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pista nuda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4초

RAPD와 ITS 영역에 의한 민자주방망이 버섯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Based o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Sequences in Lepista nuda)

  • 이양숙;김남우;김종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70-1476
    • /
    • 2012
  • 본 연구는 유럽에서 식용버섯으로 선호도가 높은 Lepista nuda (민자주방망이버섯)에 대하여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내 및 종간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RAPD 분석 결과 40개의 random primer 중 다형성을 나타내는 primer는 22개 였으며, 증폭된 밴드는 355개, DNA 단편의 크기는 200~4,000 bp의 사이에 위치하였다. RAPD band들을 marker로 하여 Nei-Li's의 방법을 이용한 비유사도 지수행렬을 조사한 결과 L. nuda 종내 유전적 변이는 0~21.60%로 나타났으며, L. nuda와 L. sordida의 종간에는 16.93~24.82%, L. irina와는 20.62~25.54%로 나타났으며, L. sordida와 L. irina와의 종간 변이는 23.49%로 나타났다. ITS I 과 II 영역의 673 bp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비유사도 지수행렬을 조사한 결과, L. nuda의 종내 변이는 1.58~11.47%였으며, L. nuda와 L. sordida와는 3.83~12.88%로 나타났다. 그리고 L. nuda와 L. irina는 7.11~15.61%였으며, L. sordida와 L. irina와의 종간 변이는 4.79%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RAPD와 ITS실험을 통해 확인된 primer와 연기서열은 Lepista속의 종을 검색 및 분류 시 유전적 표지 marker로서 이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민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nuda)의 톱밥배양 (Sawdust cultures of Lepista nuda)

  • 이상선;최경진;오창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74-279
    • /
    • 1996
  •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의 분리균을 여러 가지 곡물에서 키운 결과, 조에서는 잘 자랐으나, 수수에서는 잘 자라지 않았다. 이들 중에서 조를 선택하여, 여러 가지 유기물 혹은 금속 첨가물을 첨가한 실험 결과 조배지에서는 질소 성분이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반면에 우리 주변에 흔히 있는 아카시나무 톱밥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질소성분과 무기염류의 효과가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그러나 유기물로서는 흔히 사용되는 미강이 가장 좋은 첨가물로 밝혀졌다. 여기서의 연구는 고형배양을 통하여 직접 균사를 배양하였기 때문에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 PDF

민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nuda) 서식지의 토양인자 분석 (Soil Properties of the Habitat of Lepista nuda)

  • 이양숙;주은영;김종봉;김남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1호
    • /
    • pp.25-29
    • /
    • 2005
  •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의 생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민자주방망이버섯 서식지의 수분, 유기물, 전질소, 토양 산성도, 무기물 함량 등의 토양인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수분 및 유기물 함량은 평균 29.65%, 32.14%로 나타났으며, 전질소 함량은 평균 0.74%, pH는 평균 4.57의 산성 토양으로 조사되었다. 무기물의 함량은 Fe가 평균 1,024 ppm으로 가장 높았고, K : 183 ppm, Mn : 21.88 ppm, Ca : 2.02 ppm, Zn : 1.46 ppm 그리고 Mg : 0.51 ppm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민자주방망이 버섯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of Korean Lepista nuda)

  • 김승희;김종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5-120
    • /
    • 2004
  • 민자주방망이버섯은 우수한 식용버섯으로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종이다. 민자주방망이버섯과 5가지 송이과버섯 종들의 유전적인 변이와 분류학적 관계를 RAPD에 의해 분석 하였다. RAPD에 15가지 random primer를 사용하였다. 버섯들의 유전적 거리는 UPCM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는 neighnor-joining (NJ)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CR에 의하여 증폭된 RAPD 절편들은 100bp에서 1600 bp이었다. Nei-Li의 유전적 거리는 228개의 DNA밴드를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계통유전학적 계통수를 만들었다. 민자주방망이버섯, 자주방망이버섯 아재비, 가랑잎애기버섯, 밀버섯, 만가닥버섯, 졸각버섯의 유전적 변이 는 각각 0∼21.3%, 21.2∼28.0%, 15.4∼23.0%, 14.0∼21.8%, 16,5∼34.6%, 12.4∼27.4%이였다. CI (Consistency index), RI (Retention index), HI (Homoplasy inedx)의 값은 각각 0.5217, 0.5769, 0.5156이었다. 또한 NJ tree로 두 그룹을 만들 수 있었다. 유전적 거리는 민자주방망이버섯과 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보다 민자주방망이버섯과 밀버섯이 더 가까웠다.

한국산 야생(野生) 식용버섯의 무기성분에 관한 연구 - 뽕나무버섯, 뽕나무버섯부치, 벚꽃버섯, 민자주방망이버섯, 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 붉은산무명버섯의 미량금속원소 - (Studies on Inorganic Components of Korean Wild Edible Mushrooms - Trace Mineral Elements of Armillariella Mella, Hygrophorous russula, Armillariella tabescens, Lepista nuda and lepista sordida, Hygrocybe conica. -)

  • 박완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3-278
    • /
    • 1993
  • 한국에서 야생(野生)하는 6종 식용(食用)버석에 함유된 미량 금속원소의 함량순서는 다음과 같다. 뽕나무버섯은 K가 778.2 ppm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Fe, Na, Zn, Mn, Cu 순이고 Ca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뽕나무버섯부치는 K가 (972.9 ppm), Zn, Mn, Fe, Na, CU, Ca 순으로 K함량이 가장 많았다. 자주방망이버섯은 K(699.8 ppin), Zn, Fe, Na, Cu, Mn 순으로 K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Ca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는 K(945.2 ppm), Zn, Fe, Na, Cu, Mn, Ca 순으로 K이 가장많이 검출되었다. 벚꽃버섯은 K(878.6 ppm), Zn, Fe, Na, Cu, Ca, Mn 순으로 K가 최고치였고 붉은산무명버섯은 Zn(6637.3 ppm), Fe, K, Na, Ca 순으로 Zn이 특히 가장 많았고 Cu는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분석한 전(全)미량금속원소(Cd는 제외)가 가장 많이 함유된 버섯은 붉은산무명버섯이었고 그 다음이 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 벚꽃버섯, 자주방망이버섯, 뽕나무버섯, 뽕나무버섯부치의 순이었다. 6종의 버섯중 가장 많이 함유된 미량금속원소는 Zn이었고 그 다음이 K, Fe, Na, Mn, Cu, Ca 순이었다. Cd는 채집장소인 서울산업대, 광릉, 동구릉, 설악산 순으로 설악산에서 채집한 벚꽃버섯, 붉은산무명버섯에 가장 적은 분석치(흔적량)을 얻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Serine Protease from a Wild Mushroom, Lepista nuda

  • Kim Jun-H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5-231
    • /
    • 2006
  • Fibrinolytic enzyme was purified from the fruiting bodies of Lepista nuda, using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Phenyl Sepharose chromatography, and Mono-S column chromatography. The substance has a molecular weight of 30006.62 Da as measured by MALD-TOF mass spectrometry. The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of the enzyme was Tyr-Pro-Ser-Pro-Ser-His-Gln-Thr-Ala-Val-Asn-Ala-Ile-Ile-X. The activity of the enzyme was inhibited by PMSF, indicating that the enzyme is a serine protease. No inhibition was found with E-64, pepstatin, and EDTA. It has broad substrate specificity for synthetic peptides. The enzyme was stable up to $30^{\circ}C$. The enzyme hydrolyzes both Aa and y chains of human fibrinogen but did not show any reactivity for $B{\beta}$ chain of human fibrinogen.

  • PDF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 )의 형태적 특성 및 교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ybridization on Lepista nuda)

  • 정원순;김종봉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13
  • 본 연구에서 한국에 자생하는 12종의 민자주방망이버섯과 13종의 프랑스, 스위스, 포루투갈, 일본 등지에서 버섯을 수집하였다. 이들 한국, 외국 품종의 민자주방망이버섯은 단핵균사를 얻기 위해 이들 버섯으로부터 단포자를 얻어 YB배지에 배양하였다. 또한 민자주방망이버섯 육종을 위하여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과 단핵균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배 단핵균주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선별된 11개의 교배계통($K1{\times}K2$, $K1{\times}K3$, $K1{\times}K4$, $K1{\times}K6$, $K1{\times}K5$, $K2{\times}K4$, $K2{\times}K3$, $K2{\times}K6$, $K3{\times}K4$, $K4{\times}K5$, $K4{\times}K6$)에서 clamp connection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RAPD 패턴 분석을 통해 교배 여부를 판단하였다. 교배된 2핵균주를 다시 PDA 배지에 배양하여 교배균주의 양상을 관찰한 결과 선별된 11개의 국내 야생 민자주방망이버섯으로 이루어진 교배계통은 야생품종 2핵 균사 또는 외국 민자주방망이버섯 품종 보다 성장속도가 빠른 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앞으로 민자주방망이버섯의 한국 고유 품종개발 시 우수 교배형 선택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 균사체 배양조건 및 효소활성 (Mycelial Culture Conditions of Lepista nuda and Extracellular Enzyme Activity)

  • 김상대;김지혜;김종봉;한영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4-167
    • /
    • 2005
  • Lepista nuda DGUM 26501의 균사 생육을 위한 배양조건 및 세포외 분비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균사 생육을 위한 최적 온도는 $24^{\circ}C$였고, pH$7.0\~8.0$에서 최적 균사 생육을 나타내었다. 적정 균사생육을 위한 산소분압은 $10\%$이상이었다. 최소배지로 Czapek-Dox 한천배지에 탄소원을 변경하여 첨가시, maltose, sucrose, manitol, xylitol 등이 우수하였다. 유기산으로 gluconate가 가장 우수한 균사 생육을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유기질소원이 무기질소원보다 균사 생육이 더 우수하였으며, 유기질소원으로 corn steep liquor(CSL), soytone, protease peptone을 사용하였을 때 균사생육이 우수하였다. 사용한 인산원 중 ammonium phosphate, 비타민원으로 pyridoxine, riboflavin, nicotinic acid 첨가시 우수한 균사 생육을 보여주었다. $24^{\circ}C$에서 10일간 배양된 L. nuda DGUM 26501의 균사외 분비효소 중 $\alpha-amylase$의 활성도가 다른 효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lipase의 활성도는 미미하게 나타났다.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Lepista nuda)

  • 이양숙;박동철;주은영;신승렬;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42-947
    • /
    • 2005
  • 민자주방망이버섯의 항산화력을 알아보기 위해 환류 추출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물과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각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농도에 따른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ppm농도에서 마이크로웨이브 물추출물(MWE)이 $87.73\%$로 가장 높았으며, 마이크로웨이브 에탄을 추출물(MEE)은 $84.84\%$로서 환류 추출방법을 이용한 환류 물추출물(RWE)의 $60.47\%$와 환류 에탄올추출물(REE)의 $60.13\%$보다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1,000ppm 농도에서 REE$(42.03\%)$, RWE$(38.21\%)$는 MWE$(29.24\%)$와 MEE$(24.58\%)$보다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 조건의 1,000ppm 농도에서 MWE$(29.77\%)$, MEE$(25.47\%)$는 RWE$(25.12\%)$와 REE$(22.94\%)$보다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 민자주방망이버섯은 MWE에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았으며, SOD 유사활성은 REE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민자주방망이버섯으로부터 혈전용해효소의 정제 및 특성 연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from Lepista nuda)

  • 김준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9-74
    • /
    • 2005
  • 민자주방망이버섯으로부터 분리한 혈전용해효소의 비활성은 22.78 U/mg 이었으며, fibrin를 직접 용해하는 fibrinolytic enzyme 이었다. 15번째까지 N-terminal amino acid 서열 분석 결과, Tyr-Pro-Ser-Pro-Ser-His-Gln-Thr-Ala-Val-Asn-Ala-Ile-Ile-X로 지금까지 발표되지 않은 새로운 효소였다. 분자량은 34 KDa 이고 pH 7.0 부터 pH 9.5의 넓은 영역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alkaline protease 였으며, $55^{\circ}C$에서 가장 큰 활성을 보이는 이 효소는 serine protease 저해제인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를 첨가한 경우 효소의 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높은 혈전용해 활성을 갖는 새로운 serine protease로 생각된다. 또한 $Hg^{2+}$의 금속이온을 첨가한 경우에도 효소의 활성은 완전히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