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sson Study

검색결과 1,134건 처리시간 0.022초

문화 반영적 융합교육(STEM) 주제 상황에서 미국 토착민 학생들의 문제 해결 성향에 대한 탐색 (Exploring American Indian Students' Problem-Solving Propensity in the Context of Culturally Relevant STEM Topics)

  • 김영래;남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6
    • /
    • 2017
  • 본 연구는 북미 토착민인 인디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계된 문화 반영적 융합교육(STEM)을 이용한 문제해결 수업을 보여준다. 이 수업은 악기상을 고려한 Shelter Design 또는 피난처 설계에 관한 것이었다. 이 수업은 인디언 학생들을 대상으로 6일간 여름방학캠프 프로그램으로 적용되었으며 모든 수업은 인디언 보호구역에 있는 학교에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데이터로는 학생들의 Shelter Design 그림, 그림에 대한 부연 설명, 그리고 학생용 학습지였다. 데이터는 질적 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학생들은 문화 반영적(STEM) 수업 후 STEM 지식을 더 많이 습득하였으며, Shelter Design활동을 하는 동안 학생들의 문화적 지식과 일상생활 경험 등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Problem Posing in the Instruction of Proof: Bridging Everyday Lesson and Proof

  • Kim, Hangi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255-278
    • /
    • 2021
  • Proof serves a critical role in mathematical practices as well as in fostering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However, the research literature accumulates results that there are not many opportunities available for students to engage with proving-related activities and that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proof is not promising. This unpromising state of instruction of proof calls for a novel approach to address the aforementioned issues. This study investigated an instruction of proof to explore a pedagogy to teach how to prove. The teacher utilized the way of problem posing to make proving a routine part of everyday lesson and changed the classroom culture to support student proving. The study identified the teacher's support for student proving, the key pedagogical changes that embraced proving as part of everyday lesson, and what changes the teacher made to cultivate the classroom culture to be better suited for establishing a supportive community for student prov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blem posing has a potential to embrace proof into everyday lesson.

협동학습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협동학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가정과 중2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and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lf-esteem - Focused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

  • 이재복;김영남;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1-14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lf-esteem. The content of lesson was chosen from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The main structure of the lesson plan stems from $\boxDr$Lesson Plan Guide of Structuring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for Teachers$\boxUl$ by D. Johnson. R Johnson and E. Holubec. Various kinds of references including media reading materials cooperative group activity reports and cooperative group activity checking lists were new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lesson. Eight hour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to test the effect of Johnson\`s cooperative learning method on students\` self-esteem. Students at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divided into two grouts, the three classes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hree classes as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WIN program. As a result, the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adopted (P.(001). Among the sub-factors of self -esteem. the global self-esteem and the social-peer self-esteem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1 each). but the school-academic self-esteem score was not different (p> .05) According to the post-experiment free-style report. student as a dynamic subject could get initiatives and interests in home economics class more effectively by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s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tudents\` self-esteem and is considered to be a good teaching method of home economics subject.

  • PDF

우수수업 사례를 통해서 본 초등 수학 교실에서의 의사소통 (The Communication of Elementary Math Classes Through Observing the Excellent Lesson Videos)

  • 최은아;이광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507-530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별 우수수업 동영상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양질의 수업을 찾아 교사의 수업 관행에 도움을 주고자한 것이다. 교사와 교실 전체 간에 이루어지는 담화를 중심으로 수업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별 우수수업 동영상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유형은 무엇인가? 둘째, 지역별 우수수업은 의사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담화중심 수업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준은 어떠한가? 공개된 24개의 수업을 수업 유형에 따라 분류한 결과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특성상 조작 중심수업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유형의 수업도 좀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수 학습 지도안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고려한 수업은 5개이며 이 중 1개 수업만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인지적 영역에 포함시키고 있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교사가 정확히 알 필요가 있었다. 또한, 학생 간 질문하기를 수업에 반영할 필요가 있었다.

  • PDF

고등학교 생물 수업에서의 역동적 구조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sson kinetic structure on the high school biology achievement)

  • 금영수;금도희;금강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16
    • /
    • 199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ations in the kinetic structure on science knowledge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rationale of the kinetic structure theory, a communication having high structrue would facilitate greater knowledge acquisition than a presentation with low structure. To testify that hypothesis, a modified non-equivalent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Four 10th grade classes (2 classes for each sex) were selected. On the topic of human digestive system, two tape recorded lessons differing in kinetic structure were developed. On n of two was high structure ($\bar{B}_{1}$=0.56), and the other was low structrue ($\bar{B}_{1}$=0.99)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 structure lesson did not show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low structrue lesson(F=2.225, P<0.137). But when the data were analyzed by sex, only boy students showed the result that the high structure lesson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low structure lesson (F=4.785, P<0.009).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high Structure communication will facilitate the science achievement in the case of boy students.

  • PDF

활동 이론의 관점에서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탐색하기 (Understanding a Prospective Teacher's Mathematics Lesson in the Perspective of Activity Theory)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355-37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 이론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예비교사인 김교사가 실시한 수학 수업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Engestr{\ddot{o}}m$이 제안한 활동 이론(Activity theory)과 활동체계(Activity system)의 주요 개념인 주체, 목표, 도구, 공동체, 분업, 규칙의 측면에서 수학 수업과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현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활동체계로서의 김교사의 수학 수업에서 목표와 도구의 동요, 목표-규칙-결과-학생 주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다층-목소리'와 갈등, 분업-공동체-규칙 사이에 내재하는 불협화음 등의 현상이 발생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김교사의 수업에서 수학과 교육과정의 강조점인 조작 교구를 활용한 수학 원리의 이해가 활동체계의 규칙으로 작용함을 확인했으며, 이러한 규칙이 수학 수업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rough Lesson Plan Analysis

  • Kim, Seong-Won;Yi, Soyul;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07-2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TPACK 교육을 통해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예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김성원과 이영준(2019)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수업 전문성 분석을 위하여 예비 교사가 작성한 수업 지도안을 분석 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차 수업 지도안에서 예비 교사는 테크놀로지 활용이 저조하며, 지식을 전달하거나 실험하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2차 수업 지도안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이 증가하였지만, 교육적 맥락에 따라 테크놀로지가 활용되지 않았다. 3차 수업 지도안에서 모든 예비 교사가 테크놀로지를 교육적 맥락에 따라 활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의생활 영역 학습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기술ㆍ가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Clothing Behavior)

  • 전은주;이희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5-7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lesson plans, study aids and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for the clothing units in TechnologyㆍHome economic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It's also meant to utilize these materials in instruction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direct and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and make them capable of leading a successful life in the 21st century. 1. The teaching plans were mapped out for the clothing units in TechnologyㆍHome economics class for middle school grade 2, which were all covered by eight textbooks: clothing and life(the function of clothes, my attire, wearing a suit, and wearing Korean traditional dress), the preparation of garments(the type of fiber, understanding of stuff, and preparing garments), and cloth care and storage (washing, storage, alteration and recycling). 2. The lesson plans included information on the name of units, period, learning objectives, teaching environment, materials, learning content, introduction, development, remarks, topping off, announcement for next session, and related Web sites. 3. To raise the effect of education, study aids were developed to be appropriate for the units. The lesson plans and study aids for the clothing part of TechnologyㆍHome economics class for middle school grade 2 would serve to help students build the right clothing habits, and are expected to serve as good teaching materials.

  • PDF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 분석 (Analysis of Science Lesson Pla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out Condensation)

  • 성승민;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172-18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초등 4학년 물의 상태 변화 단원 속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A교육대학교 2학년 초등 예비교사 29명이고,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분석틀을 활용해서 과학 수업 지도안 및 서술 문항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에서 수업 모형 적용 능력은 편차가 있으므로 신장할 필요가 있고,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관련 개념의 정확한 이해 부분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 과정 하위범주 속 수업 시작, 전개, 마무리 구성에서도 초등 예비교사의 편차가 있으므로 피드백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 셋째, 수업 환경 하위범주에서는 구체적인 수업 환경에 대한 노하우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그러므로 관련 PCK 신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수업 평가 하위범주에서는 시기 및 주체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있고, 평가 내용 구성에서 학습 목표를 일부 누락한 경우가 있는 점은 보완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과정 속 과학교육 지도 방법과 편제에 대한 면밀한 논의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가정교과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Lesson Plans in the Human Development & Family Domain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임정하;김경민;최정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1-5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교과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학습목표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분석단계에서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각 내용요소와 SDGs 세부목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할 내용요소로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가정]을 선정하였다. 설계단계에서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수업으로 총 3차시를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 각 차시별 교수·학습과정안과 학생용 개인 및 모둠 활동지와 교사용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평가 및 수정 단계에서 가정교과 교육과정 관련 평가지표와 SDGs 관련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교수·학습과정안 평가문항을 구성하였다.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교수·학습과정안 초안의 적절성을 검토받아 수정 및 보완작업을 거쳐 교수·학습과정안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교육과정의 학습목표와 SDGs 모두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여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예시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