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T.F.

검색결과 1,616건 처리시간 0.026초

Biodistribution and Genotoxicity of Transferrin-Conjugated Liposomes/DNA Complexes in Mice

  • Lee Sang Mi;Kim Jin-Seok;Oh Yu-Kyoung;Lee Yong-Bok;Sah Hongke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18-222
    • /
    • 2005
  • Transferrin-conjugated liposomes ($T_f$-liposomes) were made and formulated with pCMVluc DNA to form a lipoplex. Among the various formulations studied, the $T_f$-liposome: pCMVluc DNA complex at a ratio of 5: 1 (wt/wt) showed the highest transfection efficiency, which was twice that of $Lipofectin^{TM}$ on HeLa cells. The maxi-mum tolerated dose (MTD) of this lipoplex formulation from a single intravenous injection was over 10 mg/kg in healthy ICR mice. The RT-PCR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level of luciferase mRNA was detected in the lungs, followed by the liver, spleen, heart and kidneys, after an intravenous injection into mice. Two weeks after the injection, the levels of luciferase mRNA decreased gradually in the liver, spleen, heart, and kidney, but not in the lungs. The micro-array study showed that the cancer-related genes, including the bcl 6 gene, were highly up-regulated by the treatment with $T_f$-liposome/ pCMVluc DNA complex on HeLa cells, indicating that there were possible interactions between the host chromosomal DNA and the $T_f$-liposome within the cell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designing a safe and efficient gene delivery system using transferrin-conjugated liposomes.

Finite Type Invariants and the Kauffman Bracket Polynomials of Virtual Knots

  • Jeong, Myeong-Ju;Park, Chan-Young;Yeo, Soon Tae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4권4호
    • /
    • pp.639-653
    • /
    • 2014
  • In [9], Kauffman introduced virtual knot theory and generalized many classical knot invariants to virtual ones. For example, he extended the Jones polynomials $V_K(t)$ of classical links to the f-polynomials $f_K(A)$ of virtual links by using bracket polynomials. In [4], M. Goussarov, M. Polyak and O. Viro introduced finite type invariants of virtual knots. In this paper, we give a necessary condition for a virtual knot invariant to be of finite type by using $t(a_1,{\cdots},a_m)$-sequences of virtual knots. Then we show that the higher derivatives $f_K^{(n)}(a)$ of the f-polynomial $f_K(A)$ of a virtual knot K at any point a are not of finite type unless $n{\leq}1$ and a = 1.

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배양액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저해물질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hibition Helicobacter pylori from Culture Media of Fomitopsis pinicola)

  • 이재경;최성우;황유현;박희국;윤정원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22-427
    • /
    • 2006
  • Helicobacter pylori에 대하여 항균효과가 가장 높은 Fomitopsis pinicola를 동정하고 저해물질의 성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얻어졌다.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가장크게 나타난 네팔에서 채취한 F. pinicola의 동정결과는 F. pinicola AY854083로 밝혀졌다. F. pinicola의 균사체는 액상배양을 시작한 후 5일이 경과하면서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나타났으며 8일 이후부터 가장 높았다. 그러나 균사체 추출물에서는 항균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F. pinicola 균사체 8일 배양액의 H. pylori에 대한 최소억제 농도는 $0.25\;mg/m{\ell}$ 이었고, 배양액의 낮은 pH (pH 2.0)가 H. pylori의 생육억제에 영향을 주지만 중화를 하여도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은 유지되었다. F. pinicola 균사체 8일 배양액을 DEAE-sephadex A-25 LC로 분리하여 Fp-P1, Fp-P2 및 Fp-P3를 얻었으며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은 Fp-P1에서만 나타났다. Fp-P1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분리하였으며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은 $R_{f}$ 값이 0.67인 Fp-T3에서만 나타났다. F. pinicola 균사체 8일 배양액, Fp-P1, Fp-T3를 HPLC의 Waters symmetry $300\;C_{18}\;5\;{\mu}m$ column ($3.9{\times}150\;mm$)으로 분리한 결과 Fp-T3에서 단일 peak만 남았으며 이것이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F. pinicola 균사체 배양액에서 분리 정제한 물질은 BioLC 분석과 TLC 발색결과로써 아미노기를 포함한 당으로 사료된다.

초음파 조사시간에 따른 Microcystis aeruginosa의 성장억제 평가 (Evaluation of Growth Inhibition for Microcystis aeruginosa with Ultrasonic Irradiation Time)

  • 강은별;주진철;장소예;고현우;박정수;정무일;이동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3호
    • /
    • pp.183-193
    • /
    • 2022
  • 초음파 (ultrasonic) 조사시간 (irradiation time)에 따른 Microcystis aeruginosa (M. aeruginosa)의 성장억제 (growth inhibition) 효과를 대용량 (10 L) 조류 시료를 활용해 다양한 초음파 조사시간 동안 (0.5, 1, 1.5, 2, 2.5, 3 hr) 실험실 규모 (lab-scale) 실험을 진행하였다. Chl-a와 M. aeruginosa 개체수 (cell number) 분석 결과, 초음파 조사 종료 이후 모든 실험군에서 Chl-a와 개체수가 감소되어 조류 성장억제가 관찰되었으며, 초음파 조사시간이 2시간 미만인 실험군 (T_B, T_C, T_D)은 저감 이후 조류의 급격한 재성장 (regrowth)이 관측되었으나, 조사시간이 2시간 이상인 실험군 (T_E, T_F, T_G)은 2시간 미만 조사한 실험군 대비 조류성장억제가 1 - 2일 더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류의 개체수가 초기 개체수까지 회복 시간 (recovery time)을 검토한 결과 조사시간 2시간을 기준으로 실험군 T_B (0.5 hr)는 7일, T_C (1 hr)와 T_D (1.5 hr)는 약 20일, T_E, T_F, T_G (≥ 2 hr)는 약 30일이 소요되어 초음파 조사 종료 후 초기 개체수까지의 회복 시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비성장속도 (𝜇)와 일차분해속도(𝜅)를 도출한 결과, 실험군은 성장억제 기간 동안 초음파 조사시간과 비례하여 높은 일차분해율이 도출되었으며, 조사시간이 2시간 이상인 실험군의 재성장 시 비성장속도 (𝜇)는 2시간 미만인 실험군 대비 비성장속도 (𝜇)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체수역 내 장기적인 (30일) 조류 성장억제를 위해서는 최소한 2시간 이상의 초음파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나, 조류 성장억제를 위한 적정 초음파 조사시간은 정체수역의 규모, 수심, 흐름속도, 조류 농도 등의 다양한 현장조건에 따라 결정돼야 하며,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의 영향으로 인한 M. aeruginosa의 세포 표면 및 내부형질 변화를 관찰한 결과, 조류 세포 표면 및 세포막의 손상이 명확히 관측되었으며,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M. aeruginosa의 기낭 파괴 및 교란이 확인되었다.

A Note on Subnormal and Hyponormal Derivations

  • Lauric, Vasile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48권2호
    • /
    • pp.281-286
    • /
    • 2008
  • In this note we prove that if A and $B^*$ are subnormal operators and is a bounded linear operator such that AX - XB is a Hilbert-Schmidt operator, then f(A)X - Xf(B) is also a Hilbert-Schmidt operator and $${\parallel}f(A)X\;-\;Xf(B){\parallel}_2\;\leq\;L{\parallel}AX\;-\;XB{\parallel}_2$$, for f belonging to a certain class of functions. Furthermore, we investigate the similar problem in the case that S, T are hyponormal operators and $X\;{\in}\;\cal{L}(\cal{H})$ is such that SX - XT belongs to a norm ideal (J, ${\parallel}\;{\cdot}\;{\parallel}_J$) and prove that f(S)X - Xf(T) $\in$ J and ${\parallel}f(S)X\;-\;Xf(T){\parallel}_J\;\leq\;C{\parallel}SX\;-\;XT{\parallel}_J$, for f in a certain class of functions.

분리단열망개념의 지하수유동해석을 위한 단열투수량계수의 정량화 연구 (Characterization of Fracture Transmissivity for Groundwater Flow Assessment using DFN Modeling)

  • 배대석;송무영;김천수;김경수;김증렬
    • 지질공학
    • /
    • 제6권1호
    • /
    • pp.1-13
    • /
    • 1996
  • 단열암반(fractured rock mass)에서 분리단열망(Discrete Fracture Network;DFN)개념을 적용한 지하수유 동해석 과정 및 결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의 하나느 단열투수량계수(fracture transmissivity;$T_f$)이다. $T_f$는 단열특성, 방향성(orientation),단열틈(aperture),크기(size),조도(roughness) 및 충전물질(filling materiral)등에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DFN모델링 과정에서 가장 민감성을 나타내는 인자중 하나인 Tf의 도출을 위해서 초음파주사검층(Borehole Acouist Scanning;Televiewer)과 구가별 정압주입시험(Fixed Inter Length test in constant head;FIL)을 이용하였다. 이 값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연구지역의 지하수유동모델링 과정의 신뢰성은 물론 단열투수량계수,터널내 지하수유입량등,해석 전반에 걸쳐 상당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었다.따라서 DFN모델에 의한 지하수유동해석시 Cubic law의 기본전제를 만족하는 단열특성의 경우, televiewer와 FIL시험과의 결과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단열조별 Tf는 지하수유동 해석결과에 대한 신로성을 한 단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의의가 있다.

  • PDF

유연한 고정단을 가진 6축 F/T 센서의 설계 (Design of Six-Component F/T Sensor with Flexible Fixed Ends)

  • 이봉희;주진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6호
    • /
    • pp.771-78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제작이 용이한 십자형 구조를 기본구조로 사용하여 판스프링 고정단을 가진 유연한 6축 로드셀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한요소법해석을 이용하여 강체 고정단과 판스프링 고정단에 대한 변형 분석을 하였으며 이로부터 특성이 우수한 6축 힘/토크 센서를 설계하였다. 변형률 분포를 이용하여 각 축의 하중에 대한 출력변형률이 비슷한 수준이 되도록 스트레인 게이지 위치를 정하고 상호간섭 변형률이 최소화 되도록 이들로 연결된 브리지회로를 구성하였다. 강체 고정단 대신에 스프링판 고정단을 이용하면 고정 경계부의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어서 십자형 로드셀의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었다. 치수 변경을 통하여 설계된 6축 로드셀에 대한 상호 간섭오차는 모든 축에서 0으로 계산되었으며 각 축에서 발생하는 출력변형률 값도 $400\;{\mu}m/m$의 비슷한 수준으로 결정되었다.

한국 남해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우럭, Mya japonica의 자원생태학적 특성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ft-shelled Clam, Mya japonica in the Intertidal Zone of South Sea in Korea)

  • 이선길;장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3호
    • /
    • pp.234-243
    • /
    • 2000
  • This paper is to study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parameters, survival rat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the soft-shelled clam, Mya japonioa in the intertidal zone of South Sea in Korea. For describing growth of the clam a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was adopted, The von Bertalanffy growth curve had an additive error structure and the growth parameters estimat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were SH/sub ∞/=79.83mm, K=0.26, and t/sub 0/= -0.01. Survival rate (S) of the soft-shelled clam was 0.26 (SD=0.02).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mortality (M) was estimated to be 0.78/year and fishing mortality (F) 0.57/year for the soft-shelled clam. The age at first capture (t/sub c/) was estimated as 2.69 year. The mean densities of the soft-shelled clam by bottom type were 3.40 inds./m²(SE=0.18) in the sand, 63.4 inds./m²(SE= 0.53) in the muddy sand, and 0 inds./m2 (SE=0) in the gravelly sand. The mean densities of the soft-shelled clam by 3 different areas were 4.88 inds./m²(SE=0.09), 2.61 inds./m²(SE=0.13), 7.20 inds./m²(SE=0.18), respectively and the biomass of the clam were estimated as 131mt, 121mt, 665mt, respectively. An yield-per-recruit analysis showed that the current yield-per-recruit of about 8.30g with F=0.57/year and the age at first capture (t/sub c/) 2.69 year, was lower than the maximum possible yield-per-recruit of 9.60g. Fixing to at the current level and increased fishing intensity (F) could produce an increase in the predicted yield-per-recruit from 8.30g to about 9.40. However, estimated yield-per-recruit increased to 1.30g by decreasing to from the current age (2.69 year) to age two with F fixed at the current level. Yield-per-recruit was estimated under harvest strategies based on F/sub max/ and F/sub 0.1/.

  • PDF

ROLLING STONES WITH NONCONVEX SIDES I: REGULARITY THEORY

  • Lee, Ki-Ahm;Rhee, Eun-Jai
    • 대한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65-291
    • /
    • 2012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regularity theory and the existence of smooth solution of a degenerate fully nonlinear equation describing the evolution of the rolling stones with nonconvex sides: $\{M(h)=h_t-F(t,z,z^{\alpha}h_{zz})\;in\;\{0<z{\leq}1\}{\times}[0,T] \\ h_t(z,t)=H(h_z(z,t),h)\;{on}\;\{z=0\}$. We establish the Schauder theory for $C^{2,{\alpha}}$-regularity of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