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p convergenc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19초

마주보는 대칭렌즈를 가지는 MWIR용 초점거리 24mm의 비구면 결상광학계 설계 (Design of Aspheric Imaging Optical System having 24mm Focal Length for MWIR with Facing Symmetric Lenses)

  • 이상길;김부태;이동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83-189
    • /
    • 2018
  • 본 연구는 마주보는 두 대칭렌즈를 가지는 초점거리 24mm 인 MWIR($3{\sim}5{\mu}m$)용 결상광학계의 설계 개발에 관한 것이다. 광학계는 CodeV를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사용자의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분해능과 화각을 가지도록 최적화 과정을 진행하였다. 렌즈의 초자는 국내에서 개발된 $3{\mu}m$에서 굴절률 1.7589를 갖는 초자( KCIR035 )를 포함하여 두 종류로 제한하였다. 이렇게 설계되어진 광학계는 같은 모양을 갖는 KCIR035 초자의 2장의 비구면 렌즈와 1장의 Si 초자의 구면 렌즈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2장의 비구면 렌즈의 배치는 마주보는 대칭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 광학계는 선폭 20lp/mm에서 MTF값이 0.35 이상인 분해능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이 광학계는 pixel의 크기가 $25{\mu}m$$206{\times}156$ 어레이 MWIR 검출소자를 사용하는 열영상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지버섯에서 추출한 포자오일의 항노화 및 보습 효능 (Anti-aging & Skin Hydration Effects of Spore oil Extracted from Ganoderma lucidum)

  • 송환;김면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32-23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영지버섯 포자오일(GLS)의 항노화, 항산화, 항염 그리고 보습에 대한 활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 GLS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항염 평가는 LPS를 자극시킨 RAW264.7 세포에서 GLS에 대한 NO, TNF-α 그리고 IL-6 생성물의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 GLS는 NO 그리고 전염증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생성물을 억제하였다. 또한, procollagen 생성물과 COL1A1 mRNA 발현 분석을 위해 인간 섬유아세포를, 그리고 AQP-3 mRMA 발현 분석을 위하여 인간 각질형성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GLS는 procollagen 생성물과 COL1A1, AQP-3 mRNA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GLS가 항염, 주름 그리고 보습에 대한 잠재적인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주 염증모델에서 소리쟁이의 법제처리에 따른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eopje Processed Curly Dock (Rumex crispus L.) in LPS-Induced Murine RAW 264.7 Cell Lines)

  • 김승희;강순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08-416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rocessed (Beopje) curly dock (Rumex crispus L.) in LPS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murine RAW 264.7 cell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lassified into five groups : LPS no treatment, CD (curly dock), CD-B (CD processed through Beopje), LPS, LPS+CD-B (LPS+CD processed through Beopje) and LPS+CD (LPS+CD). Treatment of the Raw 264.7 cell lines using LPS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NO product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IL-6 and $IL-1{\beta}$), and inflammation related genes (COX-2 and iNOS). Investigation of the inhibitory effects of CD and processed CD on NO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iNOS and COX-2 was done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There was significant inhibition of NO production by LPS+CD and LPS+CD-B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Particularly, LPS+CD-B exhibited reduced mRNA expression of iNOS and COX-2 and NO production as compared to LPS+CD in Raw 264.7 cell lines (p<0.05). These results may explain some known biological activities of curly dock includ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CD-B in particular exhibited the highest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nhibiting production of NO, through the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lated gene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hese results of Beopje processing might help decrease the anti-biological effects and increase several active substances of curly dock.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상피중간엽이행 조절을 통한 Celecoxib의 폐 손상 개선효과 (Effect of Celecoxib on Lung Injury Improvement by Controlling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EMT)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 이선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48-255
    • /
    • 2021
  •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Celecoxib의 폐 손상 개선효과를 연구하였다. COPD는 LPS와 담배연기추출물(CSE)로 유도하여 in vitro와 in vivo에서 병행 연구하였다. In vitro는 인간 섬유아세포(MRC5)에서 MTT assay, real-time PCR를 하였고 in vivo는 mRNA 발현,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collagen content,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해 Celecoxib는 BALF에서 염증세포 수의 감소와 사이토카인, soluble protein의 축적을 감소시켰고 동물모델에서는 체중과 폐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폐 콜라젠 축적도 개선하였다. 또 웨스턴 블로팅과 real-time PCR을 통해 EMT 표지자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Celecoxib는 EMT를 조절하여 LPS+CSE로 유도된 COPD의 폐 손상에서 개선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accharomycopsis fibuligera 발효 생강나무 꽃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fermented Lindera obtusiloba flower extract)

  • 박상남;윤중수;이옥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96-30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생강나무 꽃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능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을 위해 DPPH 실험, ABTS 실험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폴리페놀 농도 측정,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통해 항산화 물질의 정량을 실시하였다. 플라보노이드, DPPH, ABTS에서는 발효 후의 항산화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5.0%, DPPH 실험에서는 33.27%, ABTS 실험에서는 29.82%의 항산화능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항염능 실험에서는 세포 독성 실험과 LPS로 유도된 염증에 대한 항염능을 알아보기 위한 NO 생성 억제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독성의 경우 대조군과 발효군 모두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지만 발효군에서 더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NO 생성 억제능의 경우 발효군이 대조군에 비해 50% 이상의 항염능 증가를 보여 발효 생강나무꽃이 기존 생강나무 꽃에 비해 더 개선된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가능함을 보였다.

Silvetia siliquosa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ilvetia siliquosa extract)

  • 김경숙;김숙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32-23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뜸부기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능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 실험에는 폴리페놀 농도 측정,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 DPPH 실험, ABTS 실험, NO 실험, FRAP 실험을 실시하였다. 폴리페놀의 경우 54.85±2.79 mg/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18.70±5.26 mg/g으로 나타났다. DPPH 실험에서는 3.950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7.418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NO 실험에서는 6.056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뜸부기 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3.633±0.280 ㎍의 환원력을 보였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세포 독성과 LPS로 유도된 염증에 대한 항염능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80%이상의 세포 생존률을 보였으며, NO 생성 억제능의 경우 100 ㎍/mL 농도에서 26.94±0.52%의 염증 억제능을 보여 뜸부기 추출물이 항염능을 가진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 가능함을 보였다.

흑구기자 열매의 생리활성 평가 연구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Two Extracts from Lycium ruthenicum Murray Fruit)

  • 추결;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90-19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흑구기자의 생리학적 활성을 평가하여 화장품 산업에 활용 가능한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흑구기자 열매에 70% 메탄올(LRM)과 열수(LRW)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 결과 LRW 추출물 보다 LRM 추출물에서 라디컬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다. FRAP 분석 결과 LRM 추출물에서 LRW 추출물보다 FRAP 값이 1.3배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LRM 추출물에서 31.883±1.395 mg/g, LRW 추출물에서 27.748±2.741 mg/g으로 확인되었다. LRM 추출물은 LPS 자극 후 RAW264.7 세포에서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LRM 추출물은 LPS에 의한 COX-2, PGE2, IL-6 및 TNF-α의 발현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흑구기자 열매는 화장품에 활용되는 천연 항산화 및 항염 물질로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쌍발이모자반(Sargassum patens)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rgassum patens extract)

  • 김숙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64-27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쌍발이모자반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능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 실험에는 폴리페놀 농도측정,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 DPPH 실험, ABTS 실험, NO 실험, FRAP 실험을 실시하였다. 폴리페놀의 경우 18.99±0.69 mg/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11.89±1.16 mg/g으로 나타났다. DPPH 실험에서는 19.78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63.64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NO 실험에서는 7.966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쌍발이모자반 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2.089 ㎍의 환원력을 보였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세포 독성과 LPS로 유도된 염증에 대한 항염능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80%이상의 세포 생존률을 보였으며, NO 생성 억제능의 경우 100 ㎍/mL 농도에서 30.64±0.23%의 염증 억제능을 보여 쌍발이모자반 추출물이 항염능을 가진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가능함을 보였다.

개정향풀 추출물의 향장학적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osmeceutical Activity of Apocynum lancifolium Russanov Extracts)

  • 박지효;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36-24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개정향풀 열수추출물 (AW)과 메탄올추출물 (AM)의 기능성 화장품 활성을 조사하였다. DPPH 항산화 활성 결과에서 열수추출물은 90.5%의 높은 라디컬 소거 활성 (IC50 37.717±8.209 ㎍/mL)을 나타냈으며, ABTS 항산화 활성은 96.2%로 매우 높았으며, 이때 IC50은 185.244 ± 12.602 ㎍/mL이었다. 대식세포 RAW264.7에서 두 추출물은 LPS에 의한 NO, TNF-α, IL-6의 생성 및 iNOS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모든 추출물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거의 없었다. 수렴활성 결과 열수추출물이 74.33±2.48 mg/mL로 높은 수렴효능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개정향풀 추출물은 항산화제, 항염 및 수렴제와 같은 미용 목적을 위한 천연제품, 식품첨가제 등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셀러리악 추출물의 LPS로 유도된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leriac Extract on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RAW 264.7 cells)

  • 이재혁;정현주;박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95-300
    • /
    • 2021
  • 본 연구는 Celeriac Extract의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억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염증은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나 IL-6, IL-1β 및 활성산소와 같은 매개인자에 의해 나타난다. 이에 RAW264.7 세포에 lipopolysaccharide(LPS) 로 자극하여 생성된 TNF-α나 IL-6, IL-1β과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NO 같은 활성산소에 대한 Celeriac Extract(1ug/mL, 10ug/mL, 100ug/mL)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Celeriac Extract은 세포 독성 없이 TNF-α나 IL-6의 생성과 NO생성을 유의성 있게 저해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셀러리악 추출물이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NO 생성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약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