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vitaliza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1초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경험에 따른 로컬푸드 이용에 대한 인식 및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Self-Awareness and Improvement in Local Food Utilization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School Dieticians and Nutrition Teachers)

  • 박미영;김순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85-694
    • /
    • 2015
  •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chool dieticians and nutrition teachers to determine the local foods they were aware of and their experiences with local foods. We also aimed to obtain more detailed measures for local food vitaliz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8 school dieticians and nutrition teachers, who stated that local food vitalization was needed for school food services, because it could be a foundation for securing safefood products, student healthi mprovement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general consumption market. However, they were aware of a higher number of disadvantages than advantages in school situations and indicated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food products as the biggest disadvantage. The most-suggested measurement items for local food vitalization in schools included improvement of the food distribution system, expansion of education, information sharing, prevention of monopolies, improvement of food-product quality, and mass production.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school dieticians and nutrition teachers should invest efforts in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recipes and varied diets utilizing local foods. Therefore, system supplementation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for school food service officials, and consumers, to efficiently introduce and vitalize local foods. It is also necessary to foster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trust-based relationships with producers to maximize the effect of system supplementation. This would be the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health of students, improving food-service quality, nutrition management, and 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in the future, and will positively affect students' food consumption patterns even after they become adults.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방안 연구: 선도지역을 사례로 (A Study on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Priority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 김륜희;이종근;이삼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1호
    • /
    • pp.1-9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 그리고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 DB 구축 및 도시재생사업의 평가 모니터링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과정은 13개 선도지역의 공모제안서 및 13개 선도지역 중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4개 지역(서울, 창원, 부산, 영주)의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을 토대로 기초 DB 및 평가 모니터링 지표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선도지역 도시재생사업의 평가모니터링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도시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재생전략 활성화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나아가 재생 활성화 사업과 각종 도시재생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합정보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도시재생사업 진행에 대한 모니터링이 보다 제도화되어야 한다. 셋째, 전략계획 및 활성화계획의 수립과정에서 도시 또는 군기본계획 관리계획과 연계성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상향식(Bottom-up) 도시재생사업에 적합한 모듈화 계획의 도입과 평가가 필요하다.

제주지역의 작은도서관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 (The Actual Management and Vitalization Plans for Small Libraries in the Jeju Region)

  • 진은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63-188
    • /
    • 2022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내 21개관의 작은도서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은도서관의 운영시간, 프로그램 운영, 자원봉사자의 활동, 시설확충, 작은도서관 및 일반 공공도서관과의 교류, 업무관련교육, 업무 우선순위, 홍보활동,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등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근무상황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작은도서관에 대한 관심 유도, 독서문화프로그램 확대운영, 운영인력의 전문성 확보, 운영인력 충원, 예산 확대 및 운영인력의 인건비 기준마련, 작은도서관지원센터 설립 등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형 엔터프라이즈존 지정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signation of Korean Enterprise Zone on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 이동성
    • 도시과학
    • /
    • 제9권2호
    • /
    • pp.57-62
    • /
    • 2020
  •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re designating and implementing enterprise zone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However, there are still mixed view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nterprise Zone's policies. At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policies in the form of enterprise zones in the country and see how these policies affect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reas designated as enterprise zones were becoming more economically vitalize than those that were no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redundant designation of enterprise zones has a greater effect on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than single designation.

향토음식의 산업화가치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Industrialization of Local Cuisine)

  • 최정숙;박한식;박승현;이진영;강민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3-23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icator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local cuisine. We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Delphi survey. The resulting evaluation indicator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nine sub-groups. The four groups were locality, taste and functionality, industrial base, and business value. The nine sub-groups were traditionality, regionality, eating quality, nutrition and functionality, condition of development, technological level, rights and policy, marketability, and ripple effects. Also 22 items were created as indicators for evaluating classes ; historicity, sustainability, rarity, awareness of local resident, the number of similar restaurant, appearance, taste, nutritional balance, health functionality, availability of raw materials, suitability of environmental exchange of market, standardization of recipe, simplification of recipe, storabilit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government's policy, appropriacy of price, popularization, possibility of franchise, globalization, improvement of local image,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The four most important classes corresponded to one of the four groups. These classes were sustainability, taste, state (local autonomy) policy,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izing the local cuisine of each region can be evaluated and applied. Moreover, these indicators could promote the discovery of local cuisines, support planning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local cuisine.

아파트 거주자의 커뮤니티와 주거만족도 간의 인과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Apartment Resident Community and Housing Satisfaction)

  • 김명희;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1-68
    • /
    • 2020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partment resident community and housing satisfaction and suggest which factor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local community's hous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by means of the local inhabitants and apartment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anaging the communit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partment resident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but the effects were insignificant. This revealed that residents' interest in communicating with the resident community was low due to various organizations such as the women's association, election committee, and autonomous society being used as means to pursue personal gain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the entire apartment. Secondly, the vitalization of the apartment resident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unity and volunteering activities of residents, the more improved the resident vitalization programs are being managed, and the higher the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housing satisfaction.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supplementation and upgrading of apartment community facilities into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as a means to unify the residents and vitalize the resident community. To vitalize the resident community and strengthen the community spirit, the residents will need to voluntarily create a community hub by forming community-tailored associations and programs through connections with local governments and businesses.

관광개발의 경향과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적 계획방안 연구 (A Study on Eco-friendly Plan by Analysis of Tourism Development Trend and Example)

  • 주용준;사공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2호
    • /
    • pp.163-174
    • /
    • 2011
  • Interests in tourism and leisure have increased with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The government takes the lead in development of tourism for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and local governments use development of tourism as a means for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The sustainable and eco-friendly development plan is required for the tourism development, because it needs effective use of limited natural resources and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capacity in the region.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tourism development during nine years, and problems with respect to planning and environment aspects on the basis of four examples which follow recent development trend. We suggest improvement plan that 1) establishment of consistency and systematics of tourism development, 2) enforcement of setting up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plan, 3)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lan establishment in consideration of private sector, 4) reasonable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development project of approval organization, 5) removal of duplicate regulations for development project. Application of the improvement plan while setting up tourism plan could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management.

우리나라 말(馬)산업의 수출활성화 방안 (The Strategies for Vitalization of Exporting Horse Industry in Korea)

  • 이영수;권순국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2호
    • /
    • pp.131-155
    • /
    • 2014
  • 말산업은 우리나라 국가 및 지역경제에서 그 역할이 매우 크고 중요한 산업이다. 이러한 말산업은 관련 농업, 비즈니스, 스포츠, 게임,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 등의 복합산업으로서 최근 국내에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사회 및 경제적인 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전체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고, 말산업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약한 경쟁력 등과 같은 저해요소 때문에 활성화가 저조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말산업의 수출실태를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말산업의 수출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말산업의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정부는 수출확대를 위한 관련법의 정비, 말관련 HS 품목분류의 명확화, 수출품목 및 시장의 확대, 수출지원정책의 마련, 선진국과의 기술제휴 등이 필요하다.

  • PDF

군산 비응항 개발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및 활성화 방안 (A Proposed Vitalization Plan based on Residents' Perception for Gunsan Bi-eung Port Development Plan)

  • 이정록;박종천;김혜영;윤이나;유선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42-656
    • /
    • 2011
  • 본격적인 새만금시대를 맞이하여 군산 비응항은 복합관광어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관광개발을 시행함에 있어 지역주민의 인식과 태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비응항 개발사업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 및 태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활성화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비응항의 여건과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었고, 개발사업의 효과 역시 긍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숙박시설의 고급화와 해양레포츠시설의 개발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비응해수욕장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해안 데크 조성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응항 활성화를 위해 종합리조트 조성과 해양레저 스포츠시설을 조성하여 관광객들의 수요에 대응하고, 비응항 홍보를 강화하는 등의 행정적 노력과 상인들의 건전한 상가문화 조성 등 자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61-66
    • /
    • 2023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로서 2021년 천안시 전통시장·상점가 실태조사 자료 중 총 188개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전통시장의 환경개선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대 상황에 맞는 환경적 변화가 일차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통시장은 낙후된 공간으로 주차환경개선사업과 시설 현대화 사업(화장실, 시설 장비 등)으로 시대적 요구에 맞게 특성화 세분화 과정을 거쳐 공간을 개선함으로써 운영의 편리성을 높이고 방문객의 이용 증진과 자연스러운 인식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별화된 경영활성화 콘텐츠와 시설 현대화 사업과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룰 때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 중 시설의 환경개선 부분에 대해 분석하고 그간의 전통시장에 대한 정부지원정책에 대해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