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and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lf-esteem - Focused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

협동학습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협동학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가정과 중2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elf-esteem. The content of lesson was chosen from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The main structure of the lesson plan stems from $\boxDr$Lesson Plan Guide of Structuring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for Teachers$\boxUl$ by D. Johnson. R Johnson and E. Holubec. Various kinds of references including media reading materials cooperative group activity reports and cooperative group activity checking lists were new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lesson. Eight hour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to test the effect of Johnson\`s cooperative learning method on students\` self-esteem. Students at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divided into two grouts, the three classes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hree classes as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WIN program. As a result, the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adopted (P.(001). Among the sub-factors of self -esteem. the global self-esteem and the social-peer self-esteem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1 each). but the school-academic self-esteem score was not different (p> .05) According to the post-experiment free-style report. student as a dynamic subject could get initiatives and interests in home economics class more effectively by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s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tudents\` self-esteem and is considered to be a good teaching method of home economics subject.

Keywords

References

  1.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집단 경쟁과 집단 무경쟁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강태용
  2.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협동학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에 관한 연구 구영순
  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2 no.1 가정과 수업의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경애;김종휘
  4.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김남숙
  5.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협동학습의 효과 분석 연구 김수동
  6.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영역의 학습지도안 개발 김수현
  7. 가정과 교육연구회 세미나 자료집 가정과 교육의 방향 김영희
  8.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가정과 교육을 위한 '열린 교육'의 적용연구 김옥선
  9. 교육연구 no.3월 협동학습 모형의 이론과 실제 김원겸
  10.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이 학업 성취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치인
  11. 발달심리학 김태련;장휘숙
  12.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집단탐구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남현주
  13. 가정과교육론 박우미 외
  14. 교원 연수 자료 「교육개혁의 추진 방향」 서울특별시교육청
  15. 중학교 가정 2 성화경 외
  16. 교육연구 no.5월 협동학습의 성격과 의의 손병노
  17.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송인섭
  18.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19.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고등학생의 문제 행동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신종순
  20.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자기 성장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안순자
  21.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협동학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양낙진
  22.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가정과 수업의 협동학습이 학생의 교과에 대한 흥미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정혜
  23. 결혼과 가정 유영주 외
  24. 가정학 원론 유영주;이정연
  25. 중학교 가정 2 윤인경 외
  2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9 no.1 인천 시내 남녀 중학생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 교화에 대한 연구 오현주;홍성야
  27.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중학교 남학생에 대한 가정과 교육이 가정 생활에 미치는 영향 온성숙
  28. 중학교 가정 2 이기춘 외
  29.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집단 경쟁과 집단 무경쟁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와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이동원
  3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1 no.1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김치 담금법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이미숙;김경임
  31. 인간교육과 협동 학습 이미숙
  32. 교수 방법의 탐구 이성호
  33. 중학교 가정 2 이순원 외
  34. 중학교 가정 2 이승신 외
  35.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협동학습이 학습 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인자
  36. 가정과 교수법 이인희;이옥임
  37. 중학교 가정 2 임원자 외
  38. 교육연구 협동학습 구조의 연구 동향 정문성
  39.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의적 변인과 학업성적의 관계분석 정미숙
  40.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igsaw 협동학습이 자아개념, 내적동기,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정화희
  41. 중학교 가정 2 조규화 외
  42.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JOHNSON 학습 방법이 학습의 인지적 ·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조형식
  4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8 no.1 가정과 교육과정 모형에 대한 선호도 채정현
  44. 대한가정학회지 v.34 no.4 미국 오하이오주의 실천적 문제 중심 모형을 적용한 "일과 가족생활 교육과정"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도 채정현
  45. 대한가정학회지 v.31 no.2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최보가;전귀연
  46. 중학교 가정 2 최영희 외
  47.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Brown, M. M.
  48. The antecedents of self esteem Coopersmith, S.
  49. Structuring Cooperative Learning : Lesson Plan for Teachers Johnson, D. W.;Johnson, R. T.;Holubec, E. J.
  50. Circles of Learning Johnson, D. W.
  51.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Joyce, B.;Weil, M.;김종석 (외 2인 역)
  52. In R.G. Thomas(E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practical reasoning in consumer homemaking classrooms laster, J. F.
  53. Columbus Nutrition and Wellness Resource Guide : A Resource for Teaching the Nutrition and Wellness Core Course area of Ohio's Work and life program
  54.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50 no.2 Cooperative learning Slavin,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