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eral arts education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26초

EXISTENCE OF EQUILIBRIA IN GENERALIZED FUZZY GAMES

  • Kim, Won Kyu;Lee, Kyoung Hee
    • 충청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3-6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 new existence theorem of equilibrium in generalized fuzzy games with uncountable number of agents.

  • PDF

ON A VARIATIONAL INEQUALITY WITH $\mathcal{C}$-CONCAVITY

  • Kim, Won Kyu;Lee, Kyoung Hee
    • 충청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16
    • /
    • 2009
  • In this paper, using the diagonally $\mathcal{C}$-concave condition, we will prove a functional inequality in a topological space, and as an application, we can obtain a new variational inequality.

  • PDF

환경쟁점수업이 대학생의 환경소양 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nvironmental Issue Instruction on the University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 박기학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4호
    • /
    • pp.1-11
    • /
    • 2008
  • The goal of today's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seriou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interactions among environment. With this perspectives people need to be aware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 longer a liberal arts in university education, but play a vital role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and consciousness in real life after the education of a point at issues of environmental problems. For this study 11 questionnaires which were composed of large scale environmental problems(water and air pollution), and small scale environmental problems(food additives, GMO, endocrine disrupter) were performed with self-administered by university students(n=781) who made a application for liberal arts related to environmental subj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ost student's consciousness of a point at issue of environmental problems(water pollution, air pollution, additives, GMO, endocrine disrupter), and practical attitudes(i.e., practical attendant at congregation and internet voting) were chang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after the education of a point at issue of environmental problems rather than before. Specially, the score for the item of the large scale problem of environmental issues(water pollution, air pollution) were decreased significantly(p<0.01), but the score for the small scale problems, such as food additives, GMO, endocrine disrupter were increased significantly(p<0.01) after the education of a point at issue of environmental problems(p<0.01). And among the students that participated, 97.7% responded that such a point at issues of environmental problem is needed at the university. With this educational improvements supports the states that the education of a point at issue of environmental problems were more essential, practical and needed to students at university rather than that of an existing instruction. Thu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the educ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at universities like STSE programme.

교양회계 과목이 재무이해력 수준에 미치는 효과 분석 (Case Study of the Effects of Liberal Accounting for Financial Literacy)

  • 윤성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45-51
    • /
    • 2018
  • 자본시장에서 올바른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재무이해력에 대한 수준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재무적 문제에 대한 대응력을 키우고 경제적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재무이해력 교육을 강화시켜왔다. 본 연구에서는 K대 학생들의 재무이해력 수준 향상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시행한 교양회계 교육이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교양회계 과목을 개설한 후 각 단계별로 테스트를 거쳐 재무이해력 수준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양회계 과목 교육 후 학생들의 재무이해력 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무이해력 향상을 위해 교양회계 과목 교육의 실효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각 학교에서 재무이해력 증진 프로그램 마련 시 교양회계 과목이 유용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미술치료 교양강좌가 대학생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rt 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Self-development in the Liberal Arts Programs)

  • 홍은주;문현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27-439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Art Therapy to be part of Liberal Arts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i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after the program. The program was combined with Art Therapy theory and with a practical part for students to have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self development(ego-identit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ubjects were 38 students who were registered in the Art Therapy course at N university. It was a two hour-course and was offered every week. The first 40 minutes of the class were used for explaining Art Therapy theory, and the last 80 minutes were given for practice.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index of ego-identity, the index of self-esteem and the index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used. Frequenc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with SPSS 12.0, and a paired t-test was follow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art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subjectivity and future-confidence of students, which includes the sub-categories of self-identity. However, there was no effect found in the category of self-esteem. Comprehension, which is und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tegor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fter the program was done. Based o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Art Therapy as a part of the Liberal Arts programs, which incorporates a large number of students, can have a similar effect on people compared to the Group Art Therapy, which incorporates a relatively smaller number of people.

The Effect of the Project Learning Method on the Learning Flow and AI Efficacy in the Contactless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Liberal Arts Class

  • Lee, Ae-r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253-26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비전공자 대상의 인공지능 교양 교육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법을 적용한 후 교육적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학습몰입, 인공지능 효능감의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집단 내에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수업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습몰입과 인공지능 효능감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통계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수업 전과 후 학습몰입과 인공지능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인공지능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적용한 실험군과 이론과 실습만 진행한 통제집단 간의 학습몰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이론과 실습만 진행한 통제집단에 비해 인공지능의 효능감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나아갈 방향 (The Future Direc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51-57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전면 해제됨에 따라 많은 교육 기관들이 대면 수업으로 다시 전환하는 이 시점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한 대학 교양영어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양영어를 수강한 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대면 수업보다는 비대면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87.8%), 이에 대한 만족의 이유는 수업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 체계적 수업 진행, 학습의 효율성, 편의성으로 나타났다. 대면 수업, 비대면 수업과 혼합 수업, 이 세 가지 수업 형태 중학습자들은 비대면 수업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54.4%) 이에 대한 이유로 공간적 편리성, 학습의 용이성, 집중도와 학습 효과가 나타났다. 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더라고 기존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장점이 병행되고 적극 반영될 수 있는 학습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코로나 시기 패들렛 활용 교양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고찰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for Liberal Arts Class Using Padlet During the COVID-19)

  • 박옥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73-8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기간에 온라인 학습 도구 패들랫(Padlet)을 활용하여 대면으로 수업한 교양 과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B대학 재학생 37명을 대상으로 패들렛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와 동기에 대해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고, 개방형 질문은 중심어 위주로 분류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들렛을 활용한 대면 수업에 대해 학습자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01). 수업만족도가 제일 높았고, 이어서 학습 효과와 동기 순으로 높았고 반면, 수업 참여도는 제일 낮았다. 둘째, 성별비교에서는 여학생이 참여도를 제외한 만족도, 학습 효과, 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001). 셋째, 학년 간 비교에서는 1학년과 4학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 .001),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 동기에서 모두 1학년이 4학년 보다 높았다. 넷째, 개방형 질문에서 패들렛 활용 학습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 동기에 대해 학습자들은 긍정적인 데이터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AI 시대 대학 교양교육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A study on Digital Literacy for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in the AI Era)

  • 백혜진;이철승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39-544
    • /
    • 2024
  • 본 논문은 AI(: Artificial Intelligence) 시대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 일상적인 문화에 대한 보편적인 교육이 바로 디지털 리터러시라고 볼 수 있으며, 단순히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라 디지털 사회의 시민에게 필요한 역량들을 함양하는 것으로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 교양 교육과정이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정보 문해 영역을 강화했지만, 아직 디지털 기기 사용 및 특정 프로그램 활용법을 학습하는 기술적인 측면에 편중되어 있음을 문제점으로 제시하고, 대학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은 디지털 기기 사용의 기술적·도구적 측면에 국한해서는 안되며, 디지털 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영향을 고려한 디지털 윤리에 중점을 둔 방향으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