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Leisure Flow by the Baby Boomers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은식 (공주대학교 생활체육학과)
  • Received : 2022.02.15
  • Accepted : 2022.03.24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leisure flow among the Baby Boomers up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this study, the New Aging who were Baby Boomers(born between 1955 and 1963) living in Seoul or Gyeonggi-do. And a total of 470 questionnaires were put to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isure flow of the Baby Boomer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leisure flow of the Baby Boomer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upport.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support of the Baby Boomer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the researcher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low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Baby Boomers. This study implies that, as the Baby Boomers is leading the culture of the aged, the study provided the basic data for a healthy society in addition to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New Aging by leading the changing culture of the aged to a positive direction.

본 연구는 베이붐세대를 대상으로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베이붐세대(55년-63년생)이면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신노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7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붐세대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이붐세대의 여가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베이붐세대가 노년문화를 주도하기 시작하는 현 시점에서 변화하는 노년문화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여 베이붐세대의 개인적인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현외성, 김상희, 조상희, 하문기, 박은주, 신원식, 김진희, 실버산업론, 학현사, 2005.
  2. 한경혜, 윤성은, "대중매체에서의 신노년 담론 분석: 신문매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제27권, 제2호, pp.299-322, 2007.
  3. 김애령, 신노년의 여가인식, 여가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가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 정경희, 손창균, 박보미, 신노년층의 특징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5. E. Sherman, L. G. Schiffman, and A. Mathur, "The influence of gender on the new-age elderly's consumption orientation," Psychology and Marketing, Vol.18, pp.1073-1089, 2001. https://doi.org/10.1002/mar.1044
  6.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 보도자료, 2021.
  7. 박성준, 베이비부머 라이프스타일 기반 복합노인복지시설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 윤소영, 100세 시대 대비 여가 및 문화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9. 김광득, 21세기 여가와 현대사회: 레저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백산출판사, 2003.
  10. 이귀옥, "노인들의 여가활동에서 여가몰입이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19권, 제6호, pp.117-133, 2010.
  11. 김종선, 한국 노인의 사회 기여 활동 참여가 당사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2. 김춘옥, 노인의 여가몰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3. M. J. Sigy, "The qualityity-of-life(QQL) research movement: Post, present, and future," Social Indicator Research, Vol.76, No.3, pp.343-466, 2006. https://doi.org/10.1007/s11205-005-2877-8
  14. 이다지, 김준표, 남석인,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우울, 노화대처의 이중매개효과검증,"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2호, pp.323-348, 2017. https://doi.org/10.21194/KJGSW.72.2.201706.323
  15. 박애란, 정경숙,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활동, 가족지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212-22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212
  16. 원효리, "여가활동으로서의 댄스스포츠가 중.장년층의 몰입경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 츠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33-246, 2013.
  17. H. Hajiran, "Toward a quality of life theory: net domestic product of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75, No.1, pp.31-43, 2006. https://doi.org/10.1007/s11205-004-4646-5
  18. 문용, 윤정욱, 주성택, "노인복지관 여가스포츠시설 이용노인의 개인적 특성과 여가몰입, 사회적지지 및 주관적 안녕 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0권, 제6호, pp.95-109, 2011.
  19. 임재구, "여가스포츠 참여노인들의 여가인지가 여가몰입 및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3-25, 2016.
  20. 정연성, 홍성진, 최형준,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58권, 제1호, pp.739-750, 2014.
  21. 김동진, 현수생, "노인의 가족건강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비전연구, 제3호, pp.115-161, 2021.
  22. 김석일,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 경험과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51권, 제1호, pp.333-344, 2012.
  23. 윤경아, 손의성, 길태영, "노인돌봄 기본 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희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2호, pp.9-33, 2017. https://doi.org/10.21194/KJGSW.72.2.201706.9
  24. M. Csilkszentmihalyi,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1975.
  25. L. F. Cambell and J. D. Will, Exercise psychology, Human Kinetics Publisher, 1995.
  26. 한준상, "배움, 몰입, 성과 그리고 인재배출의 문화," Global HR, 제1권, pp.38-41, 2008.
  27. T. K. Scanlan, P. J. Carpenter, J. P. Simons, G. W. Schmidt, and B. Keeler, "The sport commitment model: Measurement development for the youth-sport domain,"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Vol.15, No.1, pp.16-38, 1993. https://doi.org/10.1123/jsep.15.1.16
  28. T. K. Scanlan and J. P. Simons, The construct of sports enjoyment, In G. C. Roberts(Ed.), Motivation in sport and exercise, 1992.
  29. 정용각,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 각성추구, 정서의 요인이 스포츠 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30. F. M. Andrews and J. P. Robinson, "Measures of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Vol.1, pp.61-114, 1991.
  31. C. D. Ryff and C. L. M. Keyes,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No.4, pp.719-727, 1995. https://doi.org/10.1037/0022-3514.69.4.719
  32.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33. 이숙현, "취업모의 다중역할의 질과 심리적 건강,"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5권, 제3호, pp.67-90, 2010.
  34. 황영미, 정신과간호사의 감정노동과 분노표현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5. 강미희, 공적연금과 빈곤여성노인의 행복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6. 박봉선,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 조사연구, 제62권, pp.81-106, 2019.
  37.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38. 강해자,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사회복지지원학회지, 제8권, 제1호, pp.1-16, 2013.
  39. 임주영, 노인의 스트레스와 불안과의 관계에 대한 위협적 상황 인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0. C. D. Sherbourne and A. L. Stewart,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 Medicine, Vol.32, No.6, pp.705-714, 1991.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150-B
  41. 임민경, 일부 도시 저소득층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2. A. Campbell, P. E. Converse and W. L. Rodgers,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Russell Sage Foundation, 1976.
  43. J. Neulinger, "Leisure lack and the quality of life: The broadening scope of the leisure professional," Leisure Studies, Vol.1, No.1, pp.53-63, 1982. https://doi.org/10.1080/02614368200390051
  44. M. G. Ragheb and C. A Griffith,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4, No.4, pp.295-306, 1982. https://doi.org/10.1080/00222216.1982.11969527
  45. S. Zika and K. Chamberlain, "Relation of hassles and personality to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3, No.1, pp.155-162,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3.1.155
  46. 박명배, "여가활동 만족도가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4권, 제2호, pp.191-200, 2003.
  47. 이정순, 전원배, "관광활동, 심리적 Well-Being, 주관적 Well-Being의 관계," 관광연구저널, 제19권, 제1호, pp.139-152, 2005.
  48. 송은주, 임수원, 김정자, "댄스스포츠 몰입경험이 여가 정체성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8권, pp.581-590, 2006.
  49. 강종필, 윤지영, "다층모형을 활용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생산적 여가참여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5호, pp.89-98,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5.89
  50. 김남희,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 및 웰에이징 간의 구조관계 분석,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51. J. S. Norbeck, "Social support: A model for clinical research and applicatio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3, No.4, pp.43-60, 1981. https://doi.org/10.1097/00012272-198107000-00006
  52.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53. C. Baruch-Feldman, E. Brondolo, D. Ben-Dayan and J. Schwartz,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7, No.1, pp.84-93, 2002. https://doi.org/10.1037/1076-8998.7.1.84
  54. 배진희,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55. 장연식, 모선희,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7권, 제3호, pp.527-547, 2017.
  56. 장수지, "사별대처의 이중과정모델에 기초한 배우자 사별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연구," 한국노년학, 제35권, 제3호, pp.589-608, 2015.
  57. 권현재, 여가행동과 여가몰입이 모험관광 참여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58. 김성수, 여가만족과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59. 양명환, "교사들의 스포츠 활동 애호도가 심리적 행복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4권, 제2호, pp.182-200, 2000.
  60. 김유진, 헬스참여 성인 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대인관계,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61. 홍세희, 정송,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이론과 절차," 인간발달연구, 제21권, 제4호, pp.1-24, 2014.
  62.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집현재, 2017.
  63. 이재풍, 이명희, "노인의 여가만족과 여가몰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사회복지경영연구, 제4권, 제2호, pp.141-178, 2017.
  64. 박종환, 성공적인 노년을 위하여 : 노인정신과 의사가 들려주는 품위 있는 노년 만들기, 점자, 2010.