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Flow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의 여가유능감과 여가몰입, 여가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Competence, Leisure Flow, and Leisur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 송강영;임영삼;안병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425-43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여가활동 참여 시 여가유능감, 여가 몰입 및 여가만족도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총 360부의 설문지 중 연구 자료로 부적절한 52부를 제외한 308부가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통계패키지 SPSS 15.0과 AMOS 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대학생이 여가활동 참여 시 여가유능감, 여가몰입, 여가만족도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여가유능감은 여가몰입에 영향을 미치다. 둘째, 여가유능감은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여가몰입은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대학생 스키리조트 이용객의 여가몰입, 여가이득, 생활만족과 재방문의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Flow, Leisure Benefits, Lif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 Customers in Ski Resort)

  • 장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254-266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 스키리조트 이용고객의 여가몰입, 여가이득, 생활만족과 재방문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스키리조트를 이용한 대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신뢰도분석 실시하였고, LISREL 8.72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몰입은 여가이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몰입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몰입은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이득은 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이득은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활만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 자녀를 둔 도시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Leisure Time Use of Urban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 한영선;윤소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1-9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nder equity in the quantity and flow experience of leisure time of urban dual-earner couples having preschool children. The quantity of leisure time is measured by primary activity and the flow experience of leisure time is measured by primary and secondary activities. The data collected by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4 is used.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s of 255 couples, and the statistical methods are frequency, percentage,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The first, the pattern of the leisure time was different between husbands and wives. The quantity of leisure time of husbands was longer than that of wives. The husbands spent more time to perform social activities, media contact, sports and outdoor activities, while women did more in religious activities. The second, husband's leisure flow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at of wives. The pure leisure time of wives was shorter than that of husbands and wives experienced more contaminated leisure time by a secondary activity. In other words, wives's leisure is more likely to be interrupted, to involve episodes of shorter duration, and to be associated with personal care and unpaid work.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 여가몰입 및 웰니스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Leisure Supports, Flow and Wellness among Active Senior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 설수황;최종운;안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40-14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여가지지와 여가몰입 및 웰니스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전라도 지역에 거주하며 1가지 이상 여가활동과 3개월 이상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액티브 시니어 209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에 대한 빈도분석, 연구변인의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 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였다. 위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는 여가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01). 둘째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는 웰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01). 셋째,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몰입은 웰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001). 고령사회로 접어든 현시점에서 여가활동 참여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여가지지와 여가몰입 및 웰니스의 관계를 규명하여 그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고, 웰니스를 영위하기 위해 여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본인 뿐만아니라 우리 사회가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모험관광 참가와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Leisure Flow,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Volunteer Activities)

  • 권현재;박근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76-387
    • /
    • 2009
  • 여가활동 참가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여가활동 형태에 따른 참가만족과 생활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들은 최근 증가하고 있으나, 모험관광의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험관광 참여자의 참여형태, 여가몰입,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간의 영향관계를 구명하여 건전한 여가활동이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신체활동 대학생들의 시간관이 여가제약,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University Students on Time Perspective i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Flow)

  • 서수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567-579
    • /
    • 2017
  • 본 연구는 신체활동 대학생들의 시간관이 여가제약,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2017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D시와 C시의 대학생 총 295명을 대상으로 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PSS Ver20.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가제약에서는 여성이 여가몰입에서는 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은 시간관의 과거부정과 여가제약의 개인적 제약에서 1학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에서는 자연계열, 인문계열은 과거부정과 여가제약이 높고 서비스계열은 현재쾌락과 여가몰입의 자기목적적 경험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유형에서는 시간관의 과거부정, 현재숙명, 여가제약은 율동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몰입은 경쟁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 대학생의 시간관에 따른 여가제약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몰입은 전체적으로 과거긍정, 현재쾌락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여가참여유형이 여가만족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 신연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33-54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67(boys=191, girls=276)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one way ANOVA, factor analysis, Chi-squar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inds of activities participated in according to gender. Second, among of the subscale of leisure satisfaction, boys showed higher scores in more education and physical satisfaction than girls, and in the sub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oys indicated a higher score in flow and happiness than girl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 Fourth,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leisure activity statistically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 Fifth, leisure satisfaction partially influenc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flow. Education and soci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중년여성의 골프재미요인과 지속행동의도 관계에서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Flow of Leisure in the Relation among Middle-aged Women's Interesting Factor of Golf and Intention of Continuous Behavior)

  • 남재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25-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골프재미요인과 지속행동의도 관계를 분석하고,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중년여성이 골프 활동을 통해 중년의 삶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규명하고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골프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처리는 SPSS 25.0 Window Version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골프재미요인은 여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재미요인은 지속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몰입은 지속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골프재미요인과 지속행동의도 관계에서 여가몰입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골프산업의 발전과 중년여성 골프참가자를 골프장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골프재미요인을 통한 즐거움이 선행되어야 판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여가몰입을 활용하여 만족감을 높여주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각화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Leisure Flow by the Baby Boomers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은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78-490
    • /
    • 2022
  • 본 연구는 베이붐세대를 대상으로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베이붐세대(55년-63년생)이면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신노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7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붐세대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베이붐세대가 노년문화를 주도하기 시작하는 현 시점에서 변화하는 노년문화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여 베이붐세대의 개인적인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상, 수상, 항공 레저스포츠 관광활동 참여정도와 몰입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Participation Degree of Ground, Water, Air Leisure Sports-based Tourism Activities)

  • 이문재;황선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88-497
    • /
    • 2013
  • 본 연구는 지상, 수상, 항공 레저스포츠 중심의 관광활동 참가자들의 참여정도와 몰입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상(등산, 골프, 캠핑), 수상(래프팅, 스킨스쿠버, 낚시), 항공(패러글라이딩, 스카이다이빙) 레저스포츠 중심의 관광활동에 참가하는 총 437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레저스포츠 중심의 관광활동 유형에 따라 몰입은 명확한 목표, 시간감각 왜곡, 자의식 상실, 도전과 기술의 균형, 자기 목적적 경험, 즉각적인 피드백, 통제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참가 기간과 빈도가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참가 기간은 도전과 기술의 균형, 명확한 목표에, 참가 빈도는 도전과 기술의 균형, 시간감각 왜곡, 명확한 목표, 자기 목적적 경험, 즉각적인 피드백, 통제감에, 참가 강도는 시간감각의 왜곡, 자기 목적적 경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