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시퀀스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67초

이미지 캡션 생성을 위한 심층 신경망 모델 학습과 전이 (Learning and Transferring Deep Neural Network Models for Image Caption Generation)

  • 김동하;김인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17-62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캡션 생성과 모델 전이에 효과적인 심층 신경망 모델을 제시한다. 본 모델은 멀티 모달 순환 신경망 모델의 하나로서, 이미지로부터 시각 정보를 추출하는 컨볼루션 신경망 층, 각 단어를 저차원의 특징으로 변환하는 임베딩 층, 캡션 문장 구조를 학습하는 순환 신경망 층, 시각 정보와 언어 정보를 결합하는 멀티 모달 층 등 총 5 개의 계층들로 구성된다. 특히 본 모델에서는 시퀀스 패턴 학습과 모델 전이에 우수한 LSTM 유닛을 이용하여 순환 신경망 층을 구성하고, 컨볼루션 신경망 층의 출력을 임베딩 층뿐만 아니라 멀티 모달 층에도 연결함으로써, 캡션 문장 생성을 위한 매 단계마다 이미지의 시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가진다. Flickr8k, Flickr30k, MSCOCO 등의 공개 데이터 집합들을 이용한 다양한 비교 실험을 통해, 캡션의 정확도와 모델 전이의 효과 면에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멀티 모달 순환 신경망 모델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움직임 정보를 이용한 근접 돼지 추적 (Tracking of Touching Pigs using Motion Information)

  • 박창현;김진성;김희곤;정용화;박대희;김학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05-908
    • /
    • 2017
  • 국내 돈사 환경에서 돼지들의 세밀한 관리를 위해, 개별 돼지 관리를 자동화하는 방법이 필요하고, 개별 돼지 관리를 위해서는 근접한 돼지들을 개별 돼지들로 구분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한다. 영역 기반의 정보를 사용하여 개별 돼지를 구분하는 기존 방법으로는 복잡한 상황에서 개별 돼지로의 분리가 정확하게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움직임 정보를 활용하여 근접 돼지를 분리하고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전 프레임의 움직임 정보를 계산하여 현재 돼지의 위치 및 방향을 예측하고, 예측된 돼지의 정보를 사용하여 근접한 돼지를 분리하고 추적한다. 실험 결과, 실제 돈사에서 획득한 근접 돼지 시퀀스에서 근접 돼지의 분리 및 추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최적의 자기상관 특성을 갖는 주기 \ulcorner-1인 이진시퀀스의 생성 (New Binary Sequences of Period Pm-1 with Optimal Autocorrelation)

  • 노종선;정하봉;송홍엽;양경철;이정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6B호
    • /
    • pp.1136-1142
    • /
    • 2000
  •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nstruction for binary sequences {s(t)} of period N= \ulcorner-1 for an odd prime \ulcornerbased on the polynomial (z+1)d+az d +b, and discuss them in some cases of parameters p, m, d, a and b. We show that new sequences from our construction are balanced or almost balanced, and have optimal three-level autocorrelation. We also derive the distribution of autocorrelation values they take on. The sequences satisfy constant-on-the-coset property, and we will show that there are more than one characteristic phases with constant-on-the-coset property. Some other interesting properties of these sequences will be presented. Results of an extensive computer search are summarized.

  • PDF

유전체 연구를 위한 Paired-End Reads 병합 데이터의 정렬 이득에 관한 분석 (Alignment Benefits of Merging Paired-End Reads in Genome Analysis)

  • 권선영;윤성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9-61
    • /
    • 2014
  • 유전체 연구를 위한 분석 작업은 표준유전체에 시퀀스 데이터를 정렬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정렬에는 single-end 또는 paired-end reads가 사용된다. Paired-end reads는 유전체 조각의 양쪽에서 시퀀싱 된 데이터로 좀 더 긴 길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많이 이용된다. 정렬 툴 자체적으로 paired-end reads를 다룰수 있으나, 병합툴을 활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보인다. 다섯 가지 병합툴 중에서 CASPER와 pear에서 정렬 이득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

인물에 독립적인 표정인식을 위한 Action Unit 기반 얼굴특징에 관한 연구 (Action Unit Based Facial Features for Subject-independent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이승호;김형일;박성영;노용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81-883
    • /
    • 2015
  • 실제적인 표정인식 응용에서는 테스트 시 등장하는 인물이 트레이닝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물에 독립적인(subject-independent) 표정인식을 위한 얼굴특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인물에 공통적인 얼굴 근육 움직임(Action Unit(AU))에 기반한 기하학 정보를 표정 특징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인물의 고유 아이덴티티(identity)의 영향은 감소되고 표정과 관련된 정보는 강조된다. 인물에 독립적인 표정인식 실험결과, 86%의 높은 표정인식률과 테스트 비디오 시퀀스 당 3.5ms(Matlab 기준)의 매우 빠른 분류속도를 달성하였다.

다중 입출력 검사 방식의 세분화된 스케줄링을 통한 개선 (Improvement in Multiple Input-Output Inspecting Method through Classified Scheduling)

  • 박원찬;류환규;김정호;안기홍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4-67
    • /
    • 2012
  • 복잡한 구조를 가진 케이블의 빠르고 정확한 검사를 위해 다중 입출력 검사 장치가 사용된다. 기존의 검사 장치의 제어 방법은 한번에 여러 가지 회선 특성을 가진 케이블의 검사가 불가능하며, 장치 안정성 및 검사 성능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입출력 장치의 검사 시퀀스 및 하드웨어 개량을 통한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검사 명령 및 검사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 패킷에서 검사 명령을 좀더 세분화하여 패킷을 최적화하고 중복 명령을 제거하였으며, 입출력 신호 충돌 가능성을 차단하였다. 또한, I2C 버스 양방향 회로를 사용하여 전압 레벨 차이를 극복하고 활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맵리듀스를 이용한 SE Matching 기반 유사 검색 기법 (Similar Sequence Matching based on SE Matching with MapReduce)

  • 권정민;서준일;안진우;이정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24-227
    • /
    • 2012
  • 시계열 데이터 검색은 금융, 생명정보 등 많은 분야에서 요구되는 주요한 기술로서 연구되어 왔다. 특히 기존에 제안된 스케일링(Scaling)과 쉬프팅(Shifting)을 이용한 검색인 SE Match는 유사 서브시퀀스를 효과적으로 찾아내는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에 맵리듀스를 적용하는 MRSE-검색 (MapReduce-based Searching with Shift-Eliminated)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방법으로 분산처리를 통하여 응답시간의 개선과 대용량의 시계열 데이터에서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래프 기반 분산 시스템을 이용한 염기 서열 정렬 (DNA Sequence Alignment Using a Graph-based Distributed System)

  • 이준수;안재균;여윤구;노홍찬;박상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94-897
    • /
    • 2013
  • 서열 정렬(sequence alignment)은 유전학(genomic)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차세대 시퀀싱 기술(NGS)이 발달함에 따라 데이터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고, 이에 따라 높은 처리량(throughput)을 가진 서열 정렬 알고리즘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염기 서열 정렬 알고리즘은 시퀀스(sequence)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변형시킨 다음,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그래프 기반인 메모리(in-memory) 분산시스템(distributed system) 트리니티(Trinity)를 이용해 서열 정렬을 수행한다. 본 논문의 알고리즘은 트리니티 시스템에서 시뮬레이션 염기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정렬하였으며, 슬레이브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빠른 속도를 나타내어 확장성(scalability)을 입증했다.

시계열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뇌파 자동 분류 (EEG Classification using Time-series Learning Algorithm)

  • 김종환;남상하;김인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40-24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로봇 제어 목적의 응용을 위해 SVM 알고리즘과 HMM 알고리즘을 근간으로 하는 효과적인 뇌파 데이터 자동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Emotive Epoc 헤드셋 뇌파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뇌파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뇌파 데이터로부터 FFT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특징 추출을 수행한다. 그리고 SVM 알고리즘을 이용한 1단계 분류 방법과 SVM 알고리즘의 분류 결과를 다시 입력 시퀀스로 삼아 시계열 학습 알고리즘인 HMM에 적용하는 2단계 분류 방법의 실험 결과를 소개한다.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2단계 행위 인식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 Two-Phase Activity Recognition System Using Smartphone Accelerometers)

  • 김종환;김인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28-133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내장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2단계 행위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행위 인식 시스템에서는 행위 별 시간에 따른 가속도 센서 데이터의 변화 패턴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1단계 분류에서는 결정트리 모델 학습과 분류를 수행하고, 2단계 분류에서는 1단계 분류 결과들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HMM모델 학습과 분류를 수행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특정 사용자나 스마트폰의 특정 위치, 방향 변화에도 견고한 행위 인식을 위하여, 동일한 행위에 대해 사용자와 스마트폰의 위치, 방향을 변경하면서 다양한 훈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6720개의 가속도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 6가지 실내 행위들을 인식하기 위한 실험들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높은 인식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