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노인복지시설의 이용서비스공간의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 호남지역의 노인복지회관 22개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ocial Program Space Layout in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 Case study of 22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the Honam Province -)

  • 유은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01-110
    • /
    • 2007
  • 현재 노인복지회관은 1981년 제정된 노인복지법에 근거한 노인여가시설로 규정되어, 각 시도별로 건립되고 있지만, 각 시설 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지방자치제의 전면적 실시로 인해 각 자치단체별로 건립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호남지역의 경우 2005년 36개소가 운영 중이며 노인복지회관의 건립 형태를 보면, 노인인구를 고려하여 건립되기보다는 지방자치단체별로 건져되고 있어 이용서비스프로그램 및 그에 대응하는 공간구성계획이나 면적구성계획들에 관한 세부계획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남지역의 노인복지회관을 조사대상으로 연면적분류에 따른 이용서비스프로그램 공간분류와 공간위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이용공간으로 상담지도공간, 의료재활공간, 사회교육공간, 복리후생공간, 관리공간의 각 시설의 공간규모와 구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연면적에 따른 이용서비스공간구성과 규모를 분석하여 향후 노인복지회관의 공간구성계획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의 슈퍼비전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Perception between Supervision and Job Commitment of Employees in Leisure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 이병록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9-84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슈퍼비전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전과 충남에 소재한 15개 노인여가복지시설 267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이다. 분석결과, 슈퍼비전의 직무몰입에 대한 영향과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종사자들의 직무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슈퍼비전과 전문성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종사자들에 대한 슈퍼비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교육적 슈퍼비전의 강화, 슈퍼비전의 체계화, 슈퍼바이저 교육의 강화 등이 필요하다.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의 증진을 위해 우수인력에 대한 시상 등의 프로그램, 사회적 지지의 제공, 클라이언트를 고려한 종사자교육 등이 필요하다. 향후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몰입을 비롯한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조사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Macro Analysis of Factors Impacting on the Elderly's Suicide R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 김기원;김한곤
    • 한국인구학
    • /
    • 제34권3호
    • /
    • pp.31-5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차이를 기술하고 지역적인 노인자살률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08년까지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자살에 대한 자료가 이용되었다. 조이혼율, 1인당 지역생산액, 복지예산비율, 여가시설수, 의료 및 주거복지시설수, 체육시설수 등 여섯 개 독립변수들이 다중회귀분석에 도입되었으며 노인자살률, 여성노인자살률, 남성노인자살률 등이 종속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자살률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차이 역시 존재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에 따르면 체육시설(${\beta}$=-521), 복지예산비율(${\beta}$=-375) 그리고 여가시설(${\beta}$=-219) 등은 노인자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의료시설수(${\beta}$=0.550)와 조이혼율(${\beta}$=0336)은 노인자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인자살률을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들이 소개되고 논의되었다.

한국 노인의 일상 지원을 위한 제3의 장소의 특성 및 구성요소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the third place for daily support of the elderly in Korea)

  • 최연희;서현보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45-51
    • /
    • 2021
  • Purpose: Problems related to the elderly's daily life, such as social isolation and absence of a place to go, are already widely recognized, but there are few domestic studies or support policies for this, and the elderly leisure welfare facilities provided by the state do not fully support the elderly's daily life. There are studies related to the elderly's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ch can be seen as the third place for the elderly in Korea, but these are mostly quantitative studies. In order to talk about the third place for daily support for the elderly in Korea, a detailed study of the use cases of the third place in Korea is needed. This study analyzes the third place of the elderly in Korea and discovers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Based on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third place of the elder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place of the elderly in Korea and the elements constituting it are found to be able to represent the specific necessary environment of the third place of the elderly. Methods: The research targets include 'A Mill' (located in Jungnang-gu, Seoul), and 'Roadside in front of Villa B'(located in Dongdaemun-gu, Seoul), 'C-dong roadside park'(located in Dobong-gu, Seoul) within the range of repeated observations and meetings among the places used as a third place for the elderly was selected. The site survey consisted of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al survey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for a total of 5 month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9 and from April to May 2020.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11 characteristics (adjacent to the residence, an open place, an independent space, a comfortable place to stay, a pleasant space, safety is guaranteed, a place that has been operated for a long time, a place that can be used autonomously, a place where social exchange occurs, No financial burden, fun activities) was discovered. 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unlike the existing studies focusing on the use behavior of established institutions or facilities, the elderly identified the necessary environment through their own created places.

중소도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내 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 in Permanent Rental Housing of Small and Middle City -Focused on the welfare facilities for aged-)

  • 박창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46-56
    • /
    • 2005
  • Social welfare center is a representation agency in the local welfare system to provide the local residents with necessary services direc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space program in terms of planning a social welfare center by means of analyzing spatial arrangement of each section in senior welfare activity. The structure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should be adopted to the reality and the center of local should pay atten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As the aspects of the programs, distinctive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do so, social welfare center should be adjusted to the local situation and get flexibility on operating in the local level. Each program in senior welfare activity should be connected in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various space should be provided in desire of elderly. So the section of dining room and medical rehabilitation is a places mostly for the elderly. Multipurpose space for the interest and leisure and the space of the senior education facility are provided in social welfare center.

  • PDF

공동주택 경로당의 계획적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부천시 중동 소재 아파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Improvement of A Hall for the Aged in Apartment Housing -Focusing on apartments of Joong-dong, Bucheon city-)

  • 하승범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5-35
    • /
    • 2009
  • This study is planning improvement of welfare facilities about the hall for the aged in apartment housing. An apartment house, famous residential type in Korea, put an important value on its convenience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furniture arrangement by maximizing floor space index. In this regard, leisure usage of house was not carefully considered for the aged people. To redefine the efficiency of welfare facilities, research mainly deals with analysis of realistic needs for the aged through the spot survey and interview.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welfare facilities and propose the improv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people. Through the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ed First, Facility standard and provisions of the law should be revised for considering population growth of the aged people. Second, there are 4 plan types in the hall for the aged. Contrary to our expectation, diversity of program was not found however various program planning is needed for considering its different types of plan. Third, according to regulation, space restriction is based on the number of households. Therefore, room and space standard does not depend on the number of people. From now on,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welfare facilities of the aged, revision of laws and overall facility standard should be implemented in advance.

  • PDF

수도권 거주 중년층의 노후의 일.여가 의식과 자립형 노인커뮤니티 입주의사와의 관계 (Attitudes Toward Work and Leisure in Later Life and Intention to Move to Senior Community Available to Work Among 50's in Seoul, Incheon and Kyunggido)

  • 조재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4호
    • /
    • pp.127-13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relation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work and leisure in later life and intention to move to senior community available to work among 50's in Seoul, Incheon, and Kyunggido. The same research questions would be revealed as the previous one done by Cho & Cho(2006). The data were the part of the survey collected from 556 respondents with questionnaire during November, 2002 by the Hong's research team(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respondents were somewhat actively preparing toward work in later life and the level of preparation differed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health and occupation. They preferred various work items specially managing facility center, raising animals and plants, and managing educating center, which were different from what current elderly workers were mainly involved in. Similarly to the work, most respondents cared for the kind of leisure activities to continue and saved money for the leisure expenses in later life. The better the economic conditions, the more actively prepared for leisure in later life. They were strongly expected to participate in public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the elderly as a user, volunteer, and/or activist. Over two thirds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o work and live together in later life and over two out of five had intention to move to the senior community available to work. The more active in work and/or leisure in later life, the higher intention to work together and/or to move to the community. Those results generally supported the previous research showed that the needs of work and leisure in later life would be increased and varied, therefor housing for the elderly should considered work space and program as well as leisure. The further study was suggested to focus on the potential and current residents in the sample case of the comprehensive welfare town for the elderly by local administration.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의 슈퍼비전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Job Burnout of Workers in Leisure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661-666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슈퍼비전과 직무소진의 관계, 그리고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전과 충남의 노인여가복지시설 15개소의 종사자 275명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이다. 분석결과,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슈퍼비전이 직무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참고하여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에 대한 슈퍼비전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적·평가적 슈퍼비전의 강화, 슈퍼바이저에 대한 교육훈련과 개별화된 슈퍼비전의 제공, 시설평가에 슈퍼비전 포함 등이 필요하다. 종사자들의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역량강화프로그램과 정서적 지지 서비스의 제공, 윤리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행정적 지원, 셀프리더십의 함양 등이 요구된다.

실버타운 입주의도 예측요인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Predictors of Move Intention to Silver Town in Jeju Island)

  • 홍연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3호
    • /
    • pp.313-34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45세 이상의 중 장년층 및 노년층 인구 449명을 대상으로 실버타운 입주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는 거주지, 직업, 주택소유 변인, 동기변인 중에서는 자녀의 부담해소, 편리한 노후생활, 노후생활의 자유 향유 요인들이 실버타운 입주의도 여부를 예측하는 데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주선택 결정요인 중에서는 보건의료시설, 휴양시설 및 여가 문화서비스시설 변인, 제주도의 입지장점 중에서는 온화한 기후, 쾌적한 환경, 저렴한 비용 변인들이 실버타운 입주의도 여부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이었으며, 자녀부양의존도가 낮을수록 입주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실버타운 입주의도에 가장 높은 예측력을 갖는 변인은 저렴한 비용요인이었으며, 휴양시설, 실버타운의 필요성 인지정도, 노후생활의 자유 향유 동기변인, 여가 문화시설, 보건의료시설 등의 변인 순으로 나타났다.

  • PDF

노인의 행태를 고려한 노인복지시설의 실내환경 현황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노인복지회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door Environment for Welfare Centers of the Aged with Regard to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 Focusing on welfare centers for elderly People in Gwangju -)

  • 유은영;김문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81-190
    • /
    • 2005
  • 노인들의 수명 연장에 따른 노인의 여가생활을 위하여 정부는 다양한 서비스 및 시설 확충에 대한 계획안을 마련하여 실행하고 있으나, 아직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단기간에 양적 증가에만 치중하고 있어 수요자인 노인들의 특성과 행태를 고려한 수준 높은 노인복지시설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재 노인복지회관이 실내환경에서 노인의 행태와 특성을 반영하여 디자인하고 있는가를 실내공간체크리스트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내공간체크리스트를 위한 이론적 기초는 노인환경심리와 행태에 따른 관련 문헌과 디자인 측면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자료를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7가지 분석 기준안을 토대로 실내공간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공간분류로는 공동공간과 개별서비스공간으로 분류하여 각 회관별로 실내공간체크리스트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여, 광주광역시 각 노인복지회관 적용하여 노인의 행태 관련된 디자인 특성내용들을 추출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광주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노인복지회관 건립 시, 노인복지와 여가의 질을 향상 시켜줄 수 있는 실내공간을 조성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