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Sang-Ho Lim (Department of Smart Factory Engineering, Soon Chun Hyang University)
  • 임상호 (순천향대학교 스마트팩토리공학)
  • Received : 2023.03.24
  • Accepted : 2023.04.11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This study is a study on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 total of 188 of the 2021 Cheonan City traditional market and shopping district fact-finding data were used for research and analysis. In order to revitalize the environment improvement of traditional markets, it can be seen that environmental changes suitable for the times are primarily required. The traditional market is an underdeveloped space, and through the pa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toilet, facility equipment, etc.), space is improved through a specialization and subdivision process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thereby increasing operational convenience, increasing visitor use, and improving natural perception. can promote In addition,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traditional market vitalization project can be increased when differentiated management vitalization contents and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s are organically harmon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facilities among the traditional market vitalization factor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and proposes a plan that can be a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for the traditional marke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로서 2021년 천안시 전통시장·상점가 실태조사 자료 중 총 188개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전통시장의 환경개선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대 상황에 맞는 환경적 변화가 일차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통시장은 낙후된 공간으로 주차환경개선사업과 시설 현대화 사업(화장실, 시설 장비 등)으로 시대적 요구에 맞게 특성화 세분화 과정을 거쳐 공간을 개선함으로써 운영의 편리성을 높이고 방문객의 이용 증진과 자연스러운 인식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별화된 경영활성화 콘텐츠와 시설 현대화 사업과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룰 때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 중 시설의 환경개선 부분에 대해 분석하고 그간의 전통시장에 대한 정부지원정책에 대해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대봉(2019), "전통시장 침체 원인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상인 고령화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오병조(2020), "근전통시장 상인의 회복탄력성이성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와 학습 지향성의 매개효과", 대전대학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박종호(2015),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인교육의 교육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영표(2018), "전통시장의 관광 매력성이 방문객 만족과 전통시장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0(2), PP.897~908.
  5. 심민섭, 장광집(2016), "전통시장의 환경 개선을 위한 인식 현황에 관한 연구 - 역사문화도시(서울특별시, 수원시, 강릉시, 청주시, 전주시, 경주시)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통권 76호, pp. 189-204.
  6. 이준호.김영.김성문(2015), "전통시장 현대화사업 효과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 진주시 진주중앙유등 시장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50권 제3호, pp.257-286.
  7. 신창호, 문경일(2004), "일본 상점가 활성화 방안의 재래시장에의 시사점 분석", 중소기업연구, 26(3), pp. 55-78.
  8. 허재완, 송남헌(2009). "재래시장 환경개선사업의 시장활성화효과 실증연구-광명재래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연구, 7(2), pp.131-149.
  9. 이상준, 이정수(2015), "전통시장 활성화사업 효과분석 연구 - 충청남도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7권 제6호 통권 70호, pp.111-118.
  10. 박종천(2022), "소비자 의식분석을 통한 광주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호남학, no.71, pp. 121-156.
  11. 장흥섭(2018), "해외 선진 전통시장을 통한 한국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접근" 경영교육연구, 33(3), 153-173.
  12. 최인혁, 김훈구(2017), "전통시장의 물리적 환경과 접근편의성이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 대도시 전통시장 중심으로", 물류학회지, 27(6), 147-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