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kondae Scale

꼰대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 Received : 2021.06.03
  • Accepted : 2021.08.04
  • Published : 2021.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kondae Scale' and verify its validity. For this purpose, three constructive concepts (attribution error, cognitive rigidity, and one-way communication) were derived through expert interviews,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and 15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In addition, a preliminary scale was developed by modifying or adding items to conform to each constructive concept through expert content validity evaluation. Next,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about 250 adults, a three-factor structure model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preliminary scale for about 401 ad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it of the three-factor structure was good. As a result of convergence and discriminatory validit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scale was a valid tool to measure Kkondae by showing appropriate correlations with listening attitude, empathy, acceptance of others, and intellectual humilit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꼰대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면담과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통해 꼰대의 3가지 구성 개념(귀인 오류, 인지적 경직성, 일방적 소통)을 도출하고 15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평정을 거치며 각 구성개념에 부합하도록 문항을 수정하거나 추가하여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성인 250 여명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 요인 구조 모델이 도출 되었고, 성인 401 여명을 대상으로 예비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렴 및 변별타당도 분석 결과, 개발된 척도가 경청태도, 공감, 타인 수용, 지적겸손과 적절한 상관을 나타내어 꼰대를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I. 서론

2019년 9월 23일 영국의 BBC방송 중에 하나인 BBC Two는 오늘의 단어로 한국어인 ‘KKONDAE’를 선정했다[1][2]. ‘늘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나이 많은 사람’이라는 설명과 함께 소개된 ‘꼰대’는 한국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공감하는 부분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꼰대라는 용어의 정확한 어원이나 시작 시점을 알 수는 없지만 언제부터 ‘꼰대’라고 하는 말이 우리 주변에서 자주 사용이 되고 있다. 국립국어원(2019)[3] 에 따르면 비속어의 개념으로 늙은 거지로 사용이 되다가 특정 직업군인 교사를 폄하하는 단어로써 시작된 것으로 짐작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가 사용을 하고 있는 ‘꼰대’라고 하는 말은 사회적 갈등을 대변하는 용어로 사용이 되고 있다. BBC에서 소개했듯이 처음에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 나이 많은 사람이란 의미로 세대 간의 갈등을 부추기는 은어로 많이 사용이 되었다면 지금은 세대 간의 갈등을 넘어, 나이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의 생각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의미로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5][6]. 한국말을 알파벳으로 풀어 쓴 ‘KKONDAE’ 라는 표현이 의미하듯, ‘꼰대’는 서구문화와는 구별되는 한국인만의 정서가 담겨진 하나의 문화로 받아들이는 관점[6] 혹은 한국식 권위주의에서의 관점[7] 등 한국의 문화적 차별성이 가미 된 측면에서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기도 했다. ‘꼰대’를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인지하고 다양한 인문학적인 연구가 그 영향력을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어 왔지만, 실증적으로 검증된 적은 없었다. 그 이면에는 ‘꼰대’라고 하는 특성을 정확하게 정의하여 개념을 규정하고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부재하였기 때문에 그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론에 근거하지 않은 현상 위주로의 접근은 학문적으로 꼰대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그리고 효율적으로 조직원 혹은 구성원을 관리해야 하는 관리적 차원에서 한계점도 보여 왔다. 그 결과 사회의 다양한 상황 및 분야에서 부문별하게 사용이 되어 사회적인 분열을 조장하고 효율적으로 조직원 혹은 구성원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8].

다만, 최근 권위주의적 성향, 자기중심성, 또는 인지적 경직성 등과 같은 꼰대의 개념과 유사한 개인의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인과 관련된 연구는 단편적으로나마 시도되고 있다[6]. 이와 같은 개인 내적 특성들이 다양한 형태의 집단, 문화 등에 끼치는 영향이나 편견 또는 그에 따른 다차원적 피해와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탐구는 최근 우리나라의 주요한 이슈로 대표될 수 있는 세대 간의 갈등, 장애인의 인권침해, 조기퇴직, 노인의 자살, 이주민의 노동과 임금차별 등과 같은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연구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꼰대’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제안 및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 다방면에서 이론적 통일성과 다양한 사람들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논의 및 연구방법

1. 꼰대의 개념적 논의와 심리학적 논거

‘꼰대’의 어원과 관련된 두 가지 주장은, 번데기처럼 주름이 자글자글한 노인을 지칭하던 영남 사투리인 ‘꼰 데기’에서 왔다는 주장과 일제시대의 귀족계급인 백작을 일컫는 콘테에서 왔다는 주장이 있다[9]. 국립국어원 표준 대사전에서 명시한 정의는 기성세대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나이가 젊거나 손아래인 사람에게 일방적으로 무엇인가를 지시하고 강요하는 ‘꼰대질’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 되어 있으나, 시대의 변화와 함께 그 의미는 꾸준히 변화하고 있고 확장성을 가진 은어로 사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늘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거나, 상대방의 의견은 항상 틀리다거나, 혹은 원하지 않는 조언을 받기를 강요하는 나이 많은 사람’ 을 일컫는 말로 통용되고 있으며, 김성준 등(2021)[10] 도 이와 유사하게 ‘남의 의사와 관계없이 자신이 옳다고 믿는 기준과 가치를 완고한 방식으로 타인에게 요구하는 이, 또는 그와 같은 태도’라고 잠정적으로 정의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젊은 꼰대’라는 말과 함께 나이에 국한되지 않고 계층 간의 혹은 사회 구성원간의 갈등을 대변하는 은어로도 쓰여 지고 있다.

꼰대의 개념은 개인 대 개인, 혹은 개인 혹은 집단 대집단 간의 차이나 부적응, 문제 등을 야기하며 한가지 단순한 특징보다는 몇 가지의 대인관계와 관련된 능력의 구성요소 중에서 다음의 몇 가지 심리적 특성이 결여되어 있는 부적응적인 인간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Schlein과 Guerney(1971)[11]가 제시한 ‘개방성’은 태도나 생각에 대해 거리낌 없고 열려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자신과 타인의 정보와 상황을 수용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바람직한 인간관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대방을 이해하는 ‘공감능력’은 깊은 수준의 대화와 교감을 가능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서로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키어 심화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계기가 된다[12]. 한편, 의사소통능력은 개인의 생각, 의도, 욕구 감정을 상대에게 전하고 전달받는 일련의 과정인데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원만한 인간관계의 필수적인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이 통상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는 꼰대의 개념을 바탕으로 “늘 자신의 생각이 옳고, 타인의 의견을 수렴하기보다는 부정하고 자신의 의견을 강요하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심리학을 기반으로 그 통상적으로 보이는 꼰대의 특징을 연관 짓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지금 우리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꼰대라는 개념의 의미는, 다양한 심리적 특징을 함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선, 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 및 타인에 대해 쉽게 판단하는 태도는 귀인 오류와 연관 지어 볼 수 있고,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지 못하는 태도나 공감 능력 부족은 인지적 경직성과, 그리고 소통의 어려움은 자기중심적인 소통 등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1.1 귀인 오류

꼰대의 중요한 특징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타인에 대한 배려보다 자기중심적 사고로 원인을 단정 짓는 사고과정으로 이는 심리학에서 이야기 하는 귀인 오류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귀인’이란 사회심리학이나 성격분야에서 자주 다루어졌던 개념으로, ‘자신이나 혹은 다른 사람의 행동의 원인을 추론하는 현상’ 을 말한다[13]. 행동의 원인을 내부로(개인의 특성) 귀인 하는지 혹은 외부로(타인 또는 환경) 귀인 하는지, 추론하는 양식의 차이는 심리적 적응이나 성격과 많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중에 타인의 행동을 판단할 때는 상황과 같은 외부 요인들의 영향력은 과소평가하고, 성격과 같은 내부 요인들의 영향력은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기본적 귀인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라고 한다[14]. 최근 ‘내로남불’이라는 신조어를 통해서도 대상에 따라 귀인 방식의 명확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사례로들 수 있으며, 이기적 편향(Self-Serving Bias)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15].

꼰대에서 이러한 기본적 귀인 오류 경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서는 관련연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양한 맥락에서 개인성향귀인을 반복 검증했던 연구에 따르면, 귀인오류의 경향이 높은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을 판단할 때 상황이나 환경을 고려하기보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에 주목한다.

개인의 성향에 초점을 맞춘다는 발견은 무엇보다 지각하는 사람의 확신 어린 평가라는 점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았다[16][17]. 즉 타인에 대한 자신의 평가에 대한 확신이 높은 경우, 기본적 귀인오류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을 판단할 때 그 사람의 상황적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요즘 사람들은 충분히 노력하지 않기 때문에 취직이 안된다고 귀인하고 그 생각에 확신을 가지는 것을 예로들 수 있다. 이러한 귀인오류는 타인이 처해있는 상황이나 환경을 공감하지 못하고 자신의 의견에 확신을 갖고 대화를 이어가는 ‘꼰대’의 중요한 특징을 잘 대변한다.

1.2 인지적 경직성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꼰대’의 또 다른 특징으로 인지적 경직성을 들 수 있다. 인지적 경직성은 불확실성을 견디지 못하는 특성, 즉 상황을 통제하고자 하는 욕구 및 권위주의적 성격 특성과도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18]. 이러한 인지적 경직성은 사회의 변화와 함께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환경에 빠른 적응을 위해, 자신의 의견이나 사고 그리고 행동을 재조정하는 능력인 인지적 유연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반면,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유연성이 부족한 인지적 사고를 보이는 경우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부적응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지적 유연성과 인지적 경직성은 서로 대비되는 개념으로, 이용 가능한 대안을 인식하고 주어진 상황에 적응하려는 자발성[19], 행동 및 사건에 대한 대안적인 해결책을 고안할 수 있는 능력[20]의 부재를 일컬어 ‘인지적 경직성’이라고 표현한다. 높은 인지적 경직성은 오래된 신념체계를 고수함으로써 새로운 관점에 대한 적응을 어렵게 만들고, 특히 새로운 세대의 관점을 이해하지 못하도록 한다[21]. 이런 개인은 환경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며 자기중심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하고, 대안적 관점을 고려하지 않으며, 습관적 반응을 하여 적응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꼰대’들이 보이는 특징인, 권위적 성격 또는 높은 자기 중심적인 주장은 타인에 대해 공감하기 보다는 자신의 상황이나 생각을 일반화하고 절대화하는 인지적 경직성이 강하다. 또한 이는 일방적 사고를 통해 다양한 관점보다는 자기중심적인 신념을 소유할 가능성이 높다[22]. Palmore, Branch & Harris(2005)[23]는 인지적 경직성이 높은 특성을 가진 사람은 불안, 억압된 충동, 인생이 변덕스럽고 위협적이라는 믿음, 인간관계에서 경쟁력의 강조 등의 경향을 보인다고 했다. 또한 ‘경직된 전망’, 비과학적 또는 반과학적 태도, 암시 감응성(suggestibility), 신뢰감응성(gullibility), 비현실적 지각 등이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자신이 믿고 있는 신념체계만을 강요하거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는 특성들이 나타날 수 있다. Palmore 등(2005)[23] 이 과정에서 자신의 신념이나 경험 등이 왜곡된 경우에는 합리화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러한 합리화는 실익이 없는 경우에도 자신의 행동을 설명하는 과정으로 때로는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 또한 Simon(2009)[24] 은합리화가 자신이 실제보다 잘 안다고 생각할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힌 바 있다. 한 개인이 자신의 지식이나 경험만을 인정하고 타인이나 환경에 대한 수용성은 낮은 경우 다양한 상황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보지 못하고 제한적인 관점만을 고집하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겠다.

1.3 자기중심적 소통

마지막으로 우리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꼰대의 대표적인 특징 중에 하나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지 않는 태도를 들 수 있다. 사람들 간의 관계 형성이란 상호간에 소통하고 의견을 조율해 가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된다[25-27]. ‘꼰대’라고 하는 것도 결국 사회 구성원들 간의 갈등으로 상대방을 배려하지 못하는 행동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으로 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연구에 따르면 적극적인 경청의 자세야 말로 커뮤니케이션과 인간관계를 이루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요소라고 주장한다[28][29]. Rogers의 인본주의 이론에 따르면 사람에 중심을 둔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들으려는 경청 태도로 모든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가장 중심이 되는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꼰대’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들으려는 자세보다는 수동적인 혹은 낮은 수준의 관심으로 사람들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 갈등을 일으키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경청태도가 사람들 간의 커뮤티케이션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태도라고 한다면 상대방의 이야기를 공감하는 공감능력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사람들 간의 관계 형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드는데 공헌을 한다[30]. 이와 반대로 사람들과의 커뮤티케이션에서 대화의 상대가 공감능력이 부족하여 타인의 감정이나 이야기를 항상 틀렸다고 주장한다면 인간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 이러한 공감 능력의 부족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공감하지 못하고 자신의 주장만 펼치는 ‘꼰대’를 규정 짓는 중요한 특징과 그 맥을 같이 한다. 공감 능력이라고 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감정적 공감을 보여주는 감정 공감과 상대방이 왜 이런 감정을 보일까에 대한 원인을 인지하고 공감을 하는 인지 공감과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31]. 타인의 이야기나 감정상태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혹은 이해하려는 노력 없이 자신의 이야기와 주장에 중점을 두는 ‘꼰대’가 보이는 특징들은 낮은 수준의 감정 공감과 인지 공감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III. 방법론

사회적인 갈등을 대변하는 ‘꼰대’는 개념적인 측면에서 통일성이 부족하고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혹은 사회적인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가 함축된 의미로 사용이 되고 있다. ‘꼰대’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현상을 설명하고 측정할 수 있는 개념으로 정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꼰대’의 개념을 명확히 규정하고 이론적 근거와 관련 전문가의 자문내용을 바탕으로 [표 1]과 같이 세 가지 하위요인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표 1. 꼰대척도의 하위요인 정의

CCTHCV_2021_v21n9_164_t0001.png 이미지

1. 연구 참여자

척도의 요인분석 및 타당도검증을 위하여 401명에게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국내에 거주하는 성인(만18세 이상) 중에서 끝까지 설문에 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응답자 중에서 남성은 218명으로 54.4%이고, 여성은 183명으로 45.6%이었다. 참여 연령대는 10대부터 60 대까지 분포하고 있었고 그중 30대가 32.4%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31.9%이었다. 지역분포는 세종시를 포함한 총 16개 시도 지역에서 참여하였으며 그중 서울이 34.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경기도가 17.7%이었다. 참여자의 월 소득은 300만원 미만부터 900만원 이상까지 총 네 가지 분류기준을 적용하였고 그중 300만 원에서 600만 원의 비율이 43.1%로 가장 높았다. 자세한 내용은 [표 2]에 기술하였다.

표 2. 연구참여자

CCTHCV_2021_v21n9_164_t0002.png 이미지

2. 측정도구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각 예비척도의 하위요인을 포함한 전체척도와 개념적 유사성이 있거나 반대의 특성을 측정하고 있는 척도를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예비 꼰대척도는 경청태도척도, 공감척도, 타인수용척도, 개방성척도와는 부적상관을 보일 것이고, 외로움 척도와는 정적상관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2.1 꼰대척도

예비 문항 개발과정을 통해 선정된 15 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귀인오류, ” “인지적 경직성, ” “자기 중심적 소통” 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는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 수록 꼰대 성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2 경청태도

경청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Mishima, Kubota, Nagata(2000)[32]가 개발한 ‘적극적 경청 태도척도(the Active Listening Attitude Scale, ALAS)’의 하위 요인 중 ‘경청 태도(Listening Attitude)’ 측정 문항을 사용하였다. ALAS는 경청 태도(13문항), 경청 기술(11문항), 대화 기회(7문항)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본 연구에서는 ‘경청 태도’ 요인에 속하는 13문항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나는 내 의견을 고집하는 경향이 있다, ” “나는 상대방이 더 빨리 말하도록 재촉한다, ” “나는 지시적이고 설득력 있는 방법으로 말하는 경향이 있다” 등의 1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동의하지 않는다(0)’ 에서 ‘동의한다(3)의 리 커트 척도로 평정한다. 13문항 모두 역채점하며 문항의 총점이 높을수록 적극적 경청(ActiveListening, AL)에 대한 더 나은 태도를 나타낸다. Mishima, Kubota, Nagata(2000)[32] 연구에서 내적 합치도는 0.84로 나타났다.  

2.3 공감척도

정서 공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Spreng 등이(2009)[33] 제작한 토론토 공감 질문지(Toronto Empathy Questionnaire, TEQ)를 김환, 한수미(2016)[34]가 번안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TEQ는 단일요인으로서 ‘흥이 난 사람 곁에 있으면 나 또한 흥이 나는 경향이 있다, ’ ‘주변 누군가 불행한 일을 당해도 나는 별로 동요되지 않는다’ 등의 1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전혀 아니다(0)’에서 ‘항상 그렇다(4)’의 5점 리커트 척도로 평정되고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 공감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Spreng 등(2009)[33]의 연구에서 내적 합치도가 .85로 나타났으며, 김환, 한수미(2016)[34] 의연구에서 내적합치도는 .77이었다.

2.4 타인수용

연구 참여자들의 비판단적 타인수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Baer, Smith, Allen(2004)[35]가 개발한 켄터키마음챙김기술척도(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KIMS)를 사용하였다. KIMS는 ‘주의집중(12문항), ’ ‘기술(8문항), ’ ‘집중행동(10문항), ’ ‘비판단적 수용(9문항)’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총 39문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단적 타인 수용을 측정하기 위해 KIMS의 하위요인 중 ‘비판단적 수용’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나는 비합리적이거나 부적절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 다른 사람들을 비판한다, ” “나는 다른 사람의 인식이 옳고 그른지를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등의 9가지 문항으로 구성되며 각 문항은 Baer, Smith, Allen(2004)[35]의 연구와 동일하게 ‘전혀 그렇지 않다(1)’ 에서 ‘매우 그렇다(4)’의 4점 리커트 척도로 평정되었다. Baer, Smith, Allen(2004)[35]의 연구에서 내적합치도는 0.87로 나타났다.

2.5 HEXACO 성격검사의 개방성척도

Ashton과 Lee(2004)[36]가 개발한 HEXACO는 6 개의 성격요인(Honesty-humility, Emotionality, Extro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Openness to experience)의 앞 글자를 따 만든 성격검사로, 본 연구에서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활용하였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심미성(aesthetic appreciation), 지적 호기심(inquisitiveness), 창조성(creativity), 비관습성(unconventionality)이라는 4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2.6 UCLA 외로움 척도(Version 3)

Russell 등(1978)[37]이 개발하고 Russell(1996)[38] 이 개정한 UCLA외로움척도로 외로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총 20개의 문항을 41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1)~자주 그렇다(4))로 평정하도록 구성되어있고, 응답의 합산 점수가 높을수록 외로움의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연구 절차

3.1 조작적 정의

척도 개발의 첫 번째 절차로서 꼰대의 구성 개념을 확인하였다. 상담심리학 박사학위 소지자 1인, 성격 이론에서 저명한 사회 심리학자 1인, 경영학에서 마케팅 박사학위 소지자 1인으로 전문가팀을 구성하여 논의과정을 거쳤다. 관련 선행 연구의 부재로 관련된 기사와 SNS 에 올라와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조작적 정의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귀인오류, ”  “인지적 경직성, ” “자기중심적 소통”으로 구성된 3가지 하위구성요인이 도출되었다.

3.2 문항 구성 및 내용타당도 검증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 평정팀이 도출한 19개의 문항을 바탕으로 예비 평정과정을 실시하여 척도의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 평정 작업을 위해 전문가 사회심리학자, 상담심리학자, 및 교육학 교수로 구성된 3인을 초청하였으며, 연구 평정팀은 각각의 구성개념과의 적합도, 하위요인과의 적합도, 문항 내용의 이해도라는 세 가지 항목을 평가하였다. 각 하위 요인과 관련성이 모호하다고 판단한 문항들을 수정 혹은 삭제한 결과, 각각 “귀인오류” “인지적 경직성” “자기중심적 소통” 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하위요인명과 15개의 최종 문항이 구성되었다.

3.3 탐색적 요인 분석

예비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된 예비꼰대척도 15 문항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하기 전 신뢰도와 기본 가정을 확인한 결과, 전체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90으로 권장기준인 .70[39] 이상이었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증과 KMO수치 확인 결과 탐색 적요인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χ2 = 2150.68, df = 105, p<.001; KMO=.90). 요인추출 기법으로는 주성분 분석과 요인 간 회전은 배리 맥스(varimax)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체 분석 결과는 [표 3]에 제시하였다.

표 3. 예비꼰대척도 문항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CCTHCV_2021_v21n9_164_t0003.png 이미지

3.4 확인적 요인 분석

탐색적 요인을 통해 확인된 변인들을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과정에서, 표준화된 요인 부하량(standardizedfactor loading: SFL)이 낮은 문항이 있는지 살펴보았으나 모든 요인들이 .50 이상의 factor loading을 나타냄이 확인되었으며, 모델핏은 양호하게 나타났다. χ2(87) = 258.33, p < .001, CFI = .94, TLI = .93, RMSEA = .07, SRMR = .06. 그다음, 수정지수(Modification: MI)를 확인한 결과, 문항 간 에러 텀 간의 covariance를 제안하는 문항들에 대해 이론적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지 내용 검토를 거쳐, 귀인 오류 하위 척도의 6번 문항과 7번 문항 간 그리고 자기합리화 하위척도의 2번 문항과 3번 문항의 에러텀 사이에 공분산을 추가하였다. χ2(85) = 211.33, p < .001, CFI = .96, TLI = .95, RMSEA = .06, SRMR = .05. 그 결과 모델 핏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최종모델로 채택되었다. ∆χ2 =2, ∆df = 47, p <.001. [그림 1].  

CCTHCV_2021_v21n9_16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확인적 요인 분석

3.5 수렴 및 변별타당도

새로 개발된 꼰대척도와 유관 척도와의 상관 분석을 통해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꼰대의 하위요인들은 경청태도, 공감, 타인수용과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사회적 고립감과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꼰대의 조작적 정의 중 인지적인 부분에 있어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지적겸손(Intellectual Humility) 은 꼰대척도의 모든 하위 요인들과 유의미하게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중 유일하게 꼰대의 하위개념 중 하나인 귀인오류는 공감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꼰대의 인지적 특성이 정서적인 공감과는 반드시 연관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4. 수렴 및 변별타당도

CCTHCV_2021_v21n9_164_t0004.png 이미지

3.6 신뢰도 분석

척도 전체의 신뢰도계수와 하위 요인별 신뢰도 계수를 분석하였고, 모든 하위차원이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최종 15문항에 대한내적합치도를 분석한 결과, 척도 전체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90 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고, 하위요인별 계수도 각각 .91 .75, .85 로 모든 하위차원에서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나타냈다.

IV. 논의

‘꼰대’라고 하는 말은 세대 간의 갈등을 부추기는 하나의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한국에서만 국한된 사회현상이 아닌 시대가 디지털화로 인해 급격하게 변화하고 전 세계적으로 세대 간 갈등이 고조되며 비슷한 현상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세대간의 갈등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로 SNS상에서 ’꼰대‘를 베이비부머 세대를 공격적으로 비하하는 boomer remover 로 지칭할 정도이다. 즉 이러한 세대 간의 갈등은 한국에 국한 된 것이 아닌 전 세계적인 하나의 사회적 이슈로 마주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세대 간의 갈등을 부추기는 단어로써 ‘꼰대’를 한정하기에는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나이의 차이가 아닌,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설득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 등을 지칭하는 용도로 다양한 의미로 사용이 되고 있다. ‘꼰대’의 명확한 기준과 이해는 직장문화 및 세대 간 그리고 개인 간의 관계에서 보이는 갈등을 이해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1.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꼰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꼰대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2.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꼰대의 특징을 심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이해하고 꼰대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어 우선 전문가 자문 및 문헌연구를 통해 ‘꼰대’가 내포하고 있는 주요 특성에 관한 하위 구성 요소개념을 정의한 후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귀인 오류, ’ ‘인지적 경직성, ’ ‘자기 중심적 소통’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꼰대 척도를 개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세 요인 모형의 요인구조와 15문항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고, 내적 합치도 분석을 통해 각 요인과 문항이 가지고 있는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수렴 및 변별타당도 분석을 통해 개발된 척도가 꼰대 개념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적으로, 정확한 정의와 범위가 없이 사용되던 ‘꼰대’라는 개념을 정의하고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 꼰대라는 개념이 여러가지 의미를 함축하여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꼰대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고,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가 미개발된 상태였다. 그로 인해, 꼰대라는 특성이 직업 세계 및 대인 관계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식선에서 유추하는 것 외에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꼰대라는 개념의 구성요소를 구체화하여 개념을 정의하였고, 꼰대 성향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기에 꼰대의 정확한 개념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범용적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 개의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발전시킨 15개의 척도는 심리학을 이론적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학뿐만 아니라 심리학, 마케팅 등 범용적으로 활용하여 사람들의 심리를 이해하고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는 꼰대의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한다. 지금까지의 꼰대와 관련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현상적인 이해를 파악하는데 제한되었다[6][7].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꼰대가 대변하는 다양한 심리적 특징을 이해하고 각 하위요인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과정을 통해 각각의 하위요인간의 유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꼰대 현상의 메커니즘을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보여주고 그 유기적 관계를 증명하는 과정을 통해 향후 꼰대연구의 중요한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한다. 이론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효과적으로 구성원을 이해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는데 활용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꼰대라는 의미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벗어나, 무분멸하게 사용이 되고 이는 사회적은 분열을 조장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요을 하고 있다. 하지만 꼰대가 가지는 명확한 정의과 측정 도구는 향후 사회적으로 조직적으로 구성원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사회통합을 이루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중요한 실증적 이론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다음의 몇 가지 제한점을 보이고 있다. 첫째, 꼰대라는 개념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거의 없을뿐더러 실증적 연구도 전무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귀인 오류, 인지적 경직성, 자기 중심적 소통과 꼰대의 연관성을 여러 연구에서 관찰되고 있는 제한된 근거 및 전문가의 의견을 토대로 이론적 틀을 구성할 수밖에 없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 추후 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이론적 실증적 연구들의 기반으로 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연구에서는 꼰대 현상이 단지 중장년층에만 국한될 것이라 보지 않았기 때문에 설문대상은 주로 10~60대에 걸쳐 있었으나, 설문 참여한 대상이 주로 30~40대에 분포되어있어 표집의 편중이 존재할 수 있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을 보완하여 연령별 특성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References

  1. BBC worklife 101 뉴스 아티클, https://www.bbc.com/worklife/article/20190718-kkondae
  2. JTBC 비하인드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2H5Hze1WikA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홈페이지, https://stdict.korean.go.kr/7
  4. 남보람, "꼰대와 인지부조화," 국방과 기술, Vol.495, pp.138-139, 2020.
  5. 아거, "꼰대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새가정, Vol.67, pp.9-14, 2020.
  6. 민웅기, "'꼰대문화'에 내재된 갈등관계의 특성과 문화 교류의 필요성-공존문화의 선순환구조를 위한 탐색적 연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구 문화교류연구), Vol.8, No.2, pp.219-244, 2019.
  7. 서준석, 유승재, 박다영, "꼰대주의 선향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8. 경기신문 홈페이지, 뉴스아티클,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608265
  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선 홈페이지, https://stdict.korean.go.kr/7
  10. 김성준, 이중학, 채충일, "꼰대, 한국기업 조직문화 차원의 탐구,"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Vol.45, No.2, pp.1-35, 2021.
  11. S. P. Schiein and B. G. Guerne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12.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9.
  13. B. Malle, "Fritz Heider's legacy: celebrated insights, many of them misunderstood," Social Psychology, Vol.39, pp.163-173, 2008. https://doi.org/10.1027/1864-9335.39.3.163
  14. G. A. Quattrone, "Behavioral consequences of attributional bias," Social Cognition, Vol.1, No.2, pp.358-378, 1982. https://doi.org/10.1521/soco.1982.1.4.358
  15. 이수남, 신현정, 이동훈, 김비아, "자기위주 귀인편향에 있어서 정서의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2, pp.1-30, 2016. https://doi.org/10.15818/IHSS.2016.17.2.1
  16. B. Gawronski, "Theory-based bias correction in dispositional inference: The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is dead, long live the correspondence bias,"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Vol.15, No.2, pp.183-217, 2004. https://doi.org/10.1080/10463280440000026
  17. E. E. Jones and K. E. Davis, "From acts to dispositions the attribution process in person perception,"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 pp.219-266, 1965.
  18. L. E. Duncan and B. E. Peterson, "Authoritarianism, Congitive Rigidity, and the Processiong of Ambiguous Visual Informatio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54, pp.480-490, 2014. https://doi.org/10.1080/00224545.2014.933764
  19. M. M. Martin and R. B. Rubin,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flexibility scale,"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Vol.59, pp.171-178, 1997. https://doi.org/10.1080/10417949409372934
  20. J. P. Dennis and J. S. Vander Wal,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Instrument development and estimat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4, pp.241-253, 2010. https://doi.org/10.1007/s10608-009-9276-4
  21. 김희영, 정봉교, "노년기 신체건강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전대처의 매개효과와 삶의 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Vol.33, No.4, 43-62, 2018.
  22. J. L. Martin,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50years later: What questions are there for political psychology?," Political Psychology No.22, Vol.1, pp.1-26, 2001. https://doi.org/10.1111/0162-895X.00223
  23. E. B. Palmore, L. Branch, and D. Harris, Encyclopedia of ageism, Routledge, 2005.
  24. G. Simon, "Understanding rationalization: Making excuses as an effective manipulation tactic," Counseling Resource, 2009.
  25. 이상훈, 류춘렬, "외식업 종사자의 소통에 관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 차이: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의 인식과 소통만족에 관하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1, pp.88-100,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1.088
  26. M. H. Lewis and N. Lamar, "Listening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s,"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25, pp.49-67, 1988. https://doi.org/10.1177/002194368802500304
  27. 박미정, 오두남,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pp.423-43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423
  28. G. D. Bodie, S. C. Kellie, P. Michelle, R. Michael, and H. James, "Listening competence ininitial interactions I: Distinguishing between what listening is and what listeners do," International Journal of Listening, Vol.26 pp.1-28, 2012. https://doi.org/10.1080/10904018.2012.639645
  29. R. L. Street, M. Gregory, K. A. Neeraj, and K. A. Ronald, "How does communication heal? Pathways linking clinician-patient communication to health outcomes," Patient Educationand Counseling, Vol.74, pp.295-301, 2009. https://doi.org/10.1016/j.pec.2008.11.015
  30. R. N. Spreng, M. C. McKinnon, R. A. Mar, and B. Levine, "The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 Scal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factor-analytic solution to multiple empathy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1, No.1, pp.62-71, 2009. https://doi.org/10.1080/00223890802484381
  31. S. D. Preston and Frans de Waal, The communication of emotions and the possibility of empathy in animals, In: Altruistic love: Science, philosophy, andreligion in dialogue, ed. S. Post, L. G. Underwood, J. P. Schloss & W. B.Hurlburt.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2. N. Mishima, S. Kubota, and S. Nagata,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 attitude of active listening,"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Vol.42, No.3, pp.111-118, 2000. https://doi.org/10.1539/joh.42.111
  33. R. N. Spreng, M. C. McKinnon, R. A. Mar, and B. Levine, "The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 scal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factor-analytic solution to multiple empathy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1, No.1, pp.62-71, 2009. https://doi.org/10.1080/00223890802484381
  34. 김환, 한수미, "한국판 토론토 공감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5, No.4, pp.809-821, 2016. https://doi.org/10.15842/kjcp.2016.35.4.009
  35. R. A. Baer, G. T. Smith, and K. B. Allen, "Assessment of mindfulness by self-report: The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Assessment, Vol.11, No.3, 2004.
  36. M. C. Ashton and K. B. Le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39, No.2. pp.329-358, 2004.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3902_8
  37. D. Russell, L. A. Peplau, and M. L. Ferguson, "Developing a measure of lonel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2, Nol.3, pp.290-294, 197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203_11
  38. D. W. Russell,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66, No.1, pp.20-40, 1996.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6601_2
  39.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2nd ed.), McGraw-Hill,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