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Social Program Space Layout in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 Case study of 22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the Honam Province -

노인복지시설의 이용서비스공간의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 호남지역의 노인복지회관 22개소를 중심으로 -

  • Yoo, Eun-Young (Kwangju Women's university Interior Design Department)
  • 유은영 (광주여자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Since elderly welfare centers were designated as leisure facilities for elders by the Welfare of the Age Act enacted in 1981, they have been built in cities and provinces, but services provided by the facilities have not been diverse. Furthermore, thanks to the full enforcement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 number of elderly welfare centers is increasing rapidly. In the Honam area, 36 elderly welfare centers were in operation in 2005, but most of them do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d population and the corresponding locality. Neither are there service programs nor detailed plans for spatial structure or layout for such sonics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program spaces and analyzed space locations in elderly welfare centers in the Honam area, and investigated the spatial layout of each facility including counseling spaces, medical and rehabilitative spaces, social education spaces, welfare spaces and management space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to present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designing the spatial structure of elderly welfare centers that satisfies various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Honam area.

현재 노인복지회관은 1981년 제정된 노인복지법에 근거한 노인여가시설로 규정되어, 각 시도별로 건립되고 있지만, 각 시설 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지방자치제의 전면적 실시로 인해 각 자치단체별로 건립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호남지역의 경우 2005년 36개소가 운영 중이며 노인복지회관의 건립 형태를 보면, 노인인구를 고려하여 건립되기보다는 지방자치단체별로 건져되고 있어 이용서비스프로그램 및 그에 대응하는 공간구성계획이나 면적구성계획들에 관한 세부계획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남지역의 노인복지회관을 조사대상으로 연면적분류에 따른 이용서비스프로그램 공간분류와 공간위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이용공간으로 상담지도공간, 의료재활공간, 사회교육공간, 복리후생공간, 관리공간의 각 시설의 공간규모와 구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연면적에 따른 이용서비스공간구성과 규모를 분석하여 향후 노인복지회관의 공간구성계획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