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ts Conditions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1초

식재지별 외생균근성 버섯의 다양성 및 발생 빈도 비교 (Diversity and Occurrence Frequency of Ectomycorrhizal Fruiting Bodies by Planting Sites)

  • 정진철;오광인;장석기;장규관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1-78
    • /
    • 2004
  • 2000년 6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식재지별로 외생균근성 버섯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조사기간 동안 총 3강 3아강 8목 22과 41속 72종 (2변종 포함)의 버섯이 조사되었다. 버섯은 주름버섯목에 9과 21속 48종, 민주름버섯목에 5과 11속 13종, 이형담자균강에 3과 3속 4종, 복균아강에 5과 6속 7종이었다. 외생균근성 버섯은 총 7과 11곡 30종 2,451개체가 조사되었다. 버섯 개체수는 색시졸각버섯(1,225) 긴골광대버섯아재비(179), 자주졸각버섯(130)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은 기후환경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7월과 8월에 집중하였다. 외생균근성 버섯의 종수 및 개체수 분포는 조사구별로 큰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각 조사구별 입지환경 및 기주 수종 구성 등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색시졸각버섯은 참나무속에서만 발생하여 기주선택성이 매우 좁고, 긴골광대버섯아재비, 수원무당버섯, 땀버섯속은 침엽수 및 활엽수 모두에서 버섯이 발생되어 기주선택성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생균근성 버섯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은 토양환경 중 토양 pH, 유기물함량 및 전질소함량과 기후환경인 상대습도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LED 조명처리가 꽃송이버섯의 균사배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ycelial culture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using LED lighting operation)

  • 오득실;김현석;심봉섭;위안진;윤병선;김강웅;왕승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31
    • /
    • 2013
  • 선행연구로서 꽃송이버섯 배지내 LED 조명색에 의한 푸른곰팡이 생육억제 효과는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blue 처리구에서 푸른곰팡이균의 포자발생량이 매우 높아 꽃송이버섯 배양에 부적합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양 28일 후 LED 파장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균사생장 특성과 LED 파장 색상별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red 파장 처리구에서 균사생장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red 파장 범위에서 광량을 달리하여 균사생장 조건을 확인한 결과, 광량 세기가 낮은 1.41 ${\mu}mol/m^2S$ 처리구에서 우수한 균사생장을 나타내었다. 계대배양 실시 여부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에서는 실험 전 1회 계대배양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지조성을 달리한 톱밥배지 내 LED 광량별 균사생장은 미송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미송 톱밥배지에서 LED red 2.11 ${\mu}mol/m^2S$의 광량을 처리하였을 경우 84일 배양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경우 red 파장 2.11 ${\mu}mol/m^2S$ 광량에서 84일 이상 미송 톱밥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꽃송이버섯 배양에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17세기 초 조선에서 유행한 '당독역'에 대한 연구 -허준의 『벽역신방』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ngdokyeok' Epidemics in the Early 17C of the Joseon -Focusing on Heojun's 『Byeokyeoksinbang』-)

  • 조원준;김용익;염기복;임효종;정우열;전병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11-343
    • /
    • 2004
  • Various aspect of epidemics broke out continually from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due to the famine and drought caused by abnormal climate of the sixteenth century and the war. Thus the Dynasty performed sacrificial rites, isolated the patients and published plenty of medical books related epidemics in order to cure of the patients, and Heojun edited 『Byeokyeoksinbang』 as 'Dangdokyeok' broke out at Gwanbuk(關北) districts in 1613, Heojun explained the cause of Dangdokyeok as meteorology under the feudal conditions, and concluded Simhwa(心火) by fever toxin, Therefore he selected the method of puting out Simhwa by attack of fever toxin. In addition he presented emergency treatment that can maintain the airway by bleeding. To treat Dangdokyeok, Heojun presented lots of prescriptions so as Seungmagalgeuntang(升麻葛根湯), Cheongyeolhaedoksan(淸熱解毒散), Yeongyopaedok-san(連翹敗毒散), Bangpungtongsaongsan(防風通聖散), Jowiseunggitang(調胃升氣湯) and Hwangryeonhaedoktang(黃連解毒湯) etc. And he proposed Samdueum (三豆飮), Realgar(石雄黃) and so on to prevent infection from that. They presume from 120 to 150 years as the period of human adaptation to the first epidemics. Dangdokyeok put a large number of people to death at first, but it wasn't referred at the history any more after Byeokyeoksinbang. So we can say that the treatment of Heojun may be effective. Common cold and dyspeptic cold broke out in our country differently from 'Shanghan(傷寒)' in the China, so we had settled 'pestilence infectious epidemic disease(瘟疫)' while 'epidemic febrile disease(溫病)' of the China. Dangdokyeok of Heojun is similar to 'Scalet fever' belonging to 'virulent heat pathogen(溫毒)', 'newly epidemic febrile disease(新感溫病)'. As a cure of Dangdokyeok, the Korean medicine uses the treatment of removing fever state whereas the western medicine uses the antibiotics to kill the streptococcus. The symptoms of Dangdokyeok are remarkably similar to those of the Scarlatina, so this occupies a high position on the world history of medicine in aspects of the period and details of symptoms. These days we have the problems that the tolerance of antibiotics increases and disease of unknown cause is prevalent. It means the western medicine get to limits. So if we progress epidemiography based on Heojun's medicine, we may contribute to the world history of medicine.

한국의 원예시설 자동화 현황 및 식물공장의 발전방향 (Status of Automatization in Protected Horticultural Facilities and Prospect of Plant Factory in Korea)

  • 윤진하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6년도 국제심포지움 21세기 첨단식물생산시스템의 실용화
    • /
    • pp.91-115
    • /
    • 1996
  • 최근 우리나라 농업은 계속되는 농촌노동력의 감소 및 노령화ㆍ부녀화와 WTO체제 출범에 따른 농축산물 수입개방 둥 대내외적으로 매우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다. 이러한 농업여건변화에 따라 우리농업을 경쟁력 있는 강한 체질의 산업으로 육성하여 국제경쟁력을 키우고 국민소득 증대에 따른 고품질 농축산물 수요증가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품질이 좋은 농축산물을 값싸게 생산 공급할 수 있는 자본기술집약적 농업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중략)

  • PDF

올방개 방제용(防除用) 제초제(除草劑) Benfuresate와 Cinosulfuron의 생물적(生物的) 특성(特性) 비교(比較) (Biological Properties of Benfuresate and Cinosulfuron for Chemical Control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이한규;이인룡;유갑희;이정운;이은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2-279
    • /
    • 1994
  •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올방개 방제용(防除用) 제초제(除草劑) benfuresate와 cinosulfuron의 생물적(生物的) 특성(特性)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3년 온실(溫室) 및 포장시험(圃場試驗)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논토양중(土壤中)에서 benfuresate와 cinosulfuron는 각각 2cm와 6cm깊이까지 수직이동(垂直移動)됨으로써 올방개 생육(生育)을 억제(抑制)시켰다. 2. Benfuresate는 올방개의 뿌리에서 주로 흡수(吸收)되었고 cinosulfuron은 뿌리와 줄기는 물론 중경(中莖)에서도 흡수(吸收)되었다. 3. 토양처리(土壤處理)로서 발생(發生)이 억제(抑制)된 올방개의 재출현율(再出現率)은 benfuresate에 비하여 cinosulfuron 처리구(處理區)에서 훨씬 높았으나 재생후(再生後) 생장속도(生長速度)에 있어서는 반대로 benfuresate 처리구(處理區)에서 빨랐다. 4. Benfuresate는 고살형(枯殺型)으로서 눈의 고사율(枯死率)은 높은 반면 살아있는 측아(側芽)가 빠른 생장(生長)을 하였으나, cinosulfuron은 억제형(抑制型)으로서 눈의 고사율(枯死率)은 낮은 반면 살아있는 측아(側芽)가 기형적(畸形的)으로 빈약(貧弱)한 생장(生長)을 하였다. 5. 토양처리(土壤處理)를 할 경우(境遇) benfuresate는 올방개의 발생전(發生前)부터 발생직후(發生直後)(초장(草長) 2cm)까지 방제(防除)가 가능(可能)하였으나 cinosulfuron은 발생전(發生前)부터 생육중기(生育中期)(초장(草長) 15cm)까지 90% 이상(以上)의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보였다. 6. Cinosulfuron을 경엽(莖葉)에 산포(散布)할 경우(境遇) 올방개 방제효과(防除效果)는 양호(良好)하였으나 벼에 약해(藥害)가 우려(憂慮)되었다. 7. Benfuresate/bensulfuron 입제(粒劑)의 경우(境遇) 벼 생육후기(生育後期)로 갈수록 올방개 방제효과(防除效果)가 낮아졌으나 cinosulfuron/mefenacet/dymron 입제(粒劑)의 경우(境遇)에는 벼 이앙후(移秧後) 65일(日)까지 높은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보였다.

  • PDF

실시간 COFDM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구조를 갖는 비터비 디코더 설계 (The viterbi decoder implementation with efficient structure for real-time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황종희;이승열;김동순;정덕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2호
    • /
    • pp.61-74
    • /
    • 2005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은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무선환경의 이동체에 전송하기 위해 제안된 방식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DM시스템은 COFDM 변조방식을 사용하여 다중 경로 페이딩 현상을 극복하고, 동시에 강력한 채널오류 정정 능력을 필요로 한다. DMB 수신기를 위한 비터비 디코더(구속장 7, code rate 1/4)는 가변 부호화된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해야 하고, 방송시스템이므로 실시간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효율적인 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DMB 시스템을 위한 비터비 디코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호화 과정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전용 하드웨어 모듈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연산량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결합된 Add-Compare-Select(ACS)와 Path Metric Normalization(PMN)구조를 새롭게 제안하고자 한다. PMN구조에서의 단점인 comparison tree에 의한 임계 경로(critical path)의 문제를 고정치(fixed value)에 의한 선택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고속 동작이 가능하게 하였고, ACS구조에서는 분할 기법(decomposition method)과 선계산(pre-computation)을 이용하여 덧셈기, 비교기, 표준화기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펑처드 비터비 디코더는 일반적인 구조를 적용했을 때 보다 면적 $3.78\%$, 전력소모 $12.22\%$, 최대 게이트 지연 $23.80\%$의 감소율을 보였다.

호주 빅토리아주 가정과교육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Victoria Australia)

  • 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4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 빅토리아주 가정과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가정과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웹페이지를 통해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였고, 가정과교육과정 담당자, 가정과교사들과 이메일과 면담을 통하여 가정과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실제를 파악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통필수 교육과정(F-10)에서는 '디자인과 기술', '건강과 체육'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과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하는 통합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에 가르쳐야 할 내용이 규정되어 있지 않고 역량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편성되었기 때문에 교사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재량권 및 자율권이 크다 보니 전문성이 담보되어야 한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선택중심 가정과교육과정(11-12)에 속한 VCE 과목은 '식생활'과 '건강과 인간발달'이며, 학생들이 이 과목을 선택하게 되면 대학진학을 위해 지필평가를 치러야 한다. 지필평가 문항은 교육과정에 있는 역량중심 '산출평가'에 근거하여 출제되고, 구체적인 내용이 규정되지 않기 때문에 학교 교사는 학생들에게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등을 함양하기 위한 다양한 수업을 고안하여 운영해야 한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가정과교사는 학교교육과정 편성을 위해 과목명, 다룰 내용, 평가 내용을 모두 창조할 있는 재량권이 있으며 이에 따른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는 교사 개인의 능력도 관련되지만 무엇보다 주 교육과정평가원 웹페이지의 상세한 예시 탑재, VCE 과목의 검증과정 등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5 · 16 군정기 지방행정 환경변화와 모범부락조성사업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Local Administration Environment Change and 'Mobum Burak Development' in 5 · 16 Military Government Period)

  • 서만용;박수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3호
    • /
    • pp.643-67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5 16 군정기 지방행정의 많은 환경변화 속에서 각 도가 추진한 '모범부락조성사업'을 통해 초기 농촌마을개발사업에 대한 모습, 특히 지방행정이 사업의 주체가 되기 위해 추진한 방법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군정기(1961~1963) 지방행정은 시군을 기초자치단체로 하는 행정체계 개편, 국가기획제도 도입, 지방세제 개편, 새로운 농촌기구 설립으로 인한 농촌지도 다원화 등의 여러 변화요인을 맞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지역의 개발행정 주축은 지방자치단체로 옮겨져 갔고, 각 도는 '보고가는 마을(전북)', '빛나는 마을(충남)'등의 각종 명칭으로 모범부락조성사업을 추진하였다. 또한 내무부는 지역개발의 장기적인 종합계획으로서 군 건설계획의 작성과 추진을 지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 정책을 중심으로 한 농촌지역개발사에서 도 단위의 지방사를 발굴하고 이를 지방행정 환경변화와 연계하여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산불발생에 따른 외생균근성 버섯의 분포 (Distribution of Ectomycorrhizal Fruit Bodies According to Forest Fire Area)

  • 김홍진;정진철;장석기;장규관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251-264
    • /
    • 2013
  •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계 3문 6강 15목 34과 59속 107종이 동정되었으며, 담자균문은 28과 51속 99종, 자낭균문은 5과 7속 7종 및 아메바문은 1과 1속 1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생균근성 버섯을 조사한 결과 총 10과 17속 49종 총 801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 중 애기꾀꼬리버섯이 198개체로 가장 많이 발생되었고 꾀꼬리버섯 66개체, 색시졸각버섯 53개체 순이었다. 종 분포가 높은 균류는 광대버섯과가 14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물버섯과 12종, 무당버섯과 11종 순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시기별 분포에서는 7월과 8월에 가장 다양한 외생균근성 버섯이 발생되었는데 이는 높은 온도 및 강수량이 많은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구별 분포에서는 조사구 I인 소나무 군락 (8과 13속 30종)과 II인 참나무 군락 (8과 12속 30종)에서 가장 높았고, 조사구 IV (1과 1속 1종)와 V의 곰솔 식재지 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후환경 요인으로는 대기온도 (평균온도, 최저온도, 최고온도)에서, 토양환경 요인으로는 토양 산도와 유기물함량에서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韓國) 황염(黃染) 연구(硏究) (The Study of Korean Yellow Dyeing)

  • 이양섭
    • 복식
    • /
    • 제4권
    • /
    • pp.13-24
    • /
    • 1981
  • The color yellow was considered from ancient time to the Chosun Dynasty as the central color. Thus, this color became the royal color for the costumes in the palace. It is generally known to usthat the color yellow was controled in use both for the general public and in the royal palaces. However, in the later part of Chosun Dynasty, the color yellow was used not only for the king's costumes but also used for women's tops and for the linings of clothing. Especially, in some of the costumes that belonged to the la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we can still see lots of bright yellow tops. Also there are many green dyed official robes and various costumes for women. It is a true fact that people could not derive the color green from the plants as they did with yellow. The only way they could make the color green was to mix indigo and yellow together. By repeating the difficult process of making various dyes constantly during many centuries, the Korean people developed the marvelous technique of making natural color. Those plants used to make the color yellow are ; Gardenia, Phellodendron amurense, Turmeric, Coptis, Safflower, Arthraxon hispidus, Styphnolobium japonicum. While synthetic dye causes pollution, natural coloring by plants is as safe and useful as the color itself is lovely. Yet it is tragic to know that this traditional culture of making beautiful natural colors was cut off. There is no way to know today the traditionally correct method to derive colors from the plants. Therefore, it is our aim and challenge to find out the original way to dye and develop it and preserve it as our non-polluted folk art. In regard to natural dyeing, we must say that is very difficult to prepare and preserve natural dyes. In the first place, people had to get the right plants at an appropriate time. Then they could not keep those plants too long. Finally, much depended upon the mordant as well as various conditions and dyeing procedures. All those things influenced greatly the quality of color, some times producing a very pretty color and other times a very dull one. It is very appropriate that the natural dye art should be recognized and appreciated anew by Korea since it provides satisfaction to historical and folk artistic demands as well as to those of fashion conscious modern society for high quality consumption items. We propose two stages of development. The first stage is to explore native dye plants and encourage their cultivation. The second stage is to extract from the plants desirable dye which will enhance national cul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