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stening Literatur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학문의 현상학적 연구에서의 미학적 사유 (An Aesthetical Thinking in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Nursing Science)

  • 공병혜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41-451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relation between the aesthetics and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and especially to consider the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nursing research which may reflect works of art. Method: Based on Heidegger, Merleau-ponty and Gadamer' philosophical aesthetics, this study shows how aesthetical thought can be is applied to artistic creation and aesthetical criticism i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nursing. Result: The result of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nursing research were as follows: 1) Poetical thought of the client's experience as the living is revealed as poetic expressions in forms of listening gazing, reflection and metaphor. 2) Literature works, paintings, poetry and fiction used as sources of lived-experience help to awaken insight into the essence of lived-experience. 3) Aesthetical evaluation of phenomenological product as art is related to the harmony as a whole, especially to the ability to do vicarious lived-experience of the client. Conclusion: In order to produce creative phenomenological works in nursing research, two suggestions are made: aesthetical thought and poetic language in phenomenological reflective writing which enables researchers to transmit the essence of the lived-experience.

  • PDF

Effects of Chunking on Reading Comprehension of EFL Learners: Silent vs. Oral Reading

  • Chu, Hera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3호
    • /
    • pp.19-34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FL learners' chunking ability both in oral and silent reading affects reading comprehension, and how the chunking ability in silent reading relates to that of oral read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0 Korean university students taking a required 'English Reading' course. Chunking is a technique of grouping words into meaningful syntactic units for better understanding. Chunking was measured from pauses in oral reading.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articipants who can chunk properly both orally and silently display better comprehension of texts in general. However, chunking in silent reading was found to be a stronger indicator of improved reading comprehension. Also, the chunking skills in silent reading showed a statistically strong correlation with those observed in oral reading, suggesting that the chunking ability in silent reading may develop in parallel with that of oral reading. Oral as well as silent reading should be continuously practiced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of all levels of EFL learners, including low levels of learners. There is also a need to encourage students to read aloud with appropriate prosodic cues to help them read in meaningful units of words, therefore increasing EFL learners' comprehension not only in reading but also in listening.

  • PDF

초등영어 평가체계로부터 초등영어 교과과정의 책무성과 효율성의 검증 (Examining the Accoun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from the Present Testing System at Elementary Schools)

  • 강성우
    • 영어어문교육
    • /
    • 제8권1호
    • /
    • pp.143-165
    • /
    • 2002
  • The object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it is possible to get appropriate data to examine the accoun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from the present testing system at elementary schools. The present elementary education policy encourages using performance assessment relying mainly on teachers' observation of students' performanceinstead of objective tests of which the results are given in hierarchical number. To obtain objective data from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 is a prerequisite that teachers understand the achievement criteria set by the curriculum and be able to judge' performance objectively based on the same criteri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the degree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achievement criteria. A listening test was developed and given to 13 classes of 4th graders. The English teachers of the 13 classes were asked to judge whether each of their students had achieved the curriculum objective. The distributions of the test scores and teachers judgments were compared across the teachers to examine whether the teachers had the same achievement criteria. The survey showed that about a third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orted that they did not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achievement criteria set by the curriculum. The comparison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s of achievement criteria varied greatly amo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PDF

혈액투석실 간호사 의사소통 유형 분석 (Communication Types in Nurses Caring for Patients on Hemodialysis)

  • 김이활;남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2-50
    • /
    • 2021
  • 본 연구는 혈액투석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와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행위를 확인하고 그 유형을 Q방법론을 기반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안양에 위치하고 있는 2개 병원 혈액투석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0명으로 혈액투석 간호사의 Q모집단을 구성하여 심층면담을 시행하였으며, 문헌 자료와 심층면담 결과를 기반으로 의사소통 유형연구를 대표할 수 있는 진술문을 추출하였고 그 결과를 간호학을 전공한 교수 1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Q표본 50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Q표본을 기반으로 1차, 2차 및 3차 병원으로 구성된 서울시내 소재 5개 병원 혈액투석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시행하였다. 이렇게 해서 도출된 Q분류결과를 pc-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혈액투석간호사의 대표적인 의사소통 행위유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혈액투석실 근무간호사의 의사소통 행위유형은 유형 I '적극적 경청형', 유형 II '수용적 경청형', 유형 III '설명적 충고형', 유형 IV '방어적 초이성형'의 4가지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혈액투석간호사의 치료적인 의사소통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lace of Complementary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Autistic Children

  • Konac, Ozgur Taskiran;Baldemir, Ercan;Inanc, Betul Battaloglu;Kara, Bilge;Topal, Yasar;Topal, Hatice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8-36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a vision for autistic children and their parents aimed at generating interest in ideas such as "Sanitas Per Aquam" (SPA), massage and music therapy, which has begun to have widespread use and to attract attentio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utistic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February to April 2015 in $Mu{\breve{g}}la$, Turkey. The study was began by interviewing experts in the field and by developing a suitable assessment questionnaire. In order to direct the flow of conversation between the researchers and the autisitc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researchers conducted semi-structured face to face interviews in a form that had been determined by using reports in the literature and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field. Results: Forty two boys (84%) and eight girls (16%) with autism participated in our study. Children in the 0 - 7 age group spent long time in the bathroom (P = 0.001). Boys liked to be hugged more than girls (P = 0.01). Children ages 0 - 7 years liked bright lighting while those 15 years of age and older liked gloomy lighting (P = 0.009). Except for thes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x- and age-related differences, no 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parameters of this study. Although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 children with mild autism disorder obeyed commands like inhale or exhale (P = 0.051). Conclusion: Treatment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is not yet fully possible, so many studies are being done to alleviate some symptom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autism and their families. As a result of our study, whether touching the areas the children want touched and listening to their favorite music are required to stimulate the brain remain as questions in our minds.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과 내적 동기간의 관계 및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비스업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Focus of Service Enterprises-)

  • 장준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3호
    • /
    • pp.61-84
    • /
    • 2011
  • 본 연구는 서번트 리더십과 성과 간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양자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에 착안하여 설계되었다. 따라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가 부하의 내적 동기에 의해 설명되어질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론연구에 기초한 가설설정과 함께 경험 자료를 통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서비스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214명의 설문자료를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 상사의 경청행동이 부하의 내적 동기에 정(+)의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하의 내적 동기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상사의 공감행동과 봉사행동은 부하의 내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부하의 내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부하의 내적 동기가 부분 및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과정 및 메카니즘이 리더십연구에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꼰대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kondae Scale)

  • 이지연;고동우;최경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64-17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꼰대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면담과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통해 꼰대의 3가지 구성 개념(귀인 오류, 인지적 경직성, 일방적 소통)을 도출하고 15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평정을 거치며 각 구성개념에 부합하도록 문항을 수정하거나 추가하여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성인 250 여명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 요인 구조 모델이 도출 되었고, 성인 401 여명을 대상으로 예비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렴 및 변별타당도 분석 결과, 개발된 척도가 경청태도, 공감, 타인 수용, 지적겸손과 적절한 상관을 나타내어 꼰대를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혼종모형을 이용한 정신 간호사의 공감적 의사소통역량 개념분석 (A Concet Analysis of Psychiatric Nurse's Compassionate Communication Competence: Hybrid Model)

  • 전원희;임혜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813-825
    • /
    • 2023
  • 본 연구는 혼종 모형 방식을 사용하여 정신 간호사의 공감적 의사소통역량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분석되었다. 이론적 단계에서 2000년부터 2022년까지 출판된 문헌을 수집하여 최종 3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현장 작업단계를 위하여 2022년 12월 1일부터 12월 28일까지 8명의 정신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최종 분석 단계를 통해 정신 간호사의 공감적 의사소통역량의 차원과 속성을 도출하여 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단계와 현장 작업단계에서 파악된 속성을 바탕으로 정신 간호사의 공감적 의사소통역량을 정의하면 5개의 차원과 12개의 속성으로 종합되었다. 이에 따라서 정신 간호사의 공감적 의사소통역량은 정신 간호사가 대상자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적극적 경청과 공감적 스킬을 사용하고, 대상자의 생각과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대상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대상자를 존중하며 대상자에게 힘을 실어주는 기술과 능력을 의미한다.

만성 전립선염에 대한 국내 한의학 임상 논문 경향 분석 (A Review of Domestic Research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Chronic Prostatitis in Clinical Research Papers)

  • 이지윤;조온유;박상민;최새롬;신재욱;백지훈;이은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50-1175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tudies on chronic prostatitis in Korea, identify deficiencies, and suggest future medicine research methods to lay the foundation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Methods: All domestic clinical research papers on the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of chronic prostatitis were selected from the literature published until October 2023 in three domestic databases. A total of 13 selected research data were classified into clinical research papers. Results: In clinical research papers, the basis for the diagnosis of cases was clinical symptoms through medical history listening and diagnosis through past visits to hospitals. The average treatment period was 7 weeks, and the duration of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uration of the disease. The most widely used Korean medicine treatment intervention was herbal medicine. Conclusions: This study included all domestic clinical research papers on chronic prostatit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community.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to confirm area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future research plans.

건강한 노화를 위한 음악활용 : 국내·외 연구 고찰 (The Use of Music for Healthy Elderly : Literature Review)

  • 이예빛나;김수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35-34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외 노인 대상 음악 활용 연구 내 음악 적용 방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수기 검색을 통해 선정 기준에 부합한 국내 연구 19편, 국외 연구 21편의 총 40편이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국내외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활용(중재) 연구 시작 시기가 1990년대 말로 유사하며 게재 논문 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문헌 모두에서 노인의 정서, 특히 우울에 개입한 음악 활용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음악 적용 방법에 있어 국내에서는 민요와 대중가요를 활용한 가창 활동, 국외에서는 클래식 및 명상음악의 감상이 주요한 활동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외 연구 모두 기존 음악의 사용이 두드러졌으며, 국내 연구에서는 라이브 음악의 사용 비중이 국외 연구에 비해 높고 대상자의 선호가 반영된 음악을 선정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성공적 노화에 대한 노인 대상군의 높은 요구가 국내외 연구에서 성공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반면, 구체적으로 음악을 적용하는 데 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국내외 연구에 서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문화적,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다차원적인 접근의 활용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