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angdokyeok' Epidemics in the Early 17C of the Joseon -Focusing on Heojun's 『Byeokyeoksinbang』-

17세기 초 조선에서 유행한 '당독역'에 대한 연구 -허준의 『벽역신방』을 중심으로-

  • Chough Won Joon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
  • Kim Young Ik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
  • Yeom Kee Bok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
  • Lim Hyo Jong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
  • Jeong Woo Yeal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
  • Jean Byung Hun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 조원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김용익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염기복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임효종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정우열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전병훈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Various aspect of epidemics broke out continually from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due to the famine and drought caused by abnormal climate of the sixteenth century and the war. Thus the Dynasty performed sacrificial rites, isolated the patients and published plenty of medical books related epidemics in order to cure of the patients, and Heojun edited 『Byeokyeoksinbang』 as 'Dangdokyeok' broke out at Gwanbuk(關北) districts in 1613, Heojun explained the cause of Dangdokyeok as meteorology under the feudal conditions, and concluded Simhwa(心火) by fever toxin, Therefore he selected the method of puting out Simhwa by attack of fever toxin. In addition he presented emergency treatment that can maintain the airway by bleeding. To treat Dangdokyeok, Heojun presented lots of prescriptions so as Seungmagalgeuntang(升麻葛根湯), Cheongyeolhaedoksan(淸熱解毒散), Yeongyopaedok-san(連翹敗毒散), Bangpungtongsaongsan(防風通聖散), Jowiseunggitang(調胃升氣湯) and Hwangryeonhaedoktang(黃連解毒湯) etc. And he proposed Samdueum (三豆飮), Realgar(石雄黃) and so on to prevent infection from that. They presume from 120 to 150 years as the period of human adaptation to the first epidemics. Dangdokyeok put a large number of people to death at first, but it wasn't referred at the history any more after Byeokyeoksinbang. So we can say that the treatment of Heojun may be effective. Common cold and dyspeptic cold broke out in our country differently from 'Shanghan(傷寒)' in the China, so we had settled 'pestilence infectious epidemic disease(瘟疫)' while 'epidemic febrile disease(溫病)' of the China. Dangdokyeok of Heojun is similar to 'Scalet fever' belonging to 'virulent heat pathogen(溫毒)', 'newly epidemic febrile disease(新感溫病)'. As a cure of Dangdokyeok, the Korean medicine uses the treatment of removing fever state whereas the western medicine uses the antibiotics to kill the streptococcus. The symptoms of Dangdokyeok are remarkably similar to those of the Scarlatina, so this occupies a high position on the world history of medicine in aspects of the period and details of symptoms. These days we have the problems that the tolerance of antibiotics increases and disease of unknown cause is prevalent. It means the western medicine get to limits. So if we progress epidemiography based on Heojun's medicine, we may contribute to the world history of medicine.

Keywords

References

  1. 재미있는 질병과 인간의 역사 황상익(역)타츠가와 쇼지
  2. 광해군일기
  3. 한국급성전염병개관 전종휘
  4. 한국근대보건의료사 신동원
  5. 조선질병사 미키 사카에
  6. 조선의사연표 미키 사카에
  7. 조선사람 허준 신동원
  8. 벽역신방 한국의학대계38권 허준
  9. 한국서지학 천혜봉
  10. 동의보감 허준
  11. 대역동의보감 허준
  12. 한국의학대계11권 해제 김신근
  13. 조선왕조실록
  14. 한국의학사 김두종
  15. 격리 어윤금(역);마릴린 체이스
  16. 간이벽온방 한국의학대계38권 김순몽(외)
  17. 분문온역이해방 한국의학대계38권 김안국(외)
  18. 한국의학사의 재정립 상권 신순식(외)
  19. 한국의학대계38권 해제 김신근
  20. 한국의학대계37권 해제 김신근
  21. 신찬벽온방 한국의학대계38권 허준
  22. 삼인방 진언
  23. 한국의약사 김신근
  24. 지봉유설(하) 남만성(역);이수광(저)
  25.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허정(역);윌리엄 H. 맥닐
  26. 금궤요략논주 중국의학대계2권 장기(찬);서빈(주)
  27. 임상온병학특강 이유곤
  28. 명청명의전서대성;임증지남의안 섭계
  29. 중국의학사 견지아
  30. 단계심법부여 주진형
  31. 마과회통 한국의학대계36권 정약용
  32. 오운육기학 백남철
  33. 의학정전 虞搏
  34. 의학입문 이천
  35. 황제내경소문1권 황제
  36. 각가학설 맹웅재(외)
  37. 유문사친 중국의학대계13권 장종정
  38. 섭천사임증지남의안 강계성(외)
  39. 의림촬요 한국의학대계8∼10권 양예수
  40. 제병원후론교석 하책 소원방
  41. 금원사대가 의학전서 上卷 v.上 주수택
  42. 각가침구학설 위가
  43. 실용온병학 이광규(외)
  44. 설문해자 허신
  45. 전염병변병전방치료(傳染病辨病專方治療) 대서호;사복안
  46. 동의수세보원 v.42 한국의학대계42권 이제마
  47. 일본의가상한론주해집요 곽수매(외)
  48. 상한론해설 大塚敬節
  49. 상한론개론 박헌재
  50. 중경전서 장중경
  51. 난경연구집성 윤창렬(외)
  52. 중국의학사 홍원식
  53. 단방신편 v.17 한국의학대계17권 정약용;신만(저);이의경(역)
  54. 쇄미록 오희문
  55. 임상의학 전국의과대학 임상교수(편)
  56. 병리학
  57. 한송논총 정우열
  58. 역사학보 소빙기(1500∼1750) 천변재이 연구와 조선왕조실록 이태진
  59. 한국학보 16세기말 17세기 초 '역병'발생의 추이와 대책 김호
  60. 서울대대학원 박사논문 동의보감 편찬의 역사적 배경과 의학론 김호
  61. 서울대대학원 박사논문 고려시대에 유행된 전염병의 사적연구 김남주
  62. 서울대대학원 석사논문 조선 전기의 역병 유행에 관하여 권복규
  63. 서울대대학원 석사논문 근세조선시대의 전염병유행과 보건대책에 관한 문헌적고찰 김정대
  64. 대한보건협회학술지 11권1호 v.11 no.1 조선시대의 역병에 관련된 질병관과 구료시책에 관한 연구 변정환
  65. 대한의학협회지 우리나라 역병고 김두종;한승연
  66. 한국보건사학회지 우리나라 전염병의 보건사적 연구 허정
  67. 한국과학사학회지 제11권 제1호 v.11 no.1 조선말의 콜레라 유행-1821∼1910 신동원
  68. 한국과학사학회지 제6권 v.6 『동의보감』과 허준의 의학사상 정우열
  69. 한국전통의학지 7권 2호 v.7 no.2 『동의보감』등에 나타난 도교사상과 인체생명관 정우열
  70.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6권 1호 『동의보감』의 '신체관'과 '질병관'에 관한 연구(1) 정우열
  71. 동의병리학회지 Huh Jun's Medical Thought Refected the Figure of Body Viscera in Donguibogam 정우열
  72. 주역연구 동의보감을 통해 살펴본 허준의 의역사상 김남일
  73. 서울대대학원 석사논문 16세기말∼17세기초 의서편찬의 배경과 허준의 동의보감 김호
  74. 한국과학사학회지 허준의 성홍열 연구-동아시아 최초의 보고서 신동원
  75. 사총 Vol.46 No.0 v.46 no.0 14세기 중엽 페스트가 죽음과 저승의 이미지에 끼친 영향 유희주
  76. 원광대대학원 박사논문 상한발열에 관한 연구 박경남
  77. 대한원전의사학회지 9호 no.9 『康平 傷寒論』의 考證을 통한 『傷寒論』과 『黃帝內經』의 비교연구 박경모;최승훈
  78. 경희대대학원 석사논문 향약집성방』의 본초 분석을 통한 조선전기 향약의학 연구-「향약본초」 및 「상한문」을 중심으로- 강연석
  79. 국제동아세아전통의학사학술대회자료집 동의보감의 상한에 대한 인식 이상원
  80. 한송논총 동서의학 기초이론의 비교연구⑴ 정우열
  81. 동서의학 제10권 제4호 v.10 no.4 조선시대의 역병에 관련된 질병관과 구료시책에 관한 연구(Ⅳ) 변정환
  82. 미생물과 산업 Vol. 24, No. 1, June v.24 no.1 우리나라 환자에서 분리된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 정윤섭(외)
  83. 한영의학대사전
  84. 영한의학대사전 김기령(외)
  85. 한한대자전 이상은
  86. 중한사전 고대민족문화연구원
  87. 대한화사전 7권 v.7 諸橋轍次
  88. 중약대사전
  89. 중국의적대사전
  90. 한의학사전 김현제(외)
  91. 재편집 동의학사전
  92. 원색최신의료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