 묻는 주관식 문항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수강자들의 주요 수강 동기는 온라인 학습의 편리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편리함은 K-MOOC에 대한 만족 사유를 묻는 문항에서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불만족 사유로는 학습의지 저하와 상호작용 부족, K-MOOC의 시스템 문제가 지적되었다. 기대사항으로는 콘텐츠의 향상과 K-MOOC 시스템에 대한 보완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K-MOOC 대학생 학습자가 향후 지속적으로 K-MOOC를 사용하는 평생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K-MOOC 참여자의 학습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iveness Analysis of K-MOOC Learners)

  • 박혜진;권영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3-53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effect on K-MOOC. It was confirmed how the ease and interaction of K-MOOC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and ease of K-MOOC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ase and interaction of K-MOOC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Persistence. Third, the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of learners with prior course experience of K-MOOC learners were high,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urse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ffect of actual learning activities was verified for K-MOOC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K-MOOC activation plan and the case of using K-MOOC at each university.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근원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the Inherent Problems of MOOC)

  • 양단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293-299
    • /
    • 2015
  •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란 대단위로 누구나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 강좌이다. 이러한 MOOC가 기존 대학체계를 무너뜨리고, 교육의 새 지평을 열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그러나 MOOC는 기존의 고등교육기관을 위협할 것이라는 최초의 전망과는 다른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MOOC의 허와 실을 드러냄으로써 MOOC를 우리 고등교육의 실정에 맞게 제작하고 활용할 수 있는 논의의 시발점을 마련하고자 한다. MOOC는 기본적으로 온라인 교육이므로 기존 온라인 교육의 본질적인 문제점인 '상호작용, 감독 및 평가'의 문제를 그대로 계승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새로이 추가된 'Massive' 개념은 교육 현장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인 강좌당 학생 수 문제를 불러일으키며, 'Open' 개념은 MOOC가 불특정 다수를 염두에 둔 강좌이므로 맞춤형 교육에 역행된다. 결론적으로 MOOC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매우 탁월한 학습자들과 전통적인 온라인 고등교육기관에도 접근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 서비스로 자리매김 되고, 대학에서는 Flipped Learning의 수단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향후 MOOC에서는 이 점이 고려되어 강좌의 대상에 맞게 차별화되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온라인 대중공개강좌(MOOC)를 위한 도서관 지원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n Library Engagement and Models for Support of MOOC)

  • 손태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93-308
    • /
    • 2016
  • 전 세계 수많은 대학들이 오프라인 강의를 MOOC 형태로 제작하여 온라인에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의 움직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해외 대학도서관들은 자신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해 국외 문헌정보학 저널들에 게재된 MOOC 관련 논문들을 선정 분석하고 기존 연구의 한계와 도서관 분야의 MOOC 지원 서비스 항목들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 도서관 MOOC 지원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어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4년 동안의 해외 문헌정보학 저널에 게재된 연구 논문 348편 중 최종 34편을 관련 논문으로 선정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 관련 MOOC 연구(24편)와, 문헌정보학 교육 관련 MOOC 연구(10편)로 나누어 요약 정리하였으며, 주요 MOOC 지원 서비스는 크게 5개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첫 번째 MOOC 강의 디자인 단계의 저작권 처리 및 컨설팅, 콘텐츠 라이센스, 오픈 콘텐츠 홍보 및 안내 서비스와 두 번째 강의 제작 단계에서 강의 제작 및 편집 지원과 자체 사서 MOOC 콘텐츠 제작, 세 번째, 강의 운영 단계에서 강의 운영 자료 및 학습 안내 자료 제작과 수강생 지원 서비스, 네 번째로 강의 평가 단계의 강의 관련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강의 운영 평가 서비스가 있으며 다섯 번째로 강의 재사용 단계에서 강의 콘텐츠 메타데이터 작성 및 아카이브 구축이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도서관의 MOOC 지원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 추후 MOOC 관련 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였다.

MOOC 강의목차 구성에 관한 연구 (Contents composition of MOOC contents lecture)

  • 정우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28
    • /
    • 2017
  • MOOC 강좌개설을 위한 강의콘텐츠를 교내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강의편수와 수업시간의 배분을 살펴보았다. 순천대학교의 MOOC 강의목차와 일본 J-MOOC를 실행중인 대학들의 강의목차를 비교함으로써 MOOC 강좌목차 구성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 PDF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for Massive Open Online Courses)

  • 배예선;전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005-3012
    • /
    • 2014
  •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s) 열풍이 불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MOOC는 온라인상에서 누구나 수강할 수 있게 공개된 강의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도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와 각 대학을 중심으로 많은 강의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MOOC의 현황과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MOOC의 정의와 역사, 국내외 현황을 소개한다. 또한 개선안으로서 대학의 적극적인 참여와 캠퍼스 가치 창출, MOOC 기관의 수익모델 개발과 수료율 향상,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개발과 우수 강사 확보, 강의 번역 등의 과제와 함께 최종적으로는 MOOC가 제공하는 인증 시스템의 질 확보 문제 등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