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3초

문헌정보학의 도서관경영 분야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of Library Managem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3-196
    • /
    • 2014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의 세부 영역인 도서관경영 분야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조사방법과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결과 도서관경영은 문헌정보학의 핵심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정보학 교육의 영향으로 교과목의 수가 자주 변동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현재 도서관경영 교육은 도서관 현장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문헌정보학 전반에 대한 표준교육과정이 만들어지고, 도서관경영 영역의 교과목 수, 교과목 명 그리고 교과내용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둘째, 도서관경영 교과과정을 개설할 때 도서관의 사서들과 충분히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메타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문헌정보학 전공 커리큘럼 진단연구 (A Diagnostic Analysis of LIS Curriculum from the Meta-literacy Perspective)

  • 유사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91-220
    • /
    • 2018
  • 정보 리터러시와 관련된 인지과정 중심 교육모형(Bloom's taxonomy), 사서 직무교육 내용, 디지털 큐레이션 등에 관한 최근 연구들을 바탕으로 메타리터러시 역량을 도출한다. 웹3.0 정보환경의 상황적 요소를 분석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능력과 정보 신기술의 적응 능력을 중요한 역량으로 확장시킨 메타리터러시 개념을 기준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대학 커리큘럼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미래지향적 예비 사서의 전문성 배양 측면에서 강조되어야 할 전공 교과목을 진단하고 커리큘럼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문헌정보학개론 교과내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87-325
    • /
    • 2013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개론 과목의 표준교과내용을 개발하고, 강의계획서를 비롯한 교재목차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강의계획서와 교육교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문헌정보학개론의 표준교과내용으로 포함될 주요 수업내용은, (1) 지식정보사회, (2) 정보와 정보원, (3) 문헌정보학의 학문계통, (4) 정보전문직, (5) 도서관사, (6) 도서관 정보센터, (7) 관종별 도서관의 유형 및 기능, (8) 장서개발, (9) 정보자료조직, (10) 정보서비스, (11) 디지털도서관, (12) 정보검색과 데이터베이스, (13) 도서관협력, (14) 도서관정책과 정보윤리 등으로 나타났다. 최종교재목차도 이와 유사한 내용으로 제안되었다.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변화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zing the Translation of Curriculum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of Korea)

  • 노영희;안인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429-4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1991년부터 2009년까지의 약 20년간의 교과과정을 5${\sim}$7년 간격으로 살펴보되,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교과과정이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를 비교분석하고 있다. 특히 전면 학과제 시행시기(1991), 학부제 도입시기(1997), 학부제 실시시기(2004), 학과제 회귀시기(2009)로 구분하여 학과제 또는 학부제가 교과과정에 미친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Status and Necessity of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s in Korea)

  • 홍현진;노영희;김동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3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현황과 전공과목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교육과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을 전수 조사하였고, 조사된 교과목을 기반으로 필수·선택과목에 대한 의견을 전체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헌정보학 총 개설과목 수는 최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과목과 기초과목의 비중이 축소되고 선택과목의 비중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보학은 중요성과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및 프로그램밍, 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과목의 신설 요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서관·정보센터 경영학은 전체 교과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다소 감소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기본 영역으로 중시되고 있으며, 세부과목의 증설·심화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인식되고 있었다. 넷째, 서지학은 점차 비중이 축소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기록관리학은 전공필수 과목은 아니지만 선택과목으로서 비중이 증가하는 반면, 어학 과목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5-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를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Develop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Children's Librarians)

  • 정혜미;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81
    • /
    • 200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사서 양성과 관련된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어린이사서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사서들의 교육 경험과 향후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필요한 관련 교과목 및 교과내용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사서를 위한 교과목의 개설 방향을 제시한 후, 구체적인 교과과정 모형 안을 제안하였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 활용 능력 위상 강화 방안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 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9-5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정보 활용 능력의 위상을 분석하고,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역할 강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 정보 활용 능력은 교육적 인간상 중 하나인 창의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지식 측면에서는 새로운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적 지식이며,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학제 간 연계성을 갖는 사고 능력이다. 따라서 미디어 교육과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을 포괄하는 정보 활용 교육이 선택 과목이 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범 교과 학습 주제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정보 활용 능력의 정의가 정보 탐색과 접근, 정보 분석과 해석, 정보 종합과 표현과 같이 구체적인 학습 기술로 명문화되어야 한다.

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5-7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도서관이용교육과 독서교육 그리고 정보활용교육을 종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략으로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에서 적용되고 있는 정보활용교육의 사례를 비교${\cdot}$분석하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새롭게 설정한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은 정보활용교육의 모형에서 추출한 5대 기능과 과정을 근간으로 하였으며, 전통적인 도서관이용교육과 독서교육의 내용을 수용하였다. 또한, 모든 정보매체와 정보텍스트의 형식, 정보활용의 과정과 전략, 정보의 체계 및 구조를 종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1-3), 고학년(4-6), 중학교(1-3), 고등학교(1-3)로 구분하여 교육내용에 따른 계열을 설정하였다.

  • PDF

한국(韓國) 대학도서관학과(大學圖書館學科)의 교육과정(敎育課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Library Science in Korea)

  • 강부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122
    • /
    • 1972
  • We are encountering a great numerous informations concerning literatures to rapidly organize and manage, and the necessity for education of library science has been increasing for social service at the right time. The distribution of the library materials to policy-making vital to modernization of Korea has been greatly estimated. Accordingly, at present it is very urgent for us to re-examine the curriculum in each of college library science course. Therefore, we should not repeat such a rediculous education of library science as ten-years old one. A new way should be designed, so that students could carry out their activity of literatures, informations and services which is necessary for modernization of Korea. Thus this essay proposes the following points; This is designed for pioneering to improve and develope the education of library sci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